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주교 진산 성지 성당」 등 5건 문화재 등록,
「경기도청사 구관」 등 4건 등록 예고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을 포함한 총 5건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경기도청사 구관」을 포함한 총 4건은 문화재로 등록을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 결정된 문화재는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고령 관음사 칠성도」, 「천로역정(합질)」, 「조선요리제법」 5건이다.
등록문화재 제682호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은 한국 천주교 최초 순교자로 시복(諡福)된 윤지충과 권상연이 선교활동을 하다 1791년 순교한 사건인 진산사건 일명 신해박해(辛亥迫害)의 발상지가 된 곳이다. 이후 교우촌을 형성하고 지역의 천주교 중심지 역할을 하였던 진산면에 1927년 건축된 소규모 성당으로, 종교적 역사성이 있다. 또한, 절충식 한옥성당으로 기존 등록 사례와 차별되는 건축적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내부를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보존‧관리상태도 양호하여 등록문화재로 등록가치를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 시복(諡福): 교회가 공경할 복자로 선포하는 일
등록문화재 제683호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은 일제강점기 건립된 조선식산은행 건물로서 여러 도시에 걸쳐 현존하고 있으며 이중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등록문화재 제164호)’,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대구시유형문화재 제49호)’ 등이 문화재로 보존‧관리되고 있다. 등록문화재인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과 비교할 때 은행시설과 일종의 관사로 볼 수 있는 부속공간이 결합된 것에서 충주지점이 더 완전한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이 과거 일제강점기 충주지역의 대표적인 식민수탈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것을 고려, 이를 통해 그 시대상을 잊지 않고 분명히 기억할 수 있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는 점에서 등록문화재로 등록, 보존할 필요는 있다고 판단된다.
등록문화재 제684호 「고령 관음사 칠성도」는 화기를 통해 1892년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 전기(典琪) 등의 제작자, 그리고 증명(證明)‧송주(誦呪)‧지전(知殿)‧시주(施主) 등 제작체계와 후원자를 알 수 있어 이 시기 불화 연구에 있어 기준자료가 된다는 평가가 있다. 인물의 얼굴과 옷 주름 등에 명암법을 도입하여 입체적 생동감이 느껴지며, 주존(主尊)과 권속(眷屬) 간의 격한 위계질서를 바탕으로 제작되는 전통불화의 보수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주존과 권속들을 대등하게 등장시킨 파격적인 시도와 병풍을 배경으로 마치 단체 사진 찍듯 존상들을 배치한 구도와 형식은 개화기 전후 근대기 작가의 새로운 창작의지가 곁들여진 불화로 문화재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다.
* 증명(證明): 불화가 법식대로 잘 그려졌는지를 증명하는 승려
* 송주(誦呪): 의식을 집행하는 소임
* 지전(持殿): 병법(秉法)을 보좌하여 법요를 집전하는 소임. 불전의 청소와 향‧불 전의 청소와 향‧등을 관리하는 임무
* 시주(施主): 불화 조성에 필요한 비용을 댄 사람
등록문화재 제685호 「천로역정(합질)」(天路歷程)은 영국 종교작가 존 버니언의 종교적 우의소설로, 선교사 제임스 스카스 게일(James Scarth Gale)과 부인 깁슨이 공동 번역하였다. 개화기 번역문학의 효시(1895년)로서 국문학사적으로 당시의 한글문체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책자이다. 현대식 인쇄출판을 통한 기독교 문화와 복음 전파 그리고 외래종교를 주체적으로 수용한 당시 유명한 풍속화가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의 삽도는 토착적인 전통이 반영된 한국 개신교 미술의 효시로 평가되고 있어, 국어학‧개신교‧미술사적인 면에서도 가치가 크다.
또한, 목판본과 신활자본 등 두 종의 판으로 동시에 발행한 사례는 우리나라 인쇄출판사상 희귀한 경우이며, 초판본을 소장하고 있는 기관 중 초판본 2종(목판본과 신활자본)을 완본으로 소장하고 있고 보존상태가 양호한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의 2종 5책을 「천로역정(합질)」이라는 이름으로 등록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
당시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 교수였던 방신영(1890~1977)이 1917년 저술한 등록문화재 제686호「조선요리제법」은 구전으로 이어지던 우리나라 전통 음식의 제조법을 체계적으로 완성한 요리서이다. 재료의 분량을 계량화하여 소개하는 등 조리과학의 발전과 대중화에 이바지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초판본이기 때문에 조선을 지나서 근대기 조리법의 변화를 알게 해주는 사료적 가치도 있다.
한편, 이번에 등록 예고된 문화재는 「경기도청사 구관」, 「경기도지사 구 관사」, 「서울 딜쿠샤」, 「김 골룸바와 아녜스 자매(석고상)」 4건이다.
