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사’자 붙은 사람들이라 하여 권력이 있거나 대부분 돈을 잘 버는 사람들이다. 이라한 ‘사’자가 들어가는 직업들 한자는 다르다. 참으로 헷갈리는데 크게 ‘사’자 4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우선 판사(判事)와 변호사(辯護士)는 다른 ‘-事(일사), 士(선비사)’ 자를 쓸까? 법정에서 재판을 할 때면 판사와 검사, 그리고 변호사, 속기사도 있다. 이들의 한자 표기는 각각 判事, 檢事, 辯護士, 速記士 이다. 자세히 보면 다 같이 법을 다루거나, 법정에서 일하는데 끝에 쓰이는 ‘사’의 한자가 다른 ‘-事’와 ‘-士’이다.
또한 의사, 약사, 변리사, 감정평가사, 회계사 등이 그런 부류에 속한다. 이들 직업의 한자 표기는 각각 醫師, 藥師, 辨理士, 鑑定評價士, 會計士이다. 여기서도 끝에 쓰이는 ‘사’의 한자가 ‘-師(스승사)’와 ‘-士(선비사)’로 서로 다르다.
왜 한자들이 다른지 거기에는 이유가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事(일사)’가 붙은 직업은 그러한 일을 맡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공무원일 때는 나라에서 그 일을 맡기고, 일반 기관에서는 각 기관에서 일정한 직무를 맡길 때 그 일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판사는 판결 업무를, 검사는 검찰 업무를 하라고 맡긴 사람이기 때문에 각각 判事, 檢事로 적는다. 회사의 이사나 감사를 理事, 監事로 적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한 도(道)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일을 맡는 사람이 도지사(道知事)이다. 예전에는 나라에서 맡겼지만, 지금은 도민들이 맡긴다. 그래서 맨 끝의 표기가 ‘-事’가 된다. 참고로 한자 ‘事’는 일만 뜻하는 게 아니라, ‘시키다/부리다’의 뜻도 갖고 있다.
다음은 -士(선비사)’자가 붙는 직업들은 변호사(辯護士), 속기사(速記士), 변리사(辨理士), 감정평가사(鑑定評價士), 회계사(會計士)... 등이 있다. 이들은 공통점이 있다. 이들은 모두 공인기관(대개는 국가)에서 일정한 조건이나 능력을 갖춘 이들에게만 부여하는 자격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다. 쉽게 말해서 해당 분야의 자격증을 갖고 있는 이들이다.
이처럼 ‘-士’가 붙는 이들은 그 밖에도 기관사(機關士), 장학사(奬學士)와 각종 기사(技士), 그리고 프로바둑 기사(棋士) 등도 있다. 프로바둑 기사는 몇 십 대 일의 입단 대회를 거쳐야만 얻을 수 있는 자격이기 때문에 ‘-士’ 자를 붙인다. ‘항해사, 석.박사, 세무사, 관세사, 조종사’ 등에도 ‘-士’를 쓴다.
의사(醫師), 약사(藥師), 교사(敎師), 간호사(看護師), 사육사(飼育師) 등을 보면 ‘-師(스승사)’ 자가 붙어 있다. 일정한 자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부여하는 것으로 보면 ‘-士’와 같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조금 다른 점이 있다. 즉, 몸수고(몸으로 힘들이고 애씀)가 곁들여져야만 그 일을 해내는 사람들이다. 다른 이들을 위해 일할 때, ‘-士’가 붙은 변호사나 변리사 등은 주로 문서(행정) 위주로 일을 하지만, 이들은 직접 몸수고를 더 많이 하는 사람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몸으로 해내는 마술사(魔術師), 정원사(庭園師), 요리사도(料理師) 등도 ‘-師’로 표기하고 적는다.
재미있는 것은 옛날의 도지사 격인 관찰사는 ‘충청 감사’에서처럼 ‘감사’라고도 했다. 위에서 언급한 ‘-事’가 아닌 ‘使(사신사)’를 써서 觀察使로 표기했다. 거기에는 이유가 있는데, 관찰사 자리가 엄청 막강했기 때문이었다. 우리 속담에 ‘평안/평양 監使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란 말이 있다. 올바른 표기는 ‘평안 감사’일까, ‘평양 감사’일까? 위의 글을 잘 보면 답이 있다. 즉, 감사는 평안도를 관할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평안도 감사’가 줄어든 ‘평안 감사’가 맞다. 이러한 헷갈리는 ‘사’자 참고적으로 알아 놓으면 좋을 듯하다.
첫댓글 아리송
어리둥절이다
알려니 머리 아프다
그래서 한글이 아름답고 좋타
물론 한글도 좋지만 ... 한자도 표기 할때가.... ㅎㅎㅎ
그야말로 알쏭달쏭 사사사사 ㅎㅎ
엇, 사가 4개네요!🤣
네 헥살리죠....事.士.師.使.... 대충 알아 두는 것도 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