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룸(Bodrum)
보드룸은 고대의 할리카르나소스(Halicarnassus)에서 시작되었다.
이 지역은 카리아(Caria) 라고 불렸는데 그리스에서 이주해 온 도리아인이 도시를 건설하였다.
이 도시에 있는 영묘(Mausoleum)의 주인공은 BC 4세기 중반의 왕 마우솔로스(Maussollos)로서.
그는 카리아 지방의 샤트랍(페르시아 속주의 총독)의 지위에 있었으며 수도를 밀라스에서
할리카르나소스로 옮겼다. 그의 관 등 유물은 보드룸 성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보드룸 항 해안도로 뒷편 언덕에 자리잡은 상가와 주택-

-보드룸 시가지-

-보드룸 성(성 요한 성채 : Castle of St. John)-

** 보드룸 성(Bodrum Castle)은 1406 - 1522 어간에 성 요한 기사단이 터키와 비잔틴(동 로마)양식으로
건설하였다. 로도스(Rhodes)섬에 본부를 둔 십자군은 예루살렘으로 가는 루트를 확보하면서
아나톨리아 해안의 해적 퇴치를 위해 아나톨리아 해안과 섬들에 많은 성들을 건설하였다.
이 시기에 로도스 섬의 기사들과 성 요한 기사단은 할리카르나소스에 대 규모의 성채를 건설한다.
-보드룸 성 앞에 있는 요트 항-

** 터키 국민들은 국기를 사랑하고 국기계양을 좋아 하는것 같다. 애국자들이 많다는 증거일 것이다.
-보드룸 성채 입구의 항구 감시탑-

** 감시탑 옆에는 역사학자 헤로도토스 와 작가 카바아가슬리의 흉상이 서 있고 입장객 통제를 위해
가설한 철책문 상단에는 "해저 유물 고고학 박물관" 간판이 붙어 있다.
기둥에는 "1995년 유럽지역 올해의 박물관 상" 상패가 붙어 있다(사진의 5시 방향).
-역사 학자 헤로도토스(Herodotos) 와 작가 카바아가슬리(KABAAGAçLI)-


** 좌 : 보드룸에서 태어난 헤로도토스(484-425 BC)는 "역사의 아버지"로 불린다.
BC. 480년의 살라미스 해전에서 용맹하기로 유명했던 여왕 아르테미시아의 아들이 집권하면서
독재자로 변하자 민주혁명을 시도하다 실패하고 아테네로 망명한 그는 망명 생활 중에
아나톨리아와 그리스, 바빌로니아, 이집트 등 방대한 지역을 여행하면서
9권에 이르는 역사서를 저술하게 된다.
우 : 보드룸의 어부 카바아가슬리(Cevat Sakir KABAAGACLI : 1887-1973)는 보드룸과
"바다와 선박 조종술(Sea and Seamanship)"에 대하여 저술한 20세기 터키의 작가이다.
-보드룸 성채 주변 요도-

-복원 이전(1964년)의 보드룸 성 전경-

-2010 년의 보드룸 성-

** 홍보지 사진 스캐닝.
-보드룸 성( Castle of St. John)-

** 해상에서 본 보드룸 성
-성루(Tower of Castle)-

** BC. 334 년 알렉산더 대왕의 원정에서는 대부분의 도시가 성문을 열었다. 하지만 할리카르나소스 만이
완강히 저항하였다. 도시 서쪽에 있는 민두스 문은 고대 할리카르나소스의 얼마되지 않는 유적 중 하나지만
이 성문의 수로에서 알렉산더 대왕의 많은 병사가 익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보드룸 성채 주변 요도 7번)
-보드룸 성채 조감도-

**성 요한 기사단이 건설한 보드룸 성의 석재는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의 하나라는
영묘, 마우솔레움(Mausoleum)에서 운반된 석재였다. 성채 건축에 참여했던 건축가
슐레겔홀트(Schlegelholt)는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기고 있다.
"우리는 영묘를 허물어 내리고, 부수고, 박살을 내었다."
성채가 완성되기까지는 20년 남짓 세월이 결렸는데 기사단은 여러나라에서 온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그로 인해 독일 탑, 이태리 탑, 프랑스 탑, 영국탑 등 서로 다른 시기에 각각의 나라 이름을 붙인 탑이 세워졌다.
- 성내 풍경-

