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
일본 노인들이 옷장 속에
돈다발을 보관하는 5가지 이유
1000兆원 육박하는
일본의 단스예금
내년 7월 신권 발행
앞두고 전전긍긍
“드러나는 게 싫어서 단스예금으로 오래 갖고
있었는데, 내년에 신권이 나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세무서에 신고해야 하나요?”
2024년 7월 새 지폐 발행을 앞둔 일본에서
‘단스(タンス·장롱)예금’ 보유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단스예금은 은행 같은 금융회사에 맡기지 않고
안방 옷장이나 개인 금고에 보관하는 현금을
의미한다.
단스예금은 일본 가계의 금융자산 동향을
살필 때의 중심 지표다.
일본은행(BOJ)이 매년 정기적으로 단스예금
추이를 발표할 정도다.
3일 일본은행에 따르면, 일본 가계의
단스예금은 매년 늘어나 지난 3월엔
107조엔(약 967조원)에 달했다.
내년도 우리나라 예산(657조원)을 크게 웃도는
뭉칫돈이 안방 장롱에서 잠자고 있는 것이다.
단스예금의 대부분은 60대 이상 고령층이
보유하고 있다.
일반 가정용 금고에 1만엔 지폐를 꽉꽉
채우면 4억엔(약 36억원)까지 들어간다고
한다.
----내년 7월에 디자인이 바뀌어 나오는 일본 지폐는
총 3가지(1000엔, 5000엔, 1만엔)로, 전부 새 인물로 바뀐다.
3D 홀로그램 위조 방지 기술이 세계 최초로 탑재된다.
사진에 보이는 화폐가 신권이다----
< 로이터 >
일본은 전통적으로 현금 선호 현상이
강하긴 하지만, 특히 고령층이 단스예금을
좋아한다.
크게 5가지 이유가 꼽힌다.
첫째, 은행 ATM에 가지 않고서도 언제든지
원할 때 돈을 쓸 수 있어 편리하고,
둘째, 금융회사가 문 닫을 것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셋째, 상속 시점에 재산 동결을 걱정할 필요가
없고,
넷째, 정부에 내 재산을 노출하지 않아도 되고,
다섯째, 가족에게 알리지 않으면서 돈을
모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자산가들은 단스예금을 가족을 위한 절세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일본은 전세계에서 상속세율(최대 55%)이
가장 높기 때문에, 세무당국 모르게 장롱 속
현금으로 물려줘야 가족이 절세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돌아가신 어머니 옷장 안에서 돈다발을
발견했는데, 이 돈도 상속세 신고 대상인가요?’
등 뒤늦게 발견된 단스예금에 관련된
질문들이 많다.
<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이연주 >
그런데 일본 정부가 내년 7월부터
신권을 유통한다고 발표하면서 단스예금
보유자들이 좌불안석이다.
일본은 위폐 방지를 위해 20년 주기로
화폐 디자인을 바꾸고 위변조 방지 기술도
업그레이드한다.
고령자들은 단스예금이 위법은 아닌지,
혹시라도 신권으로 교환하는 과정에서
세무조사 대상으로 잡히게 되는 건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
일본 가정의 단스예금은 고령화와
맞물리면서 사회적으로 여러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도난, 화재, 분실 등의 위험이 대표적이다.
지난 해 일본 경시청에 들어온 현금 분실물
신고 금액은 총 40억엔이었는데,
1940년 이후 역대 최대치였다.
노인들이 단스예금이 있다는 사실을 병에
걸려서 혹은 치매로 기억하지 못한 채
사망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쓰레기장에서는 현금 다발이 종종 발견된다.
올 초 홋카이도 삿포로시의 한 쓰레기
처리장에선 1억원 상당의 지폐가
종이더미에서 발견되면서 화제가 됐다
----지난 1월 홋카이도 삿포로시의 쓰레기 처리장에서 발견된
1억원 상당의 돈다발. 일본 각지에서 16명이 '내 돈'이라고
주장했지만 증거가 없어 전액 삿포로시에 귀속됐다----
< 일본TV >
수십 년 동안 장롱이나 금고 속에 숨어있던
돈들이 세상 밖으로 나올 것인가.
