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풍요-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그대에게 없는 것보다는
그대가 갖고 있는 것들을 생각하라.
그대가 갖고 있는 것들 중에서
가장 좋은 것들을 선택해 놓고
곰곰이 생각해 보라.
만일 그대에게 그것들이 없었다면
얼마나 열심히 그것들을 추구했을지를.
*위 시는 “영혼의 숨결로 쓴 사랑의 시 오늘 그를 위해 눈물을 흘려 보아라(이정하 엮음)(웅진출판)”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입니다.
*이정하(1962.~, 대구 출생, 대륜중, 대전고 졸업, 문예장학생으로 원광대 국문학과 입학) 시인은 원광대에 재학중인 1987년 “경남신문”, “대전일보” 신춘문예에서 시가 동시에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고, 이후 “우리 사랑은 왜 먼 산이 되어 눈물만 글썽이게 하는가(1990)”, “너는 눈부시지만 나는 눈물겹다(1994)”, “그대 굳이 사랑하지 않아도 좋다(1997)” 등의 시집을 통하여 사랑에 대한 감정을 비교적 솔직하고 쉬운 언어로 표현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고, 산문집으로 “우리 사는 동안에(1992)”, “소망은 내 지친 등을 떼미네(1993)”, “나의 이름으로 너를 부른다(1996)”, “내가 길이 되어 당신께로(1997)”, “사랑하지 않아야 할 사람을 사랑하고 있다면(1998)” 등이 있습니다.
*시인의 대표작으로는 “사랑의 이율배반”, “사랑하는 이유” “낮은 곳으로” “그대 굳이 사랑하지 않아도 좋다” “사랑” “기대어 울 수 있는 한 가슴” “한 사람을 사랑했네” “간격” “종이배” “숲” “바람 속을 걷는 법” “기다리는 이유” “세상의 수많은 사람 중의 한 사람” “별” “꽃잎의 사랑” “그 저녁 바다” “눈이 멀었다” “황혼의 나라” “삶의 오솔길을 걸으며”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