해저유물 박물관
보드룸 성 내부는 해저 유물 고고학 박물관으로, 복원한 침몰선, 암포라(Amphora), 유리그릇 등
해저에서 인양한 다양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기타 지하 감옥, 중세의 무기 등의 보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난파선 복원 모형-

** 이 선박은 AD 4세기 후반 로마의 침몰선으로 보드룸 인근의 야씨아다 섬(Yassiada Island) 남쪽,
32 - 39 m 의 수심에서 1961 - 1964 년에 인양되었다.(모형은 1/20 비율로 제작된 것이다.)
이 상선의 길이는 19 m, 폭 5.22 m 이다. 인양시에는 미국 펜실바니아 대학원생들이 참여했고
복원시에는 미국 텍사스 A&M 대학교 해양고고학 연구회가 참여하였다.
-난파선 복원 실물(선수 와 선미) -


** 위의 복원 선박은 분리 된것이 아니고 전체 촬영이 불가하여 따로 촬영한 것이다.
다음 사진은 중간 부분으로 절단면과 내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 복원된 난파선의 선창과 화물-

** 절단면을 통하여 선창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이 복원선은 갑판에 올라갈 수도 있다.
-청동기 시대(Bronze Age)의 선박 복원 모형-

** BC. 12 세기에 침몰한 시리아(Syria) 상선은 다량의 쇠가죽 모양의 금속 괴(덩이)와 청동 연장들을
선적하고 있었다. 1:1 스케일의 복원 모형은 부두에 계류한듯이 전시되어 있다.
-난파선의 화물-

-네페르티티(Nefertiti)-

** 이 모조품은 이집트 텔 엘-아마르나(Tell el-Amarna)에서 출토된 유명한 흉상이다.
네페르티티는 파라오 아케나텐(Akhenaten)의 부인이었다. 해저 유물로는 가장 작은것 중의 하나이다.
입혔던 순금은 낡아 없어졌으나 순금 입힌 이집트 여왕의 토기 흉상으로는 유일한 것이다.
상형 문자로 네페르티티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왕과 여왕의 사망 후 사제들은
이집트에 유일신 신앙을 도입하려던 왕과 여왕의 이름을 지워버리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금속 공예품 과 생활 도구-


**왼편 : 금판 모양의 펜던트 와 프랑스식 구슬 목걸이 등의 장신구
오른편 : 청동 도끼, 낫, 낙시 바늘, 쇠스랑 등 각종 생활 도구들 .
-글라스 갤러리(Glass Gallery)의 유리제품-

** 1985년 설치되었다가 2004년 혁신적으로 개조된 이 유리제품의 전시관은
조명의 광원을 전시품 밑에 설치하여 전시품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하였다.
- 부장품 (Jewelry of Dead)-

** 헬레니즘 시대의 신앙에 의하면 죽은 사람이 지하 세계인 하데스(Hades)에 들어 가려면
스틱스 강(Styx River)을 건너야만 한다. 강을 건너려면 스틱스 강의 뱃사공 카룬(Kharun)에게
뱃 삯을 주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죽은자는 그의 눈, 입 혹은 손에 동전을 가지고 묻히게된다.
금판으로 된 안대, 입 마개 그리고 머리띠 역시 부장품으로 노잣돈으로 사용될 것이다.
-마우솔로스(Maussollos)의 주화-

**오른쪽 면에는 마우쏠로(MAUSSOLLO)라는 글씨가 양각되어 있다.
-조각품과 석관-

-퀸 아다(Queen Ada)의 왕관-

**여왕 아다(Queen Ada)는 페르시아의 샤트랩(Satrap :총독)으로 BC. 344 - 341 년 어간에
이곳 카리아(Caria) 지방을 다스린 바 있다. 1989년 발굴시 출토되었다.
-금 세공-

-난파선 유물 암포라(Amphora)-

** 암포라는 전시 유물 중에서 가장 방대한 양을 차지한다. 내성(內城)의 곳간 형태의 공간에 전시되어 있다.
두개의 손잡이가 달리고 밑이 뾰죽한 운반용 도기들은 올리브 기름, 포도주, 곡물의 무역에 사용되었다.
암포라의 모양과 종류는 카난(Canaan)을 비롯해 키오스, 크니도스, 코스, 로마, 칼타고, 비잔틴 암포라 등으로
다양하다. 암포라 생산지는 손잡이의 모양과 찍혀있는 도장(Seal)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물의 구조와 토기 암거-


