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백린 장군 桂園 盧伯麟, (1875~1926) "이 전투기 타고 일제를 쑥대밭으로 만들자."
1895년 일본 유학생으로 추천을 받아 이갑·유동열 등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게이오의숙에서 보통과와 특별과를 수학하였다.
1898년 세이조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이듬해 11월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1900년 10월 귀국 후, 당시 원수부회계국총장 민영환의 적극적인 주선으로 윤치선·김형섭·어담 등과 같이 육군 참위에 임관되어 한국무관학교 보병과 교관을 담당하여 후진 양성에 진력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 당시 관전사가 되어 권중현을 따라 동삼성의 대련·여순 등지를 두루 시찰하고 귀국한 뒤,
정위·참령·부령·정령으로 승진, 육군무관학교교장·헌병대장·육군 연성학교교장 등 육군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907년 8월 한국군이 강제 해산당하고 육군 연상학교도 폐교되자 군부 교육국장직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 뒤 경술국치 때 낙향하여 신민회 운동에 관여하기도 하고 김구와 함께 해서교육총회장으로 교육 운동을 전개하였다.
1916년 미국 하화이로 망명하여, 1918년 「태평양시사」를 창간하였다.
이후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중국 상해로 건너가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무총장의 중책을 맡았다.
독립전쟁 필요성을 설파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 여러 도시를 순방하며 한인사회 단결을 호소하였고, 1920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도착하여 재미 동포인 김종림의 지원을 얻어 항공 학교를 설립하고 공군 용사를 육성하였다.
그 뒤 192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에 취임하였다.
1925년 4월 국무총리를 사임하고 그 해 5월 참모총장이 되어 독립군 육성에 헌신하였다.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워싱턴 구미위원부에서 외교 위원으로 소련에 파견되어 외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병마와 오랜 사투 끝에 1926년 1월 22일 영면하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회장으로 상하이 쑹칭링묘 공원묘역에 안장하였다.
1993년 8월 국립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되었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 당시 한 연회가 벌어지고, 대한제국과 일본의 고위직 관료들이 한자리에 모인 모양이다.
그 연회 자리에서 마침 노백린 장군이 이완용과 송병준 등 역신(逆臣)들을 만나는데..
그들이 건네는 인사를 무시하고 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보는 앞에서 그들 역신들을 개취급 하며 워리,
워리하고 불렀다는 구나.
이완용과 송병준이 참으로 무안했겠지. 한참 어린 하급자에게 망신을 당했으니.
그런데 이 말을 알아들은 일본 주차군 사령관 하세가와가 격분해서 칼을 빼어들고, 젊은 노백린 장군도
지지않고 맞서서 칼을 빼어 들어 결투 직전까지 갔지만, 주위의 만류로 싸움이 벌어지진 않았으나..
그날 분위기가 싸해지면서 파회하게 만들었다고 하는구나."
그만큼 군인으로서 강직하고 기백넘치는 분이었단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이 자가 사람인걸까?
사람 잡아먹는 악귀(惡鬼), 일본의 개(犬)라고 불러도 심하지 않다고 봐.
아니..그건 개에게도 엄청난 모욕일 터, 아빠가 개에게 사과해야 될 일일지도.
아들아, 노백린 장군은 군대해산 후 육군연성학교장 자리에 물러났다.
이 시기에 그는 이미 신민회(新民會)에 참여하여 항일결사운동을 시작했고, 경술국치를 맞게 되자 그는 그대로 퇴역했지.
사실 일본이 이런 분은 그냥 두지 않아. 적으로 만들면 위험하니까.
그래서 일본의 회유와 협박을 다 받았지.
노백린 장군은 망명길에 나서 미국,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톡, 중국 상해 등을 떠돌며 무장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단다.
미국땅에서는 박용만 선생과 함께 국민군단을 조직하여 항일독립군을 양성하고,
항일투쟁을 위한 비행사 양성학교를 세웠는데 향후 전쟁은 육군이 아니라 공군력이 좌우한다는 것을
일찍 내려다 본 노백린 장군의 탁월한 안목이 돋보인다 할 것이다.
이게 노백린 장군이 대한민국 공군의 아버지라 불리는 이유야.
한성과 상하이의 임시정부에서 군무부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와 참모총장으로 평생을 군인으로서
국내진공작전을 준비하며..항일무장독립투쟁에 매진했는데
안타깝게도 그 뜻을 미처 다 펴보지도 못하고 그만 1926년 지병으로 상해에서 순국하시게 된다.
노백린 장군은 말년까지 대한제국군 육군 정령 정복을 즐겨입었고,
항상 말씀하시기를 이 정복을 입고 말을 타고 남대문으로 입성 했으면 좋겠다 하셨지.
노백린 장군의 아드님이신 노태준 선생도 광복군 제2지대의 핵심 간부를 맡아 활약한 군인이자 독립운동가로
활약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