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 미상, 「이화전」
http://nownforever.co.kr/xe/index.php?document_srl=22807&mid=gul_basic
http://blog.naver.com/kyorai/120128051376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yunsam&logNo=100164112421
[해제] 이 소설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로서,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우리 나라와 중국에서 요귀와 다투는 장수 이화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작품의 전반부는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하고, 후반부는 중국을 배경으로 하였다는 점과 임진왜란 당시의 현실 세계와 인물을 소재로 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전래의 요귀 퇴치 설화를 모티프로 하여 비현실적 내용을 다루고 있는 전기 소설로 분류할 수 있다.
[주제] 요귀와 다투는 장수 이화의 이야기
[줄거리] 임진왜란 때 구원병을 이끌고 왔던 장수 이여백은 전사하여 한 고을의 귀신이 되었다. 이 고을에 새로 부임한 장수 이화는 이여백의 도움으로 나무에 붙은 요귀를 퇴치하고자 하나 암여우가 중국으로 도주하여 궁지에 몰리게 된다. 이여백의 조언을 바탕으로 매를 숨겨 들어간 이화는 여우의 정체를 밝혀 위기를 모면한다.
27. 작품의 내용 파악 5
{정답이 정답인 이유}
귀인으로 위장한 여우가 변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명을 내리도록 하였다는 점은 이 글의 내용을 통해 찾아볼 수 없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이여백은 은행나무에 여우 한 쌍이 있음을 알려 주면서 일시에 둘을 다 잡아내면 변이 없으리라고 충고하였다.
② 이화가 나무를 베려 하자 모든 관리와 백성들은 영험함을 들어 이를 말리고자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들이 백수 노옹과 노파(두 여우)를 신선으로 여기고 있음이 드러난다.
③ 군사들이 은행나무를 베었을 때 유혈이 낭자하자 군민들은 당황하며 나무를 베지 말 것을 다시 한번 간청하지만 이화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④ 이화가 암여우를 놓치고 서늘한 마음을 진정하지 못하여 취한 사람처럼 바보처럼 지냈다는 표현에서 알 수 있다.
28. 서술상 특징 파악 2
{정답이 정답인 이유}
㉡은 이화의 큰 목소리를 과장되게 서술한 내용으로, 초현실적인 상황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많은 사람이 나무를 에워싸고 진을 쳤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억만 사람으로 겹겹이 둘러 진을’ 쳤다고 표현하고 있다.
③ ㉣과 ㉧에서는 여우가 여러 모습으로 변신하는 존재라는 점을 보여 주는데 여기에서 동물 변신 모티프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④ ㉤은 고전 소설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어휘로서 장면의 전환을 나타 낼 때 사용된다. 비슷한 기능을 하는 어휘로 ‘각설’이 있다.
⑤ ㉥과 ㉦이 가리키는 인물은 모두 ‘황제’인데, 고전 소설에서는 이처럼 동일한 인물에 대한 호칭을 달리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29. 감상의 적절성 평가 5
{정답이 정답인 이유}
<보기>에 의하면 이 작품은 가공의 승리를 통해 왜적에 대한 울분을 해소했던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한 다른 소설과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많은 사람이 힘을 모아 여우를 퇴치했다는 점을 이와 연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주인공 이화에게 도움을 주는 이여백은 실제 임진왜란 때 출병했던 명나라 장수인데, 이러한 역사적 인물의 등장은 이 작품이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이라는 점을 보여 준다.
② 이 작품은 많은 전기 소설들과 달리 현실 공간인 우리나라와 중국만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성을 나타낸다.
③ 주인공이 다양한 방법으로 요귀를 퇴치하는 내용의 설화는 우리 고전 문학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작품에서 이화가 매를 통해 여우를 퇴치하는 것 역시 이러한 요소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④ 귀신이 된 이여백의 도움으로 사건이 전개되는 것은 이계의 존재가 서사 진행의 원동력이 되는 특이성을 보여 주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30. 구절의 의미 파악 3
{정답이 정답인 이유}
[A]에서 이화는 매를 사 갔다가 다시 돌려주겠다는 의사를 우회적으로 밝히며 매를 팔 것을 간청하고 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는 부분은 찾아보기 어렵다.
② 상대방의 애매한 태도에 대한 비판은 나타나 있지 않다.
④ 상대방에게 닥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경고한 것이 아니라 상황이 개선되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들고 있다.
⑤ 상대방의 상황을 이해해 주는 부분은 보이지만, 자신이 처한 상황을 근거로 반대 의사를 밝히는 부분은 찾아볼 수 없다. 자신이 꼭 사 가고자 한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을, 상황을 근거로 한 반대 의사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