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소득별 계층별 여러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경향성을 말하는거야 섬세하게 뜯으면 다 차이가 큼
스웨덴
Sweden의 세원의 대부분은 소득세와 부가가치세(이른바 Sales Tax)이다. 개인소득세 최고 세율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60%이다. 그러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이 있으니 최저 세율이 존재한다. 최저 세율은 30%이다.스웨덴에서 10원이라도 번다면 번 것의 30%는 소득세로 내야 한다. 이를테면, 누군가에게 악기를 가르쳐주는 아르바이트를 해서 한 달에 30만원의 소득이 생긴다면 국가가 30%를 냉큼 떼어간다. 말했다시피 최저 세율이 30%이다.
그리고, 이 Range는 매우 좁아서 대학을 졸업해서 정규직을 가지거나 풀타임 노동자가 되는 순간 세율은 50%로 폭발한다. 연봉이 5천만원이면 세율이 50%이다. (누진세이니, 30% 구간이 일부 존재하여 평균 세율은 40%대가 된다.) 화끈하다.
이런 복지제도의 재원은 세금이기 때문에 국민 모두가 높은 세율의 세금을 부담할 수밖에 없다. 누진율을 적용하는 덴마크의 소득세는 40~60%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위에 부가가치세 25%까지 붙어 살인적인 세금의 나라이지만 국민들이 세금이 높아도 항상 정확하게 세금을 냅니다 덴마크 국민들이 내는 세금은 복지혜택이 되어 투명하게 다시 돌아온다는것을 알기 때문이죠
실제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한국보다 훨씬 많은 소득세와 사회보험료를 부담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혼자일 경우에는 보통 총수입의 약 40%, 결혼한 경우에는 약 30% 정도를 세금 및 사회보험료로 낸다고 한다.
아래 표는 2008년 쾰른 독일경제연구소의 자료와 최근 한국 고용노동부의 임금자료를 비교해 세금과 사회보험료의 내역을 살펴본 것이다. 양국 간에 차이가 얼마나 되는지 쉽게 알아보기 위해 환율을 감안해, 서로 비슷한 정도의 월수입인 3000유로와 450만 원을 받는 경우를 가정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 우리나라 세금 적은편이고 게다가 청년층 복지혜택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좋은편이라 생각함...
이런 시선도 있음…
[ 독일인 40% 는 노후 대비는 커녕 비상시 쓸 저축자금조차 존재치 않음
저축 하나 못하는 인구가 거의 절반이라
주택 하나 소유도 못하는데 노후자금까지
모을 돈은 더더욱 없으니
유럽 청년층들은 곡소리 나는중인것.]
https://m.cafe.daum.net/subdued20club/ReHf/5200666?svc=cafeapp
근데 저러면 나같아도일 열심히 안할듯.. 할맛이 안난다해야되나 열라일해서 연봉올려봣자머해 ㅠ
유럽 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