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youtube.com/shorts/I4q4bp_t2pw?si=yEhydipSdiCEsG7P
맞아 나도 외국인이 한국어 뭐 물어보면맞는말은 알려줄수 있지만 그이유 설명못함 문법적으로 정확히…ㅜ
출처: *여성시대* 차분한 20대들의 알흠다운 공간 원문보기 글쓴이: (본인닉네임).
첫댓글 와 나 방금 딱 이 숏츠 보고옴ㅋㅋㅋㅋhttps://youtube.com/shorts/32fj6uB4L0U?feature=shared
맞아 언어는 습관이라 솔직히 언어전공자아니면 모르지 ㅋㅋㅋ 그냥이건좀어색해 이게맞는데? 이바이브가 네이티브임.... 그래서문법집착할필요가없음 네이티브들도얼레벌레모름
친구가 미국 살다온 앤데 토익 뭐 물어보면 진짜 모르더라 ㅋㅋ 답은 다 맞는데... “어.. 그냥... 말해보면 이게 맞아” 라거 함 ㅋㅋ
안돼(O) 않되(X) 안되(X) 안되니까(O) 안돼니까(X) 정말 설명하기 복잡하긴 하네,,
미국애들 삼인칭 단수 주어면 동사에 s나 es 붙는다는 걸 모름ㅅㅂ(지들 말할때는 다 붙여서 말 잘하는데 이런 규칙이라는 걸 모름)우리도 명사 뒤에 은는이가 붙이는거 책상가 튼튼하다 나는 부자는 되었다 들으면 이상한 건 아는데 뭔 규칙인지 외우고 있지도 않는 것처럼...
외국인친구가 은는이가 같은 한국어 조사에 대해 물어보는데 진짜 설명을 못하겟더라
그것이 네이티브니까
우리도 일곱시 칠분은 시간인데 일곱시 일곱분은 왜 고깃집 화이트보드냐고 물어보면 설명 못하잖아ㅋㅋㅋㅋㅋ
나도 은는이가 어떤 기준으로 붙이는지 몰라서 ㅎ...
앞에 받침 있으면 은/이 없으면 는/가
외국인친구가 인사할때 밥은 먹었어요? 이거를 왜 밥을 먹었어요? 가 아니냐고 을이 맞지 않냐고 자꾸 물어봤는데 그냥 은이 더 자연스럽다고만 말해줌 ㅋㅋㅋ
그러네 진짜... 밥을 먹었어요? 이건 뭔가 다른 맥락 같네....(빵이 아니고) 밥을 먹었어요?(일은 안하고) 밥을 먹었어요?생략된 부정형 (not) 부사절이 앞에 존재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다
이건 문법적으로 설명 돼! 밥은 할때 은은 은/는(은는이가 할 때 은는)이고, 밥을 할 때 을은 을/를 이라 사용법 구분이 가능할 듯.. 문제는 이걸 외국어로 표현하기가 어렵겠닼ㅋㅋ
그때 쓰는거는 주격조사 아니고 보조사 은는 인가봐?
근데 언어 체득은 또 저렇게 하는게 맞음 ㅋㅋㅋㅋㅋㅋㅋ
당연함ㅋㅋ 많은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쓰는 규칙이 자연스럽게 문법이된거니깐원어민입장에서 어색하다하고 밖에할말 없는 이유는 그렇게 안쓰니까..임ㅋ
사투리랑비슷한거같아 우리한게뭐냐고 물어보면 우리한건 그냥 우리한거지 이게뭐라고 말해줘야되지? 하는거처럼ㅋㅋㄱ
나 학생때 진짜 영어 저렇게 풀었음 다른거 들어가면 어색하니까 이거 고른건데 학원쌤이 여시야 이거 어려울텐데 어떻게 맞췄어? 하길래 이게,,, 제일 답같아서요 다른건 어색해서요 했는데 그런게 어딨냐며 극딜먹음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브러워여
되랑 돼 설명해주면서되어가 돼니까 되어라고 해보고 이상하면 되라고 해! 라고 설명했더니 백년이지나도 이해못할 표정을 짓더라고...
왜 밝은은 발근이라 ㄹ 발음인데 밝다는 박따로 ㄱ 발음이냬나도 몰라.. 그냥 그게 발음이 편하니까.. 라고 함ㅋㅋㅋ
그건 연음화 때문에. “밝은”은 받침이 두개이고 뒤에 ㅇ가 오는 경우에 두번째 받침이 연음화해서 넘어가서 발근으로 되는데, 밝다는 받침 두개 중에 ㄱㄴㄷㄹ 순으로봤을 때 처음오는 자음으로 읽음(예외있음) 그래서 박따. 짧다도 짤븐/짤따 굵다도 굴근/국따 등등
@카카오 죠르디 오 앞에건 알았는데 뒤에건 몰랐어먼저 오는 순으로 발음하는거구나 고마워!
