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카족들이 가장 많이 찾는 명소중 하나가 선유도 공원이다. 한강에 떠 있는 세 개의 섬 중에서도
경관이 아름답기로 첫 손에 꼽히던 곳. 옛날에는 봉우리가 제법높아 선유봉이라 불리우며 한강의
아름다움을 한껏 높여주었던 섬이다.
1925년 대홍수가 나서 한강이 범람한 이후 선유도의 암석을 캐서 한강의 제방을 쌓는 데 사용하면서
선유도는 봉우리가 없어지고 점차 그 아름다움을 잃게 되었다. 그후 1965년 양화대교가 이곳에 걸쳐
놓이고 1978년에는 선유도가 정수장으로 변하면서 일반인들과는 완전히 멀어지고 말았다.
그로부터 24년이 지난 2002년 4월 선유도는 새로운 모습으로 일반인들에게 돌아오게 되었다.
정수장의 구조물과 낡은 건물을 재활용하여 휴식과 예술이 공존하는 가장 자연 친화적이고 환경적인
중요성을 느끼고 배울 수 있는 환경교육의 장으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정수장의 시설물의 일부를 남겨놓은 상태에서 담쟁이와 줄사철 등을 심고 산책로와 휴식공원,
야외조각등을 조경해서 만든 공원이다. 때문에 걷다 보면 고대의 폐허 속에 있는 것 같은 독특한
정취가 난다. 처음 공원을 찾은 사람은 콘크리트가 이렇게 낭만적일 수도 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선유도 공원의 재미거리는 양평동과 선유도를 잇는 선유교를 걷는데서 부터 시작한다. 아치형의
이 다리는 연인들과 걷기에 좋은 곳으로 이미 정평이 나 있다. 선유교를 넘으면 나무블록으로 쉼터가
꾸며져 있는데, 한강 하류쪽으로 월드컵을 기념하게 위해 조성한 올림픽분수대를 구경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낮은
계단을 내려 선유도에 발을 내디디면 가장 먼저 정수장의 물들이 오가던 대형 수로관으로 만든
어린이 놀이터가 보인다. 놀이터 옆으로는 방문자 안내소와 화장실이 있다. 안내소 앞쪽으로 200석
규모의 원형 소극장도 갖추어져 있고 소극장 바로 뒤쪽 강변에는 카페테리아 ‘나루’가 분위기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방문자 안내소를 돌아 수로 였던 시멘트길을 걸어나가면 선유공원에서 가장 기억에 남을
‘시간의 정원’길이 나온다.. 세로 41m, 깊이 5m 규모의 약품침전지 2곳을 현대적 공간으로 꾸몄는데,
구조물의 칙칙한 색깔과 거친 표면, 불규칙한 선이 각종 식물들과 절묘하게 어울려 마치 시간이
정지된 듯한 느낌을 준다.
시간의 정원 위쪽의 수생식물원에는 물봉선과 쇠뜨기수련검정말 등 각종 수생식물 1만여 본이
심어져 있고, 시간의 정원은 118종의 수목과 풀꽃을 여러 개의 작은 정원에 나눠 심어 사계절을
느낄 수 있도록 꾸며놓았다. 수생식물원 건너편에는 수질정화공원. 긴 수로 옆으로 산책로를
만들어 걸으면서 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해 놓았다.
선유도 공원에서 가장 큰 건물은 한강전시관이다. 양화대교쪽에 있는 이곳은 송수펌프실 건물을
보수하여 만든 전시관으로 지하 1층과 지상 2층의 규모로 꾸며져 있는데, 한강 유역의 지질과
수질수종어류 등 생태계와 한강을 주제로 한 지도, 시민들의 생업, 한강변 문화유적, 무속신앙
등의 생활상을 엿 볼 수 있다.
아이들에게는 꼭 보여주어야 할 공간이 아닐까 싶다. 전시관 아래쪽의 옛날 배수장 시설이 있었던
곳은 콘크리트 상판을 들어내고 30여개의 기둥에 담쟁이를 심어 ‘녹색기둥의 광장’으로 꾸몄고,
전시관 앞에는 물놀이장이 만들어져있다. 또한 전시관 왼쪽의 강변에는 선유정이 아담하게
지어져 있다.
이외에도 선유도는 강변을 따라 걷는 산책로와 자작나무숲길 등이 있고, 가을이면 억새가 한껏 피어
단풍과 조화를 이루기도 한다. 선유도는 서울에서 야경이 멋진 곳으로도 이름나 있다. 곡선의 선유교에
조명이 들어오면 한강에 그 모습이 비쳐 둥근 원모양이 되고, 공원내에는 각 주제별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가로등과 스포트라이트가 다르게 비춰지도록 꾸며져 있어 그것 자체가 또하나의 테마를 만들어낸다.
선유도는 김기덕 감독의 영화 사마리아를 촬영한 곳이기도 하다.
부가정보
올림픽대교 - 양화대교 - 한강둔치양화지구/선유도 진입표시 - 우회전 - 강변이면도로 - 주차장강변북로
타고 일산쪽 - 서강대교 - 잠두봉 지하차도 - 지나자 - 합정역방향 - 영화대교와 선유도공원 이정표 -
양화대교 - 대교 중간 선유도로 내려가는 길
지하철 2호선 당산역 1번출구 간선(파랑)버스 605 ,271 / 지선(초록)버스: 6623, 6631, 6632, 6633, 7011,
7012, 7013지하철 2, 6호선 합정역 2-8번출구 간선(파랑)버스 602, 604
문의처 : 관리사무소 TEL : 02-2631-936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