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함평 군유산마을 "군유산차-" 군유산의 야생차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스크랩 군남면 마을유래
군유산 추천 0 조회 145 15.10.01 10:0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군남-면(郡南面)『면』 영광군 3읍, 8면의 하나. 본래 육창현(陸昌縣)의 지역인데, 고려때 영광군에 편입되고, 조선때 육창면이 괴어 봉기(奉基), 대화(大禾), 온량(溫良), 홍정(紅丁), 율곡(栗谷), 삼청(三淸), 신대(新大), 송암(松岩), 송림(松林), 하광(下光), 봉덕(奉德), 서정(西亭), 육창(六昌), 당산(堂山), 신계(新桂), 구기(九基), 금동(金東), 평정(平丁), 조양(朝陽), 구송(九松), 장동(壯洞), 평암(平岩), 용촌(龍村), 음동(陰洞), 덕흥(德興), 상오(上梧), 복령(茯笭), 연화(蓮花), 내묘(內猫), 송정(松丁), 미동(尾洞), 송촌(松村), 대무(大武), 향화(向化), 소무(小武), 봉동(奉洞), 구산(九山), 매산(梅山), 호암(虎岩), 서당(書堂), 양지(陽地),의 42개 동리를 관할하는데,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마산면 (麻山面)의 장설(獐舌), 검덕(檢德), 서호(西湖), 우현(牛峴), 양동(暘洞), 천동(泉洞), 치산(峙山), 봉암(奉岩), 순원(順元), 동기(東基), 월암(月岩), 매화(梅花), 시목(枾木), 석우(石友), 신정(新丁), 치동(稚洞), 덕천(德川), 국기(局基), 신촌(新村), 동고개(洞古介), 석암(石岩), 묘동(苗洞)의 12개 동리와 외간면(外澗面)의 포천(浦川), 사령(巳令), 내동(內洞), 죽신(竹新), 오강(梧江), 서변(西邊), 동변(東邊), 장고(長古), 도철(道哲), 구평(九坪), 곤지(昆池), 갈마(渴馬), 죽정(竹丁), 아양(牙暘), 백암(白岩), 중촌(中村)의 16개 동리와, 남죽면(南竹面)의 마읍리(馬邑里) 일부와 원산면(元山面)의 남계리 일부와 함평군 신광면(新光面)의 보전리(甫田里) 일부와 손불면(孫佛面)의 장재(長才), 완정(完丁)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군남면이라 하여 양덕, 동월, 설매, 포천, 동간, 도장, 백양, 대덕, 남창, 용암, 오동, 옥슬의 12개리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83년 2월 15일 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대통령령 제11027호로 오동 옥슬리가 염산으로 편입, 10개리를 관할함. 동쪽은 불갑면, 남쪽은 함평군 신광면, 손불면과 무안군 해제면, 서쪽은 염산면, 북쪽은 군서면에 닿음.

남창-리(南昌里)(육창)『리』 본래 육창현(陸昌縣)의 터인데, 고려때 영광군에 편입되고, 조선때 육창면에 편입되어 육창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정리, 당산리, 신계리, 구기리, 금동리, 일부와 마산면의 석암리, 묘동, 봉암리 일부를 병합하여 남창리라 해서 군남면에 편입됨.

가락-골『골』 묘동 동쪽에 있는 골짜기. 가락처럼 곧음.

갈모-배미『논』 금동 앞에 있는 논. 갈모처럼 생겼음.

고미-터(고읍기)『마을』 육창 북쪽에 있는 마을. 육창현이 있었음.

고읍-기(古邑基)『마을』→ 고미터.

굉이-산『산』 묘동 북쪽에 있는 산굉이(고양이)처럼 생겼음.

구기-동(九基洞)『마을』 신계동 남쪽에 있는 마을.

금-동(金洞)『마을』 묘동 서북쪽에 있는 마을.

꼬부랑-배미『논』 진배미 밑에 있는 논. 모양이 꼬부라졌음.

노리-보『보』 서정 앞에 있는 보.

당-매『마을』→ 당산.

