어느 날, 한 노스님이 산길에 앉아 있는데., 한 젊은 스님이 지나다가 물었다.🎋
“오는 중[僧]입니까? 가는 중[僧]입니까?”
분명 노스님을 희롱하는 언사였기에 곁에 있던 시자(侍者)가 발끈했다. 그러나 노스님은 태연하게 한 마디 했다.🎋
“나는 쉬고 있는 중이라네!”
촌철살인(殺人)의 유머로 한방 먹인 이 분이 바로 경봉(鏡峰·1892~1982) 스님이다. 화장실에 ‘해우소(解憂所)’라는 멋진 별명을 붙여준 이도 경봉 스님이다.🎋
“버리는 것이 바로 도(道) 닦는 것”
화장실에 ‘해우소(解憂所)’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은 언제부터 일까. 한국전쟁이 끝난 지 얼마 안 된 때의 일이다. 당시 통도사 극락암 호국선원 조실로 있던 경봉스님은 두 개의 나무토막에 붓으로 글자를 써서 시자에게 내밀었다. 하나는 해우소(解憂所)라고 쓰여 있었고, 다른 나무토막에는 휴급소(休急所)라고 적혀 있었다.🎋
경봉 스님은 두 나무토막을 각각 큰 일을 치르는 곳과 소변을 보는 곳에 걸라고 명했다. 해우소는 근심을 해결하는 곳, 휴급소는 급한 것을 쉬어가는 곳이라는 의미다.🎋
이후 극락선원을 찾는 수좌와 신도들 사이에 문패를 보고 설왕설래 말이 많자 경봉 스님은 어느날 법문을 통해 참뜻을 전달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급한 것이 무엇이냐.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를 찾는 일이야. 그런데도 중생들은 화급한 일 잊어버리고 바쁘지 않은 것은 바쁘다고 해. 내가 소변보는 곳을 휴급소라고 한 것은 쓸데없이 바쁜 마음 그곳에서 쉬어가라는 뜻이야.
그럼 해우소는 무슨 뜻이냐. 뱃속에 쓸데없는 것이 들어 있으면 속이 답답하고 근심 걱정이 생기지, 그것을 다 버리는 거야. 휴급소에 가서 급한 마음을 쉬어가고, 해우소에서 근심 걱정 버리고 가면 그것이 바로 도(道) 닦는 거야.”
아무리 바쁜 일이 있어도 오줌이 마려우면 소변부터 보아야지 별 수가 있나. 그래서 소변소에서 급한 마음을 쉬어가라는 뜻으로 ‘휴급소(休急所)’라 하였다. 대·소변 보는 일이 대수롭지 않게 생각될 지 모르나, 절대로 그렇지 않다. 여기에 인생의 큰일과 근본 문제와 생사 문제가 달려있다.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마음만은 쉬어가라. 정말 급한 것은 내 주인공 찾는 일이다.🎋
휴급소는 잊혀졌지만 해우소라는 명칭은 지금도 사찰뿐 아니라 일반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눈물이 나면 기차를 타고 선암사로 가라. 선암사 해우소로 가서 실컷 울어라."
선암사 해우소(화장실)를 갔더니 그 안에 이런 문구가 걸려있더랍니다.🎋
“대소변을 몸 밖으로 버리듯 번뇌와 망상도 미련 없이 버리세요.”🎋🎋
❤️🧡💛💚💙💜❤️🧡💛💚💙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https://myun5381.tistory.com/m/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