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www.fmkorea.com/7959372688
다른 나라들이 가족이 1순위인데
한국만 물질적 풍요가 1순위 인것에 대해
한국인들은 속물이고 돈미새들이니 뭐니 하는 글이 주기적으로 올라오는데,
당연하게도 우리나라 내려치려고 쓰는 글이라 뒷부분은 짤려있다.
이 글을 쓴 이유는 일부만 짤라와서 조롱을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글이 올라오기 때문에 쓰게 되었음
이 내용의 시작은 샘리처드 교수의 강의 중
"우리가 가치있게 생각하는 것"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면서 한 조사결과를 소개한 것에서 시작이 되었다.
관련 영상들을 봤는데 요약하자면
2분 30초
샘리처드씨는 우리가 가치있게 생각하는 것이라는 것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면서 한 조사결과를 소개했습니다.
3분 40초
많은 한국인 학생들과 이야기해봤지만
그들이 가족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건 결코 아니었다고 합니다.
다만 가족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야 한다는
부담감이 크게 느껴졌다고 합니다.
샘리처드 "내가 원하는 가족을 갖기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이 필요해"
"나는 아주 안정적인 직업을 갖고 안정적으로 생활하는 아주 안정적인 사람이 되야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모든것을 성취하고 아이를 갖는건 매우 어려울거라고 생각합니다."
5분 12초
한국인들이 말하는 물질적 풍요라는 의미가 매우 다르다는것입니다.
나 혼자 잘먹고 잘살거야 가 아니라는 거죠.
츄지 학생처럼 창업해서 돈 많이 벌고, 페라리 사고 이런게 아니라는 거죠
물질적 풍요를 고른 이유는 백만장자가 되겠다거나, 일론머스크 같은 부자가 되겠다는것이 아닙니다.
엄청난 부자가 되고 싶다는게 아니라, 편안해 지고 싶다군요. 제 가족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요
돈을 벌어야 가족을 지킬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는 말이죠?
샘 리처드의 강의에 쓰인 것
what makes life meaningful
https://www.pewresearch.org/global/2021/11/18/what-makes-life-meaningful-views-from-17-advanced-economies/
같은해 같은 리서치 사이트에서 올라온 것
financial considerations, quality of life are top of mind for many publics
https://www.pewresearch.org/global/2021/11/18/the-conditions-that-enable-meaning/
한국만 표본 대부분이 단일응답이고 다른나라는 복수응답임 서양은 대부분 3,4개 심지어 6개도 있음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60510060005068
한국인에 대한 오해, 가족보다 돈을 우선한다.
퓨리서치의 잘못 설계된 조사, 한국인에 대한 국제편견 조장, 해외 발표 무비판 수용 안돼,
해외기관 발표에 대한 비판적 대응이 필요하다
최근 한국에서 가장 많이 회자된 조사를 꼽으라면 퓨리서치센터(PEW)가 2021년 전 세계 17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엇이 삶을 의미 있게 하는가?' 조사를 들 수 있다. 17개국 중 14개국에서 가족을 1순위로 꼽은 반면, 유일하게 한국인은 '물질적 행복'을 1순위로 꼽았다는 발표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국내 언론 대다수도 자세하게 소개했는데 2순위는 '건강', '가족'은 3순위에 그쳤다.
이 조사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화된 질문 및 구조화된 보기 중에서 응답을 선택해야만 하는 '폐쇄형 구조화된 질문 방식'(closed-ended question)과 응답자가 임의로 대답하는 '개방형 주관식 질문문항'(open-ended questions)의 차이에 주의해야 한다. 단적인 예가 서구 나라의 응답자들은 위의 질문에 대해 복수의 응답이 많은 반면, 한국 응답자들은 단일 응답 비중이 높았다. "한국에서는 '한 가지 응답'만 제시한 비율이 62%로 조사국 중 가장 높았다. 반면 스페인,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은 응답자의 76%가 '복수 응답'을 냈다"고 한다. 한국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응답 비교가 어려운 어느 범주에 속하지 않는 '일반적으로 좋다', '일반적으로 어렵다'는 응답이 높았던 점을 근거로 한국인의 특성은 '돈에 미친 나라'보다는 '행복에 무관심한 나라'라는 해석이나 '공동체적인 요인의 중요성이 낮은 나라'라고 해석해야 한다는 문제 제기도 있었다.
무엇보다 '물질적 풍요=돈'으로 분류된 응답들이 타당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집중되었다. 퓨리서치가 밝힌 주관식 응답의 코딩 분류 부록에는 '물질적 풍요, 안정, 삶의 질'이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여있다. 물질적 가치와 삶의 질을 동일 범주로 묶을 수 있는지 의문이다. 또 응답을 보면 '평범한 삶', '검소한 삶'처럼 탐욕과 상충하는 응답들이 '물질적 풍요'로 분류되었다. 특히 '주거 구조물로서의 물리적 집'과 가족, 친구, 애완동물 등이 함께하는 '따뜻함, 사랑, 소속감을 표현하는 삶의 의미·가치가 부여되는 공간으로서의 집'을 모두 물질적 풍요 범주로 묶은 것도 문제다. 한국에서는 가족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후자의 의미로서 '집'이라 답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베댓펌
공영방송이 악마의 편집을 했구만
아뇨 공영방송이 악마의 편집을 한게 아니고 퍼오는 애들이 그런거죠.
