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청단백질 등급 WPH,WPI,WPC와 필수아미노산 BCAA에 대해서....
단백질은 근육을 만드는 가장 근본적인 원료가 되기 때문에,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거나 근력을 키우고자 하는 사람에게 있어 고품질의 단백질의 섭취는 매우 중요합니다.
근육이고 뼈이고 인체의 모든 세포 대사는 (성장하고 죽는 것) 모두 단백질을 통해 이루어 집니다. 단백질에 들어있는 아미노산의 분자들이 세포들이 특정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스위치 역할을 해주는 동시에 그것의 원자재(원료)가 되기 때문입니다.
근육을 키우는 과정은 근섬유를 이루고 있는 근육세포의 대사작용을 활발히 만드는 것 입니다. 근육에 자극을 가하면 근세포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세포체를 (cellular body) 이루는 물질을 가져다 자기 몸에 붙이게 됩니다.
이 때 세포체가 가져다 쓰는 물질이 바로 단백질 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께서 운동을 하셔서 근육에 자극을 주고, 근육세포들의 성장을 만들려 한다면 당연히 단백질 공급이 온몸에 이루어지게 해야 합니다.
유청 단백질이란?
위에서도 말씀 드렸지만 근육을 키워주는 영양소로 가장 핵심적인 것은 단백질 입니다. 그런데 단백질 중에서도 근육성장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은 유청이라 불리는 단백질 입니다.
유청 단백질은 치즈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맑은 액체 입니다. 이 액체에 담긴 단백질의 품질은 지구상 어느 단백질보다 우수합니다. 소고기나 콩 단백질보다도 월등합니다.
이것은 유청이 다른 여타의 단백질보다, 근육 내 흡수되는 비율이 더 뛰어나고 근육합성을 최적으로 유지해주는 아미노 성분을 다량으로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유청을 만드는 법 (제조공정)
유청을 만드는 법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치즈를 만드는 과정에서 저절로 생산되는 것 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단백질 순도 (포함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필터링 기법을 써야 하는데, 이것인 농축유청 WPC를 만드느냐, 분리유청 WPI를 만드느냐, 혹은 가수분해 유청 WPH를 만드느냐를 결정합니다.
그럼 치즈를 만드는 과정부터 해서 유청 제조 과정을 추적해 보겠습니다. 우선 치즈를 만들려면 우유의 산성도 (수소 이온의 농도)를 특정 값으로 조절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치즈는 아래로 가라앉고 유청은 맑은 액체상태로 가장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여기서 유청을 모아서 유당과 지방을 제거하고 단백질만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필터링을 하게 됩니다. 마치 고운 채로 이물질만 제거하고 깨끗한 것만 아래로 떨어지게 하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이 과정에서 낮은 분자무게를 지닌 유당 (배탈을 일으키는 물질), 탄수화물, 지방 등이 제거되고, 그 다음 멸균과정을 거쳐 증기에 쪄진 다음, 다시 드라이 시켜서 최종적으로 단백질만 포함된 파우더가 형성되는 것 입니다.
위의 필터링 과정은 몃번이고 할 수 있는데, 그 필터링 과정을 통해 단백질 순도가 35% 이상 넘어가기 시작하면 이때부터 농축유청 WPC로 부르기 시작하고, 계속 필터링을 하여 순도가 88% 이상으로 넘어가기 시작하면 분리유청 WPI로 불립니다.
이온 교환식 필터링
유청만 추출해내는 필터링 기법으로 이온 교환식 필터링이 있습니다. 이것은 유청에 염화수소산 (hydrochloric acid) 과 가성 소다 (sodium hydroxide)를 적정비율로 가하면 단백질 분자만 서로 모이게 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 입니다.
이 기법은 유청단백질의 아미노산 분자를 손상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온교환 기법으로 유청 단백질을 만들게 되면, 면역체계를 형성하는 글리코마크로펩타이드 분자나, 항생역할을 하는 이뮤노글로부린, 그리고 BCAA 같은 필수 아미노산을 형성하게 해주는 알파-락탈부민 등이 조금씩 손상됩니다.
울트라 필터링 / 마이크로 필터링
이 두 기법은 근본적으로 같은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것은 유청을 아주 극도로 미세한 구멍을 가진 물리적 필터를 통과하게 해서 단백질만 추출해 냅니다. 마이크로 필터링은 필터링 하는 구멍의 지름이 1 마이크로 미터이고, 울트라 필터링은 0.25 마이크로 미터입니다.
울트라 / 마이크로 필터링은 위의 필터에 유청을 투과시켜 나온 액체를 응고시키고 말려서 단백질을 추출합니다. 이온 교환식처럼 화학물질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본래 아미노 구성이 파괴될 확률이 현저히 낮아집니다.
그래서 좋은 보충제들은 대부분 울트라 / 마이크로 필터링 기법을 사용한 단백질을 포함하게 됩니다. (단 울트라 / 마이크로 필터링 기법에 사용되는 비용은 이온교환식 기법보다 5배 가량 더 들어가게 됩니다)
유청의 종류와 용도
위와 같이 치즈 생산과정에서 필터링을 하여 나오는 유청 단백질은 세가지 종류로 나누어 집니다. 그것은 단백질 순도와 흡수도, 그리고 그 효능의 차이에 따라,
1) 농축 유청 단백질 (Whey Protein Concentrates : WPC),
2) 분리 유청 단백질 (Whey Protein Isolates : WPI), 그리고
3) 가수분해 유청 단백질 (Whey Protein hydrolysates : WPH) 입니다.
첫댓글 이소퓨어가 이온교환식필터링 방식을 사용한 대표적인 보충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