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적 함구증이란 아이가 사회적 상황에서 의사소통하는 것을 어려워하거나 말을 하지 못하는 불안 장애입니다. 선택적 함구증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스스로 편안함을 느끼는 장소나 대상 앞에서는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대개 만 5세 이 전에 나타나지만 사회적 상호작용이 많은 학교에 입학하기 전에는 치료를 받는 경우가 드물다고 합니다.
선택적 함구증의 증상
선택적 함구증은 특정한 상황에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회적, 학업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선택적 함구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쑥스러움, 부끄럼을 극도로 느낀다.
사회적 고립을 느낀다.
집단 앞에서 창피를 당할까 두려움을 느낀다.
주 보호자, 즉 부모님,에게 강한 애착을 느낀다.
분노 발작 행동을 보인다.
반항적 행동을 보인다.
강박적인 특성을 보인다.
부정적인 성향을 보인다.
아이가 위의 행동, 증상들을 한 달 동안 지속적으로 보인다면 선택적 함구증을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선택적 함구증은 어떻게 치료할 수 있나요?
선택적 함구증의 치료방법으로는 심리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심리치료를 가장 우선적으로 추천하신다고 합니다. 심리치료 중 인지행동치료 (CBT) 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행동에 내재되어 있는 불안 감소를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인지행동치료에서 쓰여지는 치료 기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조건관리
아이가 큰소리를 내어 이야기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여 귓속말을 하거나 속삭이며 이야기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강화하며 아이가 말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방법입니다.
2. 행동 형성
아이의 바람직한 행동 (말하는 것)과 흡사한 행동에도 강화를 주는 방법입니다.
3. 자극 페이딩 (용암)
아이가 강화를 받는 자극을 점차적으로 줄이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아이가 한 명에게 이야기를 하는 것에 강화를 받다가 점점 아이가 이야기를 하는 장소나 인원수를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4. 탈감각화
이야기를 해야하는 상황에 아이를 노출시켜 아이에게 정서적 지지와 이완 운동을 학습시켜 불안을 감소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법입니다.
5. 인지재구조화
불안과 걱정을 야기하는 인지적 패턴을 깨고 긍정적인 대체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법입니다.
6. 사회적 기술 발달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회적 기술을 익혀 예견된 불안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그룹 활동 도중에 들어가거나 나가는 것, 눈맞춤, 바디랭귀지 등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하고 이해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소장님 칼럼 및 인터뷰] >> ‘새학기 증후군, 이렇게 극복하세요!’
[상담 후기] >> 정이현 (가명) 모 상담후기
[온라인상담하러가기]
*참고문헌
Hurley, K. (2018, September 26). Selective Mutism in kids . PSYCOM. Retrieved February 15, 2023, from https://www.psycom.net/selective-mutism-kids
*사진첨부: pixabay
*작성자: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안예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