첫댓글 와 나 방금 딱 이 숏츠 보고옴ㅋㅋㅋㅋ
https://youtube.com/shorts/32fj6uB4L0U?feature=shared
맞아 언어는 습관이라 솔직히 언어전공자아니면 모르지 ㅋㅋㅋ 그냥이건좀어색해 이게맞는데? 이바이브가 네이티브임.... 그래서문법집착할필요가없음 네이티브들도얼레벌레모름
친구가 미국 살다온 앤데 토익 뭐 물어보면 진짜 모르더라 ㅋㅋ 답은 다 맞는데... “어.. 그냥... 말해보면 이게 맞아” 라거 함 ㅋㅋ
안돼(O) 않되(X) 안되(X) 안되니까(O) 안돼니까(X) 정말 설명하기 복잡하긴 하네,,
미국애들 삼인칭 단수 주어면 동사에 s나 es 붙는다는 걸 모름ㅅㅂ(지들 말할때는 다 붙여서 말 잘하는데 이런 규칙이라는 걸 모름)
우리도 명사 뒤에 은는이가 붙이는거 책상가 튼튼하다 나는 부자는 되었다 들으면 이상한 건 아는데 뭔 규칙인지 외우고 있지도 않는 것처럼...
외국인친구가 은는이가 같은 한국어 조사에 대해 물어보는데 진짜 설명을 못하겟더라
그것이 네이티브니까
우리도 일곱시 칠분은 시간인데 일곱시 일곱분은 왜 고깃집 화이트보드냐고 물어보면 설명 못하잖아ㅋㅋㅋㅋㅋ
나도 은는이가 어떤 기준으로 붙이는지 몰라서 ㅎ...
앞에 받침 있으면 은/이 없으면 는/가
외국인친구가 인사할때 밥은 먹었어요? 이거를 왜 밥을 먹었어요? 가 아니냐고 을이 맞지 않냐고 자꾸 물어봤는데 그냥 은이 더 자연스럽다고만 말해줌 ㅋㅋㅋ
그러네 진짜... 밥을 먹었어요? 이건 뭔가 다른 맥락 같네....
(빵이 아니고) 밥을 먹었어요?
(일은 안하고) 밥을 먹었어요?
생략된 부정형 (not) 부사절이 앞에 존재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다
이건 문법적으로 설명 돼! 밥은 할때 은은 은/는(은는이가 할 때 은는)이고, 밥을 할 때 을은 을/를 이라 사용법 구분이 가능할 듯.. 문제는 이걸 외국어로 표현하기가 어렵겠닼ㅋㅋ
그때 쓰는거는 주격조사 아니고 보조사 은는 인가봐?
근데 언어 체득은 또 저렇게 하는게 맞음 ㅋㅋㅋㅋㅋㅋㅋ
당연함ㅋㅋ 많은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쓰는 규칙이 자연스럽게 문법이된거니깐
원어민입장에서 어색하다하고 밖에할말 없는 이유는 그렇게 안쓰니까..임ㅋ
사투리랑비슷한거같아 우리한게뭐냐고 물어보면 우리한건 그냥 우리한거지 이게뭐라고 말해줘야되지? 하는거처럼ㅋㅋㄱ
나 학생때 진짜 영어 저렇게 풀었음 다른거 들어가면 어색하니까 이거 고른건데 학원쌤이 여시야 이거 어려울텐데 어떻게 맞췄어? 하길래 이게,,, 제일 답같아서요 다른건 어색해서요 했는데 그런게 어딨냐며 극딜먹음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브러워여
되랑 돼 설명해주면서
되어가 돼니까 되어라고 해보고 이상하면 되라고 해! 라고 설명했더니 백년이지나도 이해못할 표정을 짓더라고...
왜 밝은은 발근이라 ㄹ 발음인데 밝다는 박따로 ㄱ 발음이냬
나도 몰라.. 그냥 그게 발음이 편하니까.. 라고 함ㅋㅋㅋ
그건 연음화 때문에. “밝은”은 받침이 두개이고 뒤에 ㅇ가 오는 경우에 두번째 받침이 연음화해서 넘어가서 발근으로 되는데, 밝다는 받침 두개 중에 ㄱㄴㄷㄹ 순으로봤을 때 처음오는 자음으로 읽음(예외있음) 그래서 박따. 짧다도 짤븐/짤따 굵다도 굴근/국따 등등
@카카오 죠르디 오 앞에건 알았는데 뒤에건 몰랐어
먼저 오는 순으로 발음하는거구나
고마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