당-산(堂山)(당매)『마을』 석정 북쪽에 있는 마을. 신당이 있었음.

당-산(堂山)『산』 당매 앞에 있는 산. 당산제를 지냈음.

당산-고랑(堂山-)『골』 당산 위쪽에 있는 골짜기.

대징-드리『들』 석정 동쪽에 있는 들.

돌-보『보』 금동 남쪽에 있는 보.

들-재『고개』 석암 남동쪽에 있는 보.

마당-바우『마을』 마당바우가 있는 마을.

마당-바우『바위』 석정 동남쪽에 있는 바위. 마당처럼 넓고 평평함.

마산-코지(馬山-)『골』금동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묘-동(猫洞)『마을』→ 요강매.

물방앗-들『들』 석정 앞에 있는 들. 물방아가 있었음.

바뚝-보『보』 요강매 남쪽에 있는 보.

바지-재(배지재)『고개』 당매 서쪽에서 염산면 상계리로 가는 고개.

배-재(이치)『고개』 당매 서남쪽에서 오동리로 가는 고개.

배지-재『고개』→ 바지재.

부묵-골(블뭇골)『골』 석정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음.

부묵골-재(불뭇골재)『고개』 부묵골에 있는 고개. 석정에서 당산으로 넘어감.

불뭇-골『골』→ 부묵골.

불뭇골-재『고개』→ 부묵골재.

비암-보『보』 석정 남쪽에 있는 보.

뽁집개-배미『논』 서정 앞에 있는 논. 뽁집개(주발뚜껑)처럼 생겼음.

새철-보『보』 마당바우 밑에 새로 된 보.

서-정(鼠亭, 西井)(서정리)『마을』 육창 동북쪽에 있는 마을.

서정-리(西井里)『마을』→ 서정.

석-암(石岩)『마을』→ 석정.

석-정(석촌,석암)『마을』 육창 서남쪽에 있는 마을.

석-촌(石村)『마을』→ 석정.

시답-보『보』 당매 앞에 있는 보.

신계-동(新桂洞)『마을』 당매 남쪽에 있는 마을.

신골-등『등』 육창 서북쪽에 잇는 등성이.

쌈지-배미『논』 서정 남쪽에 있는 논. 쌈지처럼 생겼다 함.

암-정『마을』 당매 서북쪽에 있는 마을.

옥녀-배미『논』 육창 앞에 있는 논.

왕-산『산』 서정 서쪽에 있는 산.

왕-재『고개』 금동 서쪽에 있는 고개.

요강-매『마을』(묘동)『마을』 육창 동쪽에 있는 『마을』①요강처럼 생겼다 함. ②고양이 형국이라함.

육창(六昌)(육창리)『마을』 금동 남쪽에 있는 마을. 육창현이 있었음.

육창-리(六昌里)『마을』→ 육창.

육창면소-터(六昌面所-)『터』 본래 육창에 있는 육창면의 터.

이-치(梨峙)『고개』→ 배재.

장수-배미『논』 꼬부랑배미 밑에 있는 논.

제지밧-등『등』 금동 북쪽에 있는 등성이.

중-보『보』 육창 앞에 있는 보.

지묵-골『마을』 고미터 북쪽에 있는 마을. 고을이 있었다하여 청기와 조각이 발견됨.

지묵-골『골』 서정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진-배미『논』 육창 앞에 있는 긴 논.

타래-배미『논』 당매 앞에 있는 논. 타래처럼 생겼음.

토성-안『골』 지묵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토성터가 있음.

대덕-리(大德里)『리』 본래 영광군 육창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봉기동, 대화동, 온양리, 홍정리, 홍주동, 율곡리, 삼청동, 신대리, 송암리, 송림동, 하광리, 봉덕리 일부와 함평군 신광면의 보전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대화와 봉덕의 이름을 따서 대덕리라 하여 군남면에 편입됨.

각시-둠벙(池) 대덕에 있는 둠벙.

깐치-둠벙(池) 대덕에 있는 둠벙.

고리-명당『골』 참샛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고리의 명당이 있었다 함.