「경기도청사 구관」은 1963년 경기도청을 수원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고 건축설계와 공사를 거쳐 1967년 6월에 준공된 건물로서 이 시기 전국적으로 건립된 관공서 건물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한국 1세대 현대 건축가로 활동하였던 김희춘(1915~1933)과 나상진(1923~1973)의 공동 설계 작품으로 중정형(中庭型, 건물들 안에 뜰을 둔 구조) 평면 도입,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평면과 형태 구성 등 1960년대 한국 건축계에 큰 흐름을 보이던 모더니즘 디자인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건립 이후 현재까지 본래 용도인 행정업무시설로 그대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등록문화재로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경기도지사 구 관사」 역시 경기도청 이전과 함께 지사의 공관으로 건축된 건물이다. 해방 이후 건축된 모더니즘 경향의 60년대 주거건축이 현재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간결하고 단순한 모더니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는 공관 건물로서 가치를 담고 있다. 설계자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건축 디자인의 세부수법 등을 통해 볼 때 「경기도청사 구관」 설계자인 김희춘과 나상진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울 딜쿠샤」는 일제강점기 당시 UPA 통신사(미국 통신사 UPI의 전신) 특파원으로 일하면서 3·1운동을 세계에 알리고 한국의 독립 운동가들을 도왔던 알버트 테일러(Albert W. Taylor)가 1923년에 지어서 1942년 일제에 의해 추방당할 때까지 가족과 함께 살았던 가옥이다. 또한, 총면적 624㎡에 이르는 붉은 벽돌의 장방형(사각형) 평면을 가진 완전한 서양식 2층 대저택으로 건축적 가치도 있다. 딜쿠샤(DILKUSHA)는 인도의 딜쿠샤 궁전에서 따와 작명한 힌디어로 ‘이상향․기쁨’의 뜻을 담고 있으며 저택 초석에 새겨져 있는 이 건물의 별칭이다.
「김 골룸바와 아녜스 자매(석고상)」은 우리나라 현대 조각가 1세대에 속하며 한국 가톨릭 조각의 선구자인 김세중(1928~1986)의 대표작으로, 1839년 기해박해(己亥迫害) 당시 순교한 김효임‧김효주 자매를 조각한 작품이다. 1950년대까지 한국에서는 석고가 조각의 주재료였으나 대부분 파손되었거나 원형을 유지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본 석고상은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제1회 성미술전’ (1954년)에 출품됐던 작품으로서 1950년대 한국미술사의 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사료적, 미술사적 가치가 크다.
* 김 골룸바와 아녜스 자매: 김효임(골룸바, 1814~1839)과 김효주(아녜스, 1815~1839) 자매는 제2차 천주교 박해인 기해박해(己亥迫害) 시기인 1839년 9월 26일 참수 당하였고, 1925년 7월 5일 시복(諡福)되었으며, 1984년 5월 6일 시성(諡聖, 교회가 공경할 성인으로 선포)됨
문화재청은 앞으로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문화재로 등록된 「천주교 진산 성당」 등 5건을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에 등록 예고된 「경기도청사 구관」 등 4건은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재로 등록할 예정이다.
문화재 등록 및 등록 예고 개요 |
1. (등록)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
□ 문화재명: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
□ 종 별: 등록문화재 제682호
□ 소 재 지: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실학로 207
□ 건립연대: 1927년
□ 수 량: 1동(건축면적 188㎡)
□ 소 유 자: (재)대전교구 천주교회유지재단
□ 등록 사유
ㅇ 변형된 종탑 정면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건축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절충식 한옥성당의 건축적 특성과 가치를 보여주며, 지역적·종교적 역사성을 내포하고 있다.
2. (등록)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 문화재명: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 종 별: 등록문화재 제683호
□ 소 재 지: 충청북도 충주시 관아4길 14
□ 건립연대: 1933년
□ 수 량: 1동(건축면적 375㎡)
□ 소 유 자: 충주시장
□ 등록 사유
ㅇ 목구조를 기본 구조체로 하고 외관에서 서양식 석조건물의 분위기를 추구하였던 일제강점기의 관공서 및 은행의 특징적 건축기법과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3. (등록) 고령 관음사 칠성도
□ 문화재명: 고령 관음사 칠성도
□ 종 별: 등록문화재 제684호
□ 소 재 지: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주산순환길 147, 관음사
□ 제작연대: 1892년
□ 수 량: 1점
□ 소 유 자: 관음사
□ 등록 사유
ㅇ 화기를 통해 1892년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와 제작자, 후원자 등을 알 수 있어 이 시기 불화연구에 있어 기준 자료이며, 주존과 권속 간의 격한 위계질서를 바탕으로 제작되는 전통불화의 보수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주존과 권속들을 대등하게 배치한 독특한 화면구성, 인물의 얼굴과 옷주름 등에 명암법을 도입한 입체적 표현, 의자에 드리운 천의 주름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려는 시도 등 개화기 전후 근대기 작가로서의 새로운 창작의지가 곁들여진 불화로 등록 가치가 있다.
