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sh (that) 가정문 용법
wish (that) 가정문 용법 : He wishes|that he could have lived|in these old times,
㉮ [사전에서] [한컴] ③ 《+(thɑt)[절]》 ⦗가정법을 수반하여⦘ …하면 〔…했으면〕 좋겠다고 여기다《사실과 반대되는 사태에 대한 소원》• I ~ I were rich. 내가 부자라면 좋겠는데 • I ~ (thɑt) it would not rain. 비가 안 오면 좋겠는데 • I ~ 〔~ed〕 I hɑd met her. 그녀를 만났으면 좋았을 텐데 하고 생각한다〔생각하였다〕(=I regret I did not meet 〔regretted I hɑd not met〕 her.) • I ~ 〔~ed〕 my dream would come true. 내 꿈이 실현되면 좋겠는데 하고 생각한다〔생각하였다〕. ★ 마지막 2개의 보기처럼 가정법은 주절의 동사 wish의 시제의 영향을 받지 않음.
[다음] wish+that절 (가정법을 이끌어) (현실과는 반대로) […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다, 바라다, 빌다 참고 (※that은 보통 생략함)
I wish I were a bird. 새라면 좋으련만
I wish it were[(비격식) was] morning. 아침이라면 좋겠는데
I wish (that) I may live to see it. 장수해서 그것을 보고 싶구나
It is to be wished that the unification issue will soon be settled.
통일 문제가 빨리 해결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I wish (that) I had more friends. 친구가 더 많았으면 좋겠다(※that절에는 과거시제 사용).
I wish (that) I was going away. 내가 떠나면 좋을텐데.
He wished he had phoned for a cab. 그는 전화로 택시를 부르기를 바랐다.
(※과거의 일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that절은 과거시제 사용).
I wish I could paint. 나는 그림을 그릴 수 있었으면 좋겠다(※that절에 could 사용).
I wish he would come. 그가 왔으면 좋을 텐데(※that절에 would 사용).
I wish I had a little sister. 여동생이 있으면 좋을 텐데.
[Ox] 보통 현재 진행형으로는 쓰이지 않음]
<가능성이 낮거나 불가능한 일을 바라며 ‘…이면 좋겠다’고 생각함을 나타냄>
[V (that)] I wish I were taller. 나는 키가 더 컸으면 좋겠다.
(英 또한) I wish I was taller. 나는 키가 더 컸으면 좋겠다.
I wish I hadn’t eaten so much. 내가 그렇게 많이 먹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그랬다).
‘Where is he now?’ ‘I only wish I knew!’ “그가 지금 어딨니?” “나도 좀 알았으면 좋겠어!”
I wish you wouldn’t leave your clothes all over the floor.
네가 옷을 온 바닥에 내버려두지 않았으면 좋겠어.
[교학사] 1. …이면 좋겠다고 생각하다(hope), …이기를 바라다((that)(節)).
I wish (that) it would not rain. 비가 안 오면 좋겠는데.
I wish I had never been born.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않았으면 좋았을 것을
㉯ [내카페]
㉠• I wish + 주어 + [be동사→were], 과거동사 :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의 반대)
• I wish --+ I were a bird. (가정법 과거) 현재 실현할 수 없는 일에 대한 소망
= I am sorry - -+ I am not a bird. (직설법 현재)
㉡• I wish + 주 + had + p.p :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에 실현하지 못한 소망)
I wish-+ I had learned English. (가정법 과거완료)
= I am sorry --+ I didn't learn English. (직설법 과거)
I should have learned English. : ~했어야 했는데
㉰ [문법첵] ㉠ wish, would (that) + 가정법 과거 —현재 실현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일을 가정할 때 사용 ➔ 현재 이룰 수 없는 소망 (~라면 좋을텐데)
I wish I were a pilot! = I am sorry I am not a pilot.
파이럿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was를 쓰는 경우도 있다.]
Would that I were young again! 다시 젊어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 소망을 나타내는 wish, would 등의 뒤의 절에 쓰이어, 과거에 실현되지 못한 소망을 나타낸다.
I wish you had told me that. = I am sorry you didn’t tell me that.
그것을 나에게 말해주었으면 좋았을 것을 didn‘t – 기제에 유의
He wished he had worked harder. 더 열심히 공부했었더라면 좋았을 것이라고 그는 생각했다.
㉱ [Internet] I wish + 가정법과거/가정법과거완료 ->
현재 또는 과거 사실에 대한 후회나 안타까움을 가정하여 나타내는 표현
㉠ I wish+주어+동사의 과거형
가정법 과거는 I wish+주어+동사의 과거형의 형태 - 현재 이룰 수 없는 소망을 가정하여 나타내는 가정법 [~라면 좋을텐데]
I wish I were a doctor. 내가 의사였다면 좋을 텐데.
= I am sorry (that) I am not a doctor. 유감스럽게도 나는 의사가 아니다.
➔ I wish 가정법의 경우 I am sorry (that) 구문의 직설법으로 바꿀 수 있는데, 가정법 과거는 현재 사실에 반대라는 것을 나타내므로 과거시제는 현재 시제로, 긍정은 부정으로, 부정은 긍정으로 바꿔줘야한다.
I wish I were man. (내가 남자라면 좋을텐데.)
I wish I were young again. (내가 다시 젊어진다면 좋을텐데.)
I wish 가정법 과거동사 지금 실제로는 그러하지 않지만, 불가능한 일들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할 때, 즉 '~하면 좋겠다' 라고 표현하고자 할 때는 I wish + 주어 + 동사의 과거형(be동사는 were) 형태의 가정법을 사용한다.
㉡ I wich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과거 완료는 I wish + 주어 +과거완료 (had pp) 형태로 쓰이며 [~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 과거완료[대과거]의 형태이지만 과거의 의미를 나타낸다.
I wish I had studided hard at school. 학교에서 열심히 공부를 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 I am sorry (that) I didn't study hard at school.
유감스럽게도 나는 학교에서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다.
➔ 직설법 I am sorry that 구문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며, 가정법 과거 완료는 과거시제로 , 긍정은 부정, 부정은 긍정으로 바꿔준다.
「as if 주어+과거동사」는 → [가정법 과거], 「as if 주어+had pp」→[가정법 과거완료]가 형태와 같은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