광-암(光岩)<송암, 송암리>『마을』 송림 서북쪽에 있는 마을.

광청-머리『모롱이』 봉덕에서 백양리로 가는 모롱이.

기억-골『골』 하광암 동쪽에 있는 골짜기.

노호(老虎)『등』→ 놋등.

노호-등『<노호등, 노호>』『등』 광암 서쪽에 있는 등성이.

놋점-재『고개』 하광암 서쪽에서 용암리로 가는 고개.

누운-골『골』 방까실 북쪽에 있는 골짜기.

달봉-산『산』대덕리에 있는 산.

대우숫-골『골』 큰작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오소리굴이 있음.

대-화(大禾)『마을』→ 한수.

덤-바구『바위』 하감 서쪽에 있는 바위.

돌보-천<돌포천>『내』 봉덕 남쪽에 발원하여 서북쪽으로 흘러서 군남천(군 산천)으로 들어감.

돌포-천『내』→ 돌보천.

땅-재『고개』 웃광암 서북쪽에서 홍주로 가는 고개.

마당-바우『바위』 놋점재 북쪽에 있는 바위. 넓직함.

망태-골『골』 홍주 남쪽에 있는 골짜기.

매봉-산『산』 홍주 동북쪽에 있는 산.

모과장-재<목과치>『고개』 상광암 북쪽에서 방까실로 가는 고개. 모과나무 정자가 있음.

모릿-들『들』 하감 남쪽에 있는 들.

목과-치(木果峙)『고개』→ 모과장재.

무짓-등『등』 무지봉(군산천)밑에 있는 등성이.

밤나무-골(谷) 대덕에 있는 골.

방까-실<율곡리, 율곡>『마을』 봉덕 서남쪽에 있는 마을. 밤나무가 많았음.

방구-바우『바위』 누운골 위쪽에 있는 바위. 방구(농악기)처럼 생겼음.

버드-정『골』 놋등 남쪽에 있는 골짜기. 버드나무 정자가 있었음.

범-바우『바위』 웃광암 북쪽에 있는 바위. 범처럼 생겼음.

봉기-동(奉基洞)『마을』→ 봉대기.

봉대기<봉기동, 봉덕>『마을』 송림 북쪽에 있는 마을.

봉덕(奉德)『마을』→ 봉대기.

비찌락-재『고개』 하광암 서남쪽에서 용암리로 가는 고개. 비찌락(비)처럼 생겼다 함.

상-광암(上光岩)<웃광암>『마을』 광암 위쪽에 있는 마을.

속-들『들』 광암 남쪽에 있는 들.

송림(松林)<송림동>『마을』→ 송림.

송-암(松岩)『마을』→ 광암.

송암-리(松岩里)『마을』→ 광암.

신대(新大)<신대리>『마을』 대덕리에 있는 마을.

시들-빼기『골』 신대 남쪽에 있는 골짜기.

실-둠벙『둠벙』대덕에 있는 둠벙.

안-골『마을』 방까실 안쪽골짜기에 있는 마을.

양삼『골』 광암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양선암(절)이 있었는데 빈대 많아서 없어졌다 함.

언안-들<원안들>『들』 하감 동쪽에 있는 들. 언(둑)안쪽이 됨.

오강-매(村) 대덕에 있는 마을.

여시-고개(峙) 대덕에 있는 고개.

운암-골『골』 신대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웃-광암『마을』→ 상광암.

웃-『마을』 한수 위쪽에 있는 마을.

원안-들『들』→ 언안들.

율-곡(栗谷)『마을』→ 방까실.

율곡-리(栗谷里)『마을』→ 방까실.

죽밭-골『골』 속들 서쪽에 있는 골짜기. 흉년에 죽과 바꾼 밭이 있다 함.

지장-골『골』 하감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집-터『골』 누운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참-샘『우물』 참샛골에 있던 샘. 바위 틈에서 물이 나오는데, 여름철에도 어름처럼 차고 맛이 좋았다 함.

참샛-골<참샛굴>『마을』 한배미 북쪽에 있는 마을. 참샘이 있음.