4. (등록) 천로역정(합질)
□ 문화재명: 천로역정(합질)
□ 종 별: 등록문화재 제685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제작연대: 1895년
□ 수 량: 5권(목판본: 2질 4책, 신활자본: 1책)
□ 소 유 자: 연세대학교
□ 등록 사유
ㅇ 개화기 번역문학의 효시로서 국어국문학사적 의의가 클 뿐만 아니라 당시 유명한 풍속화가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의 한국화적인 삽화가 들어 있어 한국 개신교 미술의 효시로 평가되며, 우리나라 인쇄출판사상 희귀하게 목판본과 신활자본 등 두 종의 판으로 동시에 발행하였다. 초판본을 소장하고 있는 기관 중 초판본 2종(목판본과 신활자본)을 완본으로 소장하고 있고, 보존 상태가 양호한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의 2종 5책을 「천로역정(합질)」이라는 명칭으로 등록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
5. (등록) 조선요리제법
□ 문화재명: 조선요리제법
□ 종 별: 등록문화재 제686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 제작연대: 1917년
□ 수 량: 1권
□ 소 유 자: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 등록 사유
ㅇ 구전으로 이어지던 우리 음식의 제조법을 체계적으로 완성한 요리서로 재료의 분량을 계량화하여 소개하는 등 과학적이고 능률적으로 우리 전통 요리법을 설명하여 조리과학적인 발전과 대중화에 기여하였으며, 『조선요리제법』의 초판본(1917년)이기 때문에 조선을 지나서 근대기 조리법의 변화를 알게 해주는 사료적 가치가 있다.
6. (등록예고) 경기도청사 구관
□ 문화재명: 경기도청사 구관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1
□ 제작연대: 1967년
□ 수 량: 1동
□ 소 유 자: 경기도지사
□ 등록 사유
ㅇ 1967년 최초의 본관으로 신축된 이후 현재까지 행정업무시설 본래 용도 그대로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역사성, 상징성, 지역성을 지닌 건물이다. 한국 현대건축 1세대 건축가로 활동하였던 김희춘과 나상진의 협동설계 작품으로 1960년대 한국 건축계에 큰 흐름을 타고 있던 모더니즘 디자인의 정수를 보여 주고 있다.
7. (등록예고) 경기도지사 구 관사
□ 문화재명: 경기도지사 구 관사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고화로 130번길 21
□ 제작연대: 1967년
□ 수 량: 1동
□ 소 유 자: 경기도지사
□ 등록 사유
ㅇ 해방 이후 건축된 모더니즘 경향의 60년대 주거건축이 현재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간결하고 단순한 모더니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는 공관건물로서 가치가 있다.
8. (등록예고) 서울 딜쿠샤
□ 문화재명: 서울 딜쿠샤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서울시 종로구 행촌동 1-88, 89
□ 제작연대: 1923년
□ 수 량: 1동
□ 소 유 자: 기획재정부
□ 등록 사유
ㅇ 1919년 3.1운동과 일제의 탄압을 세계에 알린 UPA통신사 특파원이었던 알버트 테일러(Albert W.Taylor)의 가옥으로 독립운동 관련 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다.「서울 딜쿠샤」는 완전한 서양식 주택구성과 희소한 벽돌쌓기 등의 건축적 가치가 있다.
* 딜쿠샤(DILKUSHA, 희망의 궁전): 인도의 딜쿠샤 궁전에서 따와 작명한 힌디어로 ‘이상향, 기쁨’을 의미
9. (등록예고) 김 골룸바와 아녜스 자매(석고상)
□ 문화재명: 김 골룸바와 아녜스 자매(석고상)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70길 35 김세중 기념사업회
□ 제작연대: 1954년
□ 수 량: 1점
□ 소 유 자: 김○○
□ 등록 사유
ㅇ 우리나라 현대조각가 1세대에 속하며 한국 가톨릭 조각의 선구자인 김세중(1928~1986)의 대표작으로 1950년대까지 우리나라 조각의 주재료인 석고로 만든 작품은 대부분 파손되었거나 원형이 훼손되었으나 본 석고상은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제1회 성미술전‘(1954년)에 출품됐던 작품으로서 1950년대 한국미술사의 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사료적, 미술사적 가치가 크다.
<글. 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