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수리취의 효능

큰수리취의 효능
분류
초롱꽃목 > 국화과 > 수리취속
꽃색
자주색
학명
Synurus deltoides (Aiton) Nakai
개화기
10월, 9월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40-100cm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거나 남아 있고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길이 10-20cm로서 표면에 꼬불꼬불
한 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25cm로서 좁은 날개가 있거나 없다.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지고 엽병도 점차 짧아진다.
꽃
꽃은 9-10월에 피며 지름 5cm정도로서 원줄기 끝 또는 가지 끝에
달리고 꽃이 필 때는 밑을 향한다. 총포는 둥글며 길이 3cm, 지름
4.5-5.5cm로서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있고 갈자색 또는 흑록색이며
포편은 여러 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날카롭고 외편이 짧다.
꽃부리는 길이 20mm정도로서 겉이 자주색이다.
열매
수과는 길이 7mm정도이며 관모는 길이 18mm정도로서 갈색이다.
줄기
높이 40-100cm로 길며 원줄기는 굵고 종선이 있으며 백색 털이
밀생한다.
윗부분은 가지를 적게 치며 암자색을 띤다.
생육환경
• 산지에서 자란다. 양지는 물론 그늘에서도 왕성하게 생육할 수
있는 식물이다.
• 토양도 특별히 가리지 않으며 성질이 강건하여 특별한 관리가
필요없다.
번식방법
• 실생으로 번식한다.
10월경에 종자를 채취하여 곧바로 채파하거나 종자를 적절한 조건
에서 보관하였다가 이듬해 4월경에 파종한다.
발아율은 아주 높으며 발아한 어린묘는 9월경에 이식해 주면 이듬해
가을에는 개화가 가능하다.
용도
• 연한 잎을 떡에 섞어서 먹고 성숙한 잎은 말려서 부싯깃으로 한다.
• 잎이 시원스럽고 잎의 뒷면이 흰빛이 돌기 때문에 특이한 느낌을
주며 꽃의 관상가치도 높아 다양한 식재지의 지피용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큰 화분에 심어 초물분재로 감상하여도 좋다. 겨울철의 마른 꽃대는
꽃꽂이용 소재로도 널리 이용된다.
유사종
• 큰수리취 :
줄기는 15-2m에 이르고 총포는 둥글며 거미줄 같은 흰 털을 뒤덮고
있다.
특징
예전에는 성숙한 잎을 말려 부싯돌은 쳐서 불을 켤 때 부싯깃으로
사용하였다.

큰수리취의 효능
중국에서는 수리취를 '산우방(山牛蒡)'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산에 자라는 우엉이란 뜻이다.
밭에서 심는 우엉를 우방이라고 부른다.
약효도 우엉과 비슷하거나 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중국에서 펴낸 <본초도감>에서는 수리취를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국화과의 식물인 수리취(산우방)의 종자이다.
다년생 초본으로서 높이가 50~100센티미터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단생하며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난다.
잎은 어긋나고 뿌리쪽에 난 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산비탈, 숲가나 초지에서 자란다. 가을에 열매가 익은 후에 열매
송이를 채취하여 종자를 털어내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사포닌이 들어있다.
효능은 청열해독, 소종이다.
주된 치료는 나력 즉 림프절에 생긴 멍울을 치료한다.
용량은 하루 10~30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우방자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맛은 약간 맵고 성질은 평하다.
폐경, 위경에 작용한다.
풍열을 없애고 해독하며 발진을 순조롭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소염작용, 이뇨작용, 완하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
으며 요즘에 강심물질이 분리되었다.
감기로 기침이 나면서 열이 있는 데, 홍역, 인후종통, 두드러기, 반진,
헌데, 부종, 변비, 이하선염 등에 쓴다. 폐렴, 기관지염에도 쓴다.
하루 3~9그램을 달여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양치질을 한다.
설사하는 데는 쓰지 않는다.
우방근 즉 우엉뿌리는 배뇨장애, 류머티즘성관절염, 당뇨병 등에 쓰며
습진, 부스럼에도 고약에 섞어 바른다.
또 기름을 추출하여 머리칼이 빠지는 데도 바른다.
요즘에 우엉뿌리 추출액이 항암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산에서 야생으로 자라는 수리취는 밭에서 심는 우엉보다 효과가 훨씬
더 탁월하다.
시골 농촌에서는 나물로 해 먹거나 묵나물로 또는 떡을 해 먹기도 한다.
일반 취나물에 비해 잎이 질기고 뻣뻣하여 먹을 수 없는 풀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수리취가 이렇게 뛰어난 약효가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우방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열매는 이뇨, 항염, 배농, 강심, 뇌일혈, 감기, 악성종양, 염증약, 해독약,
열내림약, 가래약, 기침, 곪는 상처, 피부병, 인후종통, 마진, 풍진, 항암
성분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린잎은 살균작용, 항염작용, 진통작용이 있다.
신선한 생잎은 화상, 피부염증에 붙이기도 한다.
민간에서는 열매와 뿌리를 이뇨제, 진통제, 부기, 통풍, 류머티즘, 암,
매독, 발한해열의 치료제로 사용한다.
뿌리는 몸을 보하는 강장약으로 쓰며 당뇨병, 위염, 위십이지장궤양,
소화제, 구풍제, 탈모증, 폐결핵, 기침, 폐렴을 치료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