참샛-굴『마을』→ 참샛골.

칙-재(峙) ?거에 있는 재.

큰-골『골』 무지봉 아래쪽에 있는 큰 골짜기.

큰-작골『골』 한수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팽풍-골『골』 방까실 동쪽에 있는 골짜기. 팽풍(병풍)처럼 생겼음.

하-감<하광암>『마을』 광암 아래쪽에 있는 마을.

하-광암(下光岩)『마을』→ 하감.

학국『산』→ 합곡산.

한-배미<한범>『마을』 대덕리에 있는 마을.

한-범『마을』→ 한배미.

한-수(寒水)<대화>『마을』 광암 서북쪽에 있는 마을.

합곡-산<학국>『산』 신대 북쪽에 있는 산.

홍-주(紅珠)『마을』 한수 서남쪽에 있는 마을.

도장-리(道長里)『리』 본래 영광군 외간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도철리와 장고리, 구평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도철과 장고의 이름을 따서 도장리라 하여 군남에 편입됨.

구렁-골『골』 도천 뒤에 있는 골짜기.

구렁-골『골』 장고 남쪽에 있는 골짜기.

구렁-재『고개』 구렁골 뒤에 있는 고개.

구렁재-방죽『못』 구렁재 밑에 있는 방죽.

구-평(龜坪)『마을』 도철 남쪽에 있는 마을.

노반창-걸『들』 장고 남쪽에 있는 들.

농-바우『바위』 도철 북쪽에 있는 바위.

당산-나무『나무』 도철 동쪽에 있는 느티나무. 해마다 정월 초사흘에 당산제를 지냈음.

도-천(桃川)『마을』→ 도천.

도철(도천)『마을』 장고 남쪽, 냇가에 있는 마을.

뒤-재『고개』 장고 뒤쪽에서 동간리로 가는 고개.

똑-다리『다리』 조간일에서 장고로 가는 돌다리.

마당-바우『바위』 배바위 위쪽에 있는 바위. 마당처럼 넓음.

마당-배미『논』 장구매 위쪽에 있는 논.

몰-무듬『무덤』 장고 북동쪽에 있는 큰 무덤. 1940년에 파보니 옛 그릇, 투구, 칼 등이 나왔음.

문턱-바우『바위』 앞싸리골에 있는 바위. 문턱처럼 생겼음.

배래깃-재『고개』→ 동간리의 "배래깃재".

배-바우『바위』 도철 서북쪽에 있는 바위. 배처럼 생겼음.

부엉-바우『바위』 도철 서쪽에 있는 바위. 부엉이처럼 생겼음.

새땟-재『고개』→ 세뾵재.

새-배미『논』 장고 동쪽에 있는 논.

새뾵-재<새땟재>『고개』 도철 서쪽에서 백양리로 가는 고개.

새뾵재-방죽『못』 새뾵재 밑에 있는 못.

서당-너매『들』 장고 동남쪽에 있는 들. 서당이 있었음.

서당-너매『골』 도철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 서당이 있었음.

아릿-정짓등『등』 정짓등 아래쪽에 있는 등성이.

앞-매『산』 도철 앞에 있는 산.

앞싸릿-골『골』 초장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욧-골『마을』 초장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웃-골『골』 도철 위쪽에 있는 골짜기.

웃-정짓등『등』 정짓등 위쪽에 있는 등성이.

작은-골『골』 도철 남쪽에 있는 골짜기.

장-고(長古)<장구매>『마을』 도장리에서 가장 큰 마을. 앞에 장구매(군 산천) 가 있음.

장구-매『마을』→ 장고.

정짓-등『등』 장구 북쪽에 있는 등성이. 정자나무가 있었음.

조간-일『여울』 도철 동쪽에 있는 여울.

진-골『골』 큰골 남쪽에 있는 긴 골짜기.

진-장등『등』 도철 남쪽에 있는 긴 등성이.

초장-골『마을』 초장골에 있는 마을.

초장-골『골』장고 서쪽에 있는 골짜기.

초장골-들『들』초장골 앞에 있는 들.