-성 루(Tower)-

-수확(Harvest)-

** 암포라 전시 공간에 있는 이 대형 벽화는 주제가 수확(Harvest)으로 되어 있으나
추수의 광경이 아니고 추수 후의 기쁨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 전원 생활-

** 왼편에는 올리브 기름을 짜는 광경, 오른편에는 포도즙을 내기 위해 포도를 밟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아래 사진은 위 그림의 올리브 기름틀 관련 사진이다.
-고대의 기름틀-

-기름틀의 석재 안반-
의
-감시탑-

-교 회-

** 성 요한 기사단에 의해 건설된 이 교회는 성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물로 꼽힌다.
1406년 경에 최초 건설되었다. 1519-20년에 스페인 기사단이 고딕 스타일로 개축하였고 오토만의 전통으로
개축이 이어졌다. 1523년 터키에 성이 함락되면서 모스크로 전환되어 미나렛(첨탑)이 추가되었다.
교회 내에는 AD. 7 세기에 침몰한 동로마 의 배 후부가 원형 크기로 제작 전시되어 있다.
-감 옥(The Dungeon)-

** 가티노 타워(Gatineau Tower :1512-1514)의 포대 기능이 폐쇄된 후 감옥으로 사용되었다.
감옥과 고문실은 발코니에서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어 있다.(보드룸 성채 조감도의 7번)
-성내 공중 변소-

-욧트 모형-

**부둣가에 전시된 소형 요트의 선체 구조를 볼 수 있도록 우현은 옆판이 개방되어 있다.
- 머구리(잠수부) 상-

-선창가 상가 지역-

영 묘(Mausoleum)
카리아 지방의 왕 마우솔로스(Maussollos)는 생전에 자신의 무덤 건설에 힘을 쏟았다.
BC. 4세기 중반에 사망한 후 왕의 누이 이기도한 아내 아르테미시아(2세)가 왕위와 함께
공사를 이어서 진행하였다. 영묘는 훌륭하여 고대의 7대 불가사의의 하나로 손 꼽힐 정도였다.
-영묘 유구-

** 화려하고 거대한 영묘가 있던 자리에는 부서진 돌들과 돌기둥 토막이 딩굴고 있을 뿐이다.
마우솔레움(Mausoleum)은 처음 1500년간은 원래의 모습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요한 기사단이 들어왔을 때 지진으로 무너져 있었다. 그들은 보드룸 성을 짓기 위하여
이곳의 석재를 토대 부분까지 운반해 가 버리고 말았다.
-영묘의 지하 구조의 일부-

-영 묘(Mausoleum)의 모형-

**기단 위에 36개의 원기둥이 있는 이오니아식 신전 풍(風)의 구조물로 24단이나 되는 피라미드형의
지붕 등은 훌륭하다. 특히 지붕 위에 올려져 있는 4두 마차에는 왕 마우솔로스와 아르테미시아의 상이
아름답게 조각되어 있었다. 무게 3톤 정도의 돌이 16만개 사용되어 50 m의 높이로 쌓였다.
지붕 위의 4두 마차와 인물상은 영국 박물관에 가 있다고 한다.
-영묘의 변천 과정-

** 현장의 박물관에 전시된 자료이다. 실물 유물은 많지않고
대부분 석재와 복원 상상도 등이 주로 전시되어 있다.
-영묘를 장식했던 부조들-


** 아마조네스와의 전투 묘사 장면이 많다.
-욧트 항-

** 부두에 계류된 요트들은 대부분 관광용 대여 요트들이다.
-욧트항 출발, 숙소향-

**욧트 항과 성채를 뒤로하고 수상 택시로 맞은편 해안에 자리잡은 숙소로 향한다.
-숙소 앞 해변-

-숙소 앞 풍경-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