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의 이해
言
말씀(언) |
말씀이란(言), |
言語(언어) 言行(언행)
三思一言(삼사일언) |
머리의(亠) 생각을 가슴으로 두(二) 번 더 걸러서
입으로(口) 말하는 것이다. |
亠(돼지해머리)
(머리,두) |
訓
가르칠(훈) |
(순리대로 흘러가는) 냇물의(川) 그 이치대로 살라며
말씀하는(言), |
川(내,천)
順(순할,순) / 順理(순리) |
그 가르침(訓)
*上善若水(상선약수);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노자(老子) |
敎訓(교훈) 訓長(훈장)
訓練(훈련) 訓戒(훈계) |
論
논할(론) |
조리(侖) 있는 말씀으로(言), |
侖(조리,륜) |
논하다(論) / 논의(論議)하다 / 토론(討論)하다. |
言論(언론) 論說(논설) |
議
의논할(의) |
옳은(義) 말씀만을(言) 서로 나누어 |
義(옳을,의) 正義(정의) |
의논하다(議) |
論議(논의) 討議(토의)
國會議員(국회의원) |
計
셀(계) |
(십진법) 열 가지의(十) 숫자로 말하여(言), |
十(열,십) |
물건을 세다(計)/ 계산(計算)하다. |
計器(계기) 合計(합계)
總計(총계) |
記
적을(기) |
자기(己) 주위에 발생한 얘기들을(言) |
己(몸,기) / 自己(자기)
談(言); 말씀(담) |
적어(記), 기록(記錄)하다. |
日記(일기) 記憶(기억)
史記(사기) |
誘
꾈(유) |
(우수한)빼어난(秀) 말솜씨로(言), |
秀빼어날(수)
優秀(우수) 言辯(언변) |
사람을 꾀다(誘) / 유혹(誘惑)하다. |
誘導(유도) |
許
허락할(허) |
도서관 출입은, 낮에만(午) 허락합니다(言) |
午(낮.말,오) |
말이(午) 고개를 끄덕여(言), 허락하다(등에 타도 된다며..) |
許諾(허락) 不許(불허)
許可(허가) 免許(면허) |
誠
정성(성) |
어떤 사람이 성공했다는(成) 말은(言),
피눈물나는 노력과 정성을(誠) 기울였다는 것이다. |
成(이룰,성) 成功(성공)
精誠(정성) 誠實(성실) |
큰 성을 완성했다는(成) 말은(言),
엄청난 정성을(誠) 쏟아부었다는 얘기다. |
完成(완성) 城(성,성)
誠意(성의) 誠金(성금) |
詳
자세할(상) |
말 못하는 양도(羊)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말씀을(言) |
羊(양,양)
言 / 說明(설명) |
자세하게(詳) 해주십시오. |
昭詳(소상) 詳細(상세)
仔詳(자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