큰-골『골』 도철 남쪽에 있는 큰 골짜기.

항-골『골』 도철 동북쪽에 있는 큰 골짜기.

항골-방죽『못』 항골에 있는 못.

동간-리(東澗里)『리』 본래 영광군 외간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오강리, 서변리, 동변리, 장고리 일부와 남죽면의 마읍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동변과 외간면의 이름을 따서 동간리라 하여 군남면에 편입됨.

거북-바우『바위』 장밭에 있는 바위. 거북처럼 생겼음.

건는-들『들』 동편 북쪽에 있는 들.

고라-실『들』서편 서쪽에 있는 들.

광-암<송림, 송림동>『마을』 동간리에 있는 마을.

구랫-들『들』 서편 서쪽에 있는 들.

대두-평(大頭坪)『보』→ 대머리보.

도지기『못』 지와수통 위쪽에 있는 못.

동고-『마을』 동편 동쪽에 있는 마을.

동변(東邊)『마을』→ 동편.

동변-리<동변리, 동변>『마을』 동간리에서 으뜸이 되는 마을.

둠벙-배미『논』 동편 동북쪽에 있는 논. 둠벙이 있었음.

망구-배미『논』 모논 위쪽에 있는 논.

매봉-산『산』 동간리에 있는 산.

모-논『논』 서편 북쪽에 있는 논. 모가 났음.

받오실-논(沓) 동간리에 있는 논.

빨래-방죽(池) 동간리에 있는 방죽.

배-다리1『마을』→ 분교1

배-다리2『』→ 분교2

배래깃-재『고개』 동편에서 도장리로 가는 고개.

범-보<호보>『보』 동편 동쪽에 있는 보.

분-교1<풍운교, 배다리, 주교>『마을』 분교가 있는 마을.

분-교2<풍운교, 배다리, 주교>『다리』 서강 서쪽, 영광읍과 군남면 경계가 있는 다리. 1914년에 놓음.

사달깔크막 동간에 있는 깔크막.

삼효-문(三孝門)『정문』 동간리에 있는 정문.

샘-배미『논』 구랫들에 있는 논. 샘이 있음.

서-강(西江)『마을』→서편.

서변-리(西邊里)『마을』 동편 서쪽에 있는 마을.

서편<서강, 서변리>『마을』 동편 서쪽에 있는 마을.

섬-배미『논』 동편 북쪽에 있는 논. 가운데에 섬이 있어서 두 갈래로 갈라져 있음.

성고-『마을』 동편 서쪽에 있는 마을.

송림『마을』→ 광암.

송림-동『마을』→ 광암.

쇠용-묵<쉬용묵>『논』 서편 북쪽에 있는 논. 수영(병) 목처럼 생겼음.

쉬용-묵『논』→ 쇠용묵.

신기-촌『마을』 동편 서북쪽에 있는 마을.

신축년-방죽『못』→ 지와수통.

신해년-방죽『못』 동편 동쪽에 있는 못.

쌈-둠벙『둠벙』 동편 동북쪽에 쌍으로 있는 둠벙.

아랫-보『보』 서편 서쪽에 있는 보.

안-들『들』 동편 앞에 있는 들.

애나무-배미<외나무배미>『논』 망구배미 위쪽에 있는 논. 땅이 매우 차져서 논을 매는데 애를 먹는다 함.

오리-방죽(池) 동간리에 있는 방죽.

언밑-논『논』 장수논 위쪽에 있는 논. 언(제방)밑이 됨.

오-강(五江)『마을』→ 오강골.

오강-골<오강, 오강리>『마을』 분교 서남쪽에 있는 마을. 오강(요강)처럼 오목함.

오강-리(五江里)『마을』→ 오강골.

왕잿-보『보』 서강 남쪽, 왕재(군 산천)밑에 있는 보.

외간면-터(外澗面-)『터』 동변리 동쪽에 있는 외간면소의 터.

외나무-배미『논』→ 애나무배미.

요강-배미『논』 오강굴 서쪽에 있는 논. 요강처럼 생겼음.

