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아미타불...()()()...
토막 상식입니다...ㅎ...
‘총각김치’의 유래
‘총각’은 한자어이다.
총(摠)은 ‘다 총’의 뜻을 가진
‘모두’라는 의미로 널리 쓰이고 있지만
원래는 ‘꿰맬 총’, ‘상투 짤 총’이다.
각(角)은 ‘뿔 각’으로 뿔을 뜻한다.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맸다.
이 머리를 ‘총각’이라 했는데 총각 머리를 한 사람의
대부분은 장가가기 전의 남자였다.
이러한 연유에서 생긴 말이 바로 ‘총각김치’이다.
‘총각김치’는 어린 무를 무청째
양념에 버무려 담은 김치를 말하는데,
그 어린 무가 마치 ‘총각’머리와 닮았다 하여
‘총각김치’라고 부르게 되었다.
- 김상영 / 코리아만세닷컴 대표 -
남녀 성별 기호의 유래
남녀 성별 기호(♂·♀)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남성을 나타내는 기호(♂)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전쟁의 신 ‘아레스’가
창과 방패를 가지고 있는 모습을 표현했다.
여성을 나타내는 기호 (♀)는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가지고 있던
손거울의 모양을 상징한다.
로마신화에서는 전쟁의 신
‘아레스’를 ‘마르스’라고 부르고,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를 ‘비너스’로 부른다.
- 손지윤 정리/김상영(코리아만세닷컴 대표) -
첫댓글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창과 방패로 번노의 적을 무찌르고,
보배거울로 자신을 비추어 보고...
고맙습니다. 나무 아미타불!
떠꺼머리 총각이라는 말도 생각 나네요. 저도 아직 장가 안갔으니 어른이 아니고 총각인감유??? ㅋㅋ
나무아미타불
예 그렇군요 총각이란 의미 하하 나무아미타불
총각김치와 남녀성별 기호의 유래 잘보고 갑니다.
하심님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