제가 쓴 내용을 하나도 안퍼오거든요. 그럼 맥락이 없이 걍 돈만 1위만 남게되는거에요
가장 최근글은 프로그램 여러개 한국사회 암울한면 꼬집은거
우리나라가 개선하자고 만든 영상을 짜집기해서
위 내용에 추가해서 조롱하더라고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2 현실적이라면 현실적이지만… 엇나가있어
333 물질을 넘어 뭐가 중요한지 우선순위를 잘 가리지 못하는 사회가 병든 건 맞음...돈이 있어야 가족이 행복하다. 행복한 가정은 돈이 많다? 다른 말인데.. 돈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행복을 찾을 방향을 잃어버린게 과연 맞는 사회인지ㅜ
로또 당첨되면 뭐하실거예요? 하면 우리 가족 대출금 갚기, 부모님 집 해드리기 다들 이런 얘기 하더라고..
나도 이생각부터 들어 일단 이거부터 하고 그다음게 생각나더라...
가장 확실한 효도이자 몸도 마음도 고생 안 시킬 수 있는 게 물질적인 도움이니까..
딱 내마음이다
내말이 이거 예전부터 말한건데 한국인한티 가족은 0순위야 그걸위해서 돈버는거잖아 서양애들은 그게 아닐수있겠지만
사실 가족들이랑 다투게 되는 원인이 돈이라서...잘 지내다가도 결국엔 돈 때문에 또 문제가 됨 그래서 돈이 많으면 이 다툼도 해결될까 하는거지..
가족들이랑 잘 지내고 싶어서
물질적 행복=그 행복은 가족이랑 누림
가족이랑 행복해지기 위해 돈이 필요하고 돈 버는게 우선시 되는 건 맞는 것 같아..
그렇다한들 경제적으로 편안할 수 있는 순간이 언제 올 수 있나.. 그 경지에 이르더라도 그 전까지는 불편한 상황일텐데 가족과 소통을 등한시 하다가 경제적으로 편안해졌다고 뿅하고 다 좋아지냐는거지.. 그리고 경제적으로 편안해지는 경지가 평생 찾아오지 않을 수도 있어 ㅠㅠ.. 행복은 빈도라는 걸..
근데 한국 기괴한 것도 맞음 결혼하는 거에 항상 조건 따라붙고 준비가 안되어있으면 애 낳지 말라는 둥.. 우리나라는 유독 항상 돈 따지잖아
맞아..
공감 돈 많으면 가족들이랑 놀러 다니고 싶음
나도 늘 부자가되면 이라는 가정에서 1순위가 가족에게 현재로서는 힘든 무언가를 해주고 싶다라는거임. 한국인이라면 다 비슷할거라 생각해.
그치 가족이랑 누리며 잘 살려고… 솔직히 부모 자식 없이 혼자 몸뚱아리면 적당히 벌고 적당히 살다 남기는거없이 가도 좋을듯
솔직히 돈없어도 가족행복 괜찮은 나라는 없어 전섹계 모든 나라들 다 가족 행복 지키려면 돈이 필요함
근데 왜 우리나라만 이러냐는거지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 친밀하게 지내면서 느끼는 감정은 정말 특별해..사람간의 관계가 상호적일때 잘 느껴지는데 가족이면 더 그렇지 그래서 나도 사람들과 그저 걱정없이 잘 지내고 안부를 묻고 좋은 것들 공유하며 살고싶은데...현실적으로 가장 생각나는건 당장 평생의 걱정인 내집마련이라 좀 씁쓸해
가족과의 편안한 삶이 돈으로 해결되는 사회가 한국 ㅠㅠ 그치만 가족과 돈 둘중 하나 고르라면 당연히 가족(또는 자신과 친밀한 구성원들)을 고르는게 한국인들 ㅠㅠㅠㅠ 뭔가 닭이냐 달걀이냐 문제같아
맞아 서로 다 가족을 책임지려고 하니까
그러니까 똑같은 조건에서 타국가는 복수응답을 하고 한국은 단일응답을 했다는거 자체가…….. 결국 물질적인 것을 최우선한다는걸 방증하는건 마찬가지 같아
맞음 로또 염불외우고 돈벼락만 외치고 사는사람들 뭐 돈생기면 뭐할거냐 이러면 뭐 개인뱅기타고 셀럽되고 이런얘기안함 대출금갚고 부모님 집사주고 일안하고싶고 이런거 얘기함…
미국 캐나다 호주 같은데는 대충 살아도 돈 잘벌고 물질적으로 풍족하니까 별로 돈에 집착안하지 한국은 몸갈아서 열심히 일해야 겨우 입에 풀칠하고 집사고 가족 부양하니깐 ㅋ 돈때문에 돈없어서 어릴때 부모님 싸우고 사는거 보면서 큰 사람 엄청 많을껄?
사실 요즘 너무 비관적이야 요즘 모든 나라가 다 힘들고 미국 말고는 제대로 발전하는 나라도 없는데 한국은 항상 발전해야 하고 잘 나가야 한다고 생각하니깐 더 비관적으로 생각하는거 같음 ㅜㅜ 한국보다 더 힘들고 경쟁하고 최악인 나라가 얼마나 많은데 항상 한국이 제일 최악인 것처럼 말하는데 외국인들은 돈만 밝힌다고 착각하고 괜히 그런 모습만 보고 한국 무시하는 사람들 너무 많아졌어 자기비하 한다고 좋아지는 것도 아닌데 한국보다 돈없고 못사는 후진국들도 자기 비하는 솔직히 한국만큼 잘 안함 해외로 이민가서 살아도 문제 많고 못사는 후진국들도 자기나라 옹호하고 좋게 말하는 나라들 엄청 많음 ㅠㅠ 한국은 근데 해외나와도 괜히 비관적이고 한국 욕하고 비하하는 사람이 너무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