장구-배미『논』 서편 서쪽에 있는 논. 장구처럼 생겼음.

장-밭(長-)『마을』 동편 서쪽에 있는 마을. 장이 섰었음.

장수-논『논』 오강골 서북쪽에 있는 논.

정씨-효열비(丁氏孝烈碑)『비』 분교에 있는 , 효열부 정씨의 비.

주-교1<舟橋>『마을』→ 분교1.

주-교2『다리』→ 분교2.

중-보『보』 동편 북쪽에 있는 보.

지냇-들『들』 구랫들 서쪽에 있는 들.

지와-수통<신축년방죽>『못』 서편 북쪽에 있는 못.

찬-새미『우물』 범보 밑에 있는 샘. 물이 참.

청룡-산(靑龍山)『산』 서강 서쪽에 있는 산.

풍운-교1(豊雲橋)『마을』→ 분교1.

풍운-교2(豊雲橋)『다리』→ 분교2.

함밧-구부『들』왕잿보 밑에 있는 들.

허릿-재1『마을』 장밭 서쪽, 산 허리에 있는 마을.

허릿-재2『고개』 동편에서 서편으로 가는 고개.

호-보(虎洑)『보』→ 범보.

동월-리(東月里)『리』 본래 영광군 마산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순원동, 동기동, 월암, 매화동, 시목정, 천동, 석우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동기와 월암의 이름을 따서 동월리라 해서 군남면에 편입됨.

감남-징이『마을』→ 시목정.

공청-고랑『골』 큰등고랑 동쪽에 있는 골짜기.

구랭이-샘『우물』 생골 동쪽에 있는 샘.

금동-골『들』 순천 뒤쪽에 있는 들.

깔대-배미『들』 시목정 뒤쪽에 있는 들. 갈대밭이었음.

달걀-바우(岩) 동월리에 있는 바위.

덕민-들『들』 월암 북쪽에 있는 들.

덕사-곡(德巳谷)『골』→ 덕삿골.

덕삿-골<덕사곡>『골』 순원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

덤-바우『바위』 월암 동남쪽에 있는 바위. 더미로 되었음.

덤바웃-골『골』 덤바우가 있는 골짜기.

동기『마을』 순원동 서쪽에 있는 마을. 절의 어귀가 됨.

뒷-골『골』 순원동 뒤쪽에 있는 골짜기.

뒷골-재『고개』 뒷골 위에 있는 고개. 월흥리로 감.

등자-거리『골』 덤바우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등잔을 벽에 걸어 놓은 옥등괘벽형(玉燈掛壁形)의 명당이 있다함.

땍맷-골『골』 월암 남쪽에 있는 골짜기.

만선-동(萬仙洞)『마을』 월암 북쪽에 있는 마을.

매화-동(梅花洞)『마을』→ 매홧골.

매홧-고랑『골』 순원동 서쪽에 있는 골짜기.

매홧-골<매홧고랑, 매화동>『마을』 시목정 서쪽, 설매산 밑에 있는 마을.

목-등『들』 순원동 북쪽에 있는 들.

무녀집-터(巫女-)『터』 절골에 있는 터. 무녀집이 있었음.

방아-다리『들』 시목정 북쪽에 있는 들. 디딜방아 다리처럼 생겼음.

분톳-골『골』 월암 서쪽에 있는 골짜기.

새암-골<철동>『마을』 순천 동쪽에 있는 마을.

샘-골<선원동, 순천, 순원동>『마을』 동월리에서 가장 큰 마을, 큰 샘이 있음.

선원-동(仙猿洞)『마을』→ 생골.

수틀갯-재『고개』 동월이에 있는 고개.

순원-동『마을』→ 생골.

시깃-들『들』 동월리에 있는 들.

시목-정1(枾木亭)『마을』 월암 북쪽에 있는 마을. 감나무 정자가 있었음.

시목-정2<감남징이>『마을』 만선동 북쪽에 있는 마을.

시화(枾花)『마을』 시목동과 매화동을 통틀어 일컫는 이름.

심-배미(沓) 동월리에 있는 논.

