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전동기와 단상 유도 전동기는 기동토크가 거의없다고 하는데제가 이해하기로는 토크가 작으면 작은힘에도 기동이 된다고 생각해서 좋다고 생각합니다그런데 단점이라고 하고 기동 장치가 있어야한다는데 저는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건가요??
첫댓글 말씀하신건 부하의 관성모멘트구요 부하의 관성모멘트가 클수록 돌리는데 큰토크가 필요하죠동기전동기,단상유도전동기 기동 토크는 전동기가 기동시 낼수 있는 힘이라고 생각하면 쉬울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 선생님!
내용을 오해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동기모터나 단싱유도모터는 시동토크가 부족한게 아니라, 기동시 회전방향을 찾지 못해 제 자리에서 부르르 떨고 있는 것입니다.말씀하신 별도의 기동 장치라는 것이, 정빙향인지, 역방향인지 정해주는 놈입니다.단상 유도 전동기의 경우 기동용 콘덴서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보조코일에 콘덴서를 달아 위상차를 주면 고정자 권선에 회전자계가 생깁니다.
김씨 선생님 이제 확인했네요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첫댓글 말씀하신건 부하의 관성모멘트구요
부하의 관성모멘트가 클수록 돌리는데 큰토크가 필요하죠
동기전동기,단상유도전동기 기동 토크는 전동기가 기동시 낼수 있는 힘이라고 생각하면 쉬울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 선생님!
내용을 오해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동기모터나 단싱유도모터는 시동토크가 부족한게 아니라, 기동시 회전방향을 찾지 못해 제 자리에서 부르르 떨고 있는 것입니다.
말씀하신 별도의 기동 장치라는 것이, 정빙향인지, 역방향인지 정해주는 놈입니다.
단상 유도 전동기의 경우 기동용 콘덴서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보조코일에 콘덴서를 달아 위상차를 주면 고정자 권선에 회전자계가 생깁니다.
김씨 선생님 이제 확인했네요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