금융권에선 단스예금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에바타요시아키(江幡吉昭)
아레스패밀리오피스 대표는
“단스예금을 상속세 절감 대책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은데 내년에 신권이 나오면
상황이 달라질 것”
이라며
“신권 발행 이후에도 구권은 계속 사용할
수 있지만 만약 은행 창구에 구권을
대량으로 갖고 가면 돈세탁, 세금탈루,
은닉자금 등으로 의심 받을 가능성이 높다”
고 말했다.
전세계적인 물가 상승세가 단스예금
보유 의지를 꺾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현금을 보유하는 것이
불리하기 때문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초저금리로 은행 예금 금리가
0%대이니 금융회사에 돈을 맡길 필요가
없었고 단스예금도 합리적인 선택이었다”
면서
“하지만 기업 실적 향상으로 일본 증시가
꾸준히 상승하면 단스예금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
고 말했다.
<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이연주 >
여전히 현금 쟁이기가 우선인 일본과
달리, 한국에선 은행 예·적금 예치가 더
인기다.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금융회사에 맡기면 더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꽁꽁 숨어있던 돈이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는 징후는 이미 나타나고 있다.
올 상반기 고액권인 5만원 지폐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 비율)이
77.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사임당 지폐가 시중에서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다는 의미다.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소속
조영욱 부장(세무사)은
“한국에선 상속세를 계산할 때 금융자산
2억원까지는 비과세되는데 단스예금
(현금)이라면 제외된다”
면서
“세금 신고가 되지 않은 재산은 향후
부동산 취득 시 자금 출처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점도 알아둬야 한다”
고 말했다.
이경은 기자
[출처 : 조선일보]
[100자평]
Rooos
상속세, 증여세는 사실상 이중과세라고 봐야됩니다.
조금씩 단계별로 인하해야 하고 해외 투자도 국가에
달러를 벌어다 주는 행위인데 리스크는 국민이
감당하고 국가는 양도소득세를 22%나 부과하는건
너무 과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투자전 네이버에서 1922QQ 치시면 500개 기업
분석과 전망, 목표가, 투자등급 전부 무료로
공개되어있으니 꼭 참고해보세요.
brain
고령층을 중심으로 지나친 세금 부담을 덜어주어 돈이
돌게 만드는 금융정책이 따라야 한다.
삼암
상속 증여세 폐지해라..
Veritas
상속, 증여세 면세액 최소 100억원 이상으로
인상해라~!!
mylup
상속세,증여세는2중과세의 성향이니 최소화하여
산업,경제를 좀 더 활성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봅니다.
달식
기업의 상속세는 상속된 주식에 대해서는 상속세를
물리지않고 그 주식을 현금화 했을때만 세금을
물려야지 그렇치 않으면 경영권 방어가 힘들다.
특히 몇년후 많은 기업이 국민연금공단으로
넘어갈판이다.
중소기업은 그데로 뺏기는 현상이 발생해 요즘
싱가포르로 본사를 옮긴다는데
토오루
꼭 일본사람들에 국한된 얘기는 아닐지도,,,
돈다발을 끌어 안고 있어야 안심이 되는 것 과
직접 눈으로 보며 얻는 만족감, 뭐 이런 요인도 있겠지.
일편단심 내돈!?
인간의 생명은 영원치 않다.
참고인
예전처럼 은행에 맡기면 년 10% 이상의 이자를
줘야 한다.
이 돈을 쓰는 사람은 정당한 이자를 내고 써야
하는 게 옳다.
그런데 지금은 중앙은행에서 돔을 마구 찍어내어
은행에 제공하고 이를 싼 이자로 풀어 먹이니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다.
통화량을 엄격히 제한하고 국가든 개인이든 빚을
줄이는 구조로 나가야 한다.
간첩을잡자
강소기업을 상속할 때 가업을 이으면 일정기간
상속세는 유보하고 10년이상 가업을 이을 때는
최소세율로 하여야 한다.
이은주82
새금땜에 범죄자 되는게 태반인데 낸 세금. 왜 또 내게하냐
상속세는 페지가 답이다.
달식
우리나라도 시골의 많은 노인들이 현금을 집에 보관
한다는데 그 이유는 노인 기초연금 타 먹고 노인
취로 사업 나가면 돈받고 이거는 생각 해 봐야 할 문제다.
bearking
단스, 오랫만에 들어보네, 단스 예금,
그딴게 있었구나.
블랙재규어
한국도 금고 많이 팔리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