앵배묵-밭『들』 방아다리 남쪽에 있는 들.

양수-받이(兩水-)『들』 순원동 동쪽에 있는 들. 양쪽 골짜길의 물이 합하여 보가 됨.

옥녀-봉(玉女峯)『산』 월암 서쪽에 있는 산.

외앗-골『골』 땍맷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월개『마을』→ 월암.

월-암(月岩)<월개, 월암리>『마을』 순천 서남쪽에 있는 마을. 덤바우 밑이 됨.

월암-고랑『골』 월암 남쪽에 있는 골짜기.

월암-리(月岩里)『마을』→ 월암.

작은-재『고개』 월암에서 설매리 서당골로 넘어가는 작은 고개.

작은잿-골『골』 큰동 동쪽에 있는 골짜기.

절-골『마을』 동기 서남쪽에 있는 마을. 절이 있었음.

중-보『보』 생골 북쪽에 있는 보.

쥐엄남-재<쥐엄재>『고개』 월암 남서쪽에 있는 고개. 쥐엄나무가 있었음.

쥐엄-재『고개』→ 쥐엄남재.

천-동(泉洞)『마을』→ 새암골.

큰-동『등』 등잔거리 남쪽에 있는 골짜기.

큰등-고랑『골』 큰등 밑에 있는 골짜기.

큰-재『고개』 월암 남쪽에서 설매리로 넘어가는 고개.

황새-바우(岩) 동월이에 있는 바위.

백양-리(白羊里)『리』 본래 영광군 외간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곤지도, 갈마동, 죽정리, 아양리, 백암리, 중촌리와 육창면의 봉덕리 일부 직역을 합하여 백암과 아양의 이름을 따서 백양리라 하여 군남면에 편입됨.

가자-골『골』 갈마 남쪽에 있는 골짜기. 가재가 많았음.

가자굴-밭(田) 백양리에 있는 밭.

갈마(渴馬)<갈마동>『마을』 백암 북쪽에 있는 마을. 목마른 말이 물을 마시는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의 명당이 있다함.

갈마-동(渴馬洞)『마을』→ 갈마.

갓-배미『논』 강나우배미 밑에 있는 논. 갓처럼 생겼음.

강나우-배미『논』 똘속배미 밑에 있는 논.

갱이『논』 도촌 앞 남쪽에 있는 논.

곤지(昆池)『마을』→ 곤질.

광청-동1<광청모리>『마을』 도촌 남쪽, 모롱이에 있는 마을.

광청-동2『들』 광청동에 있는 들.

광청-모리『마을』→ 광청동1.

농-바우『바위』 갈마 북쪽에 있는 바위. 농처럼 생겼음.

농바웃-골『골』 농바우가 있는 골짜기.

다람-배미『논』 청다리목 근방에 있는 논.

당산-매『산』 도촌 북쪽에 있는 산. 당산제를 지냈음.

도랑-배미『논』 도촌 서쪽에 있는 논. 도랑으로 됨.

도-촌『마을』 중촌 북쪽에 있는 마을.

돗정-모리『모롱이』→ 툇청모리.

둠벙-배미『논』 다람배미 밑에 있는 논. 둠벙이 있었음.

뒷-들『들』 도촌 뒤쪽에 있는 들.

똑바람-배미『논』 갱이 위쪽에 있는 논.

똑-다리『다리』 갱이 위쪽에 있는 다리.

똘속-배미『논』 여시배미 북쪽에 있는 논.

맷독-거리『들』→ 맷독골.

맷독-골<맷독거리>『들』 도촌 앞에 있는 들.

몰-잔등『등』 애양 동남쪽에 있는 등성이. 몰(말)처럼 생겼다 함.

미영-밭(田) 백양에 있는 마을.

백-암(白岩)『마을』 중촌 동남쪽에 있는 마을. 뒷산에 흰 바위가 있음.

사락-매(村) 백양에 있는 마을.

산당『골』 백양리에 있는 골짜기.

산탯-골『골』 아양 남쪽에 있는 골짜기. 산태가 났음.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