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5일. 한국의 탄생화와 부부 사랑 / 삼나무, 금송
♧ 2월 15일. 오늘의 역사와 기념일.
* 1894년 - 동학 농민 운동 발발.
♧ 2월 15일. 한국의 탄생화
* 세계의 탄생화인 웅대한 삼나무와 유사종인 일본 왕실의 상징이라는 금송 : 낙우송과 3속 42종
* 대표탄생화 : 삼나무
* 주요탄생화 : 금송
※ 2월 15일 세계의 탄생화
삼나무 (Cedar) → 2월 15일 한국의 탄생화와 동일
1894년 2월 15일(음력 1월 10일) 오늘은 전북 정읍 고부에서 동학 농민 혁명이 발발한 날입니다. 이 후 녹두장군 전봉준이 이끄는 동학군은 전주성을 접수하는 등 나름의 성과를 올렸습니다. 이에 농민 봉기를 제어할 능력이 없는 조선 조정이 청나라 군대와 일본 군대를 불러들여 혁명은 1년 만에 진압되고 내친 김에 조선을 지배하려는 청일전쟁의 도화선이 되었고,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 침략의 야욕을 더욱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나라가 부패하면 민중이 일어나고 스스로를 지키지 못하는 나라는 결국 강대국의 제물이 됩니다.
오늘 세계의 탄생화는 [낙우송과 삼나무속]의 [삼나무]입니다. 이에 맞추어 낙우송과의 상록수 종류인 [삼나무], [넓은잎삼나무] 그리고 [금송]을 한국의 탄생화로 선정하였습니다.
낙우송가문에는 다섯 문파가 있는데 침엽수이지만 가을에는 잎이 지고 봄에 새싹이 나는 떨기나무인 `낙우송`과 살아 있는 화석이라 불리는 `메타쉐콰이아(수삼나무)` 그리고 오늘 소개하는 상록수의 3문파입니다.
[금송]은 `소나무 송`자를 쓰지만 소나무 종류가 아니고 낙우송 종류입니다. 나무 자체로만 보면 `금송`이란 이름이 전혀 어색하지 않은 잘생기고 멋진 나무입니다. 일본이 원산이고 일본 왕실을 상징하는 나무입니다. 그런데 박정희가 아산 현충사를 성역화 하면셔 기념 식수한 나무가 [금송]이라 충무공의 후손들과 시민 사회의 반발이 많았는데요, 재작년 11월 사당 밖으로 옮기는 것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어찌 생각하면 나무는 단지 나무일 뿐인데 우리 민족에겐 일본에게 지울 수 없는 역사적 상처가 있는지라 모른 척 넘어갈 일도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영화 혹성탈출 시리즈를 보면 주인공인 침팬치 시저가 동료 유인원들을 데리고 사람을 피해 자리잡은 곳이 삼나무숲입니다. 삼나무 꼭대기에 올라 먼 곳을 보는 장면이나, 유인원들이 삼나무 숲에서 단체로 이동하는 멋진 장면이 생각납니다.
[금송]이 일본 왕실을 상징한다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곧게 치솟는 [삼나무]는 `편백`과 함께 일본을 대표하는 나무입니다. 우리나라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와 비슷한 일본서기를 보면 ‘스사노오노미코토(素戔鳴尊)’라는 신이 나오는데, `내 아들이 다스리는 나라에 배가 없어서는 안 될 일이다`라고 하여 자신의 수염을 뽑아 흩어지게 하니 삼나무가 되었고, 가슴의 털을 뽑아 흩으니 편백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삼나무는 배를 만드는 데 쓰고 편백은 서궁(瑞宮)을 짓는 재료로 하라고 했다는 기록이 나옵니다.(우리나무의 세계2 인용)
우리나라 사람들은 소나무를 워낙 좋아하기 때문에 일본 나무들을 잘 들여오지 않았는데 1900년대 개화기에 들어 목재로 사용하기 위해 남해안과 제주에 식재하였습니다. 특히 제주에는 귤밭은 보호하기 위한 방풍림으로 심었는데 지금은 우리나라 토종 나무들을 제치고 제주에서 가장 많은 나무가 되었답니다.
삼나무숲으로 유명한 곳은 제주에서는 사려니숲, 제주에서 서귀포로 넘어가는 516도로 중 성판악전에 교래리로 내려가는 양 옆길, 절물 휴양림, 서귀포 한남 삼나무 숲 등이 있습니다. 남해안 지역으로는 보성 녹차밭으로 가는 삼나무 숲길과 고흥 봉래산의 삼나무와 편백숲이 유명하답니다.
삼나무가 다 좋은 것 같아도 꼭 그렇지도 않은데요, 삼나무 꽃가루가 날리는 3,4월에는 제주에 알레르기주의보가 내리질 정도이고, 일본에서도 이때 일본 인구 4~5명 중 한명은 삼나무 꽃가루 알레르기로 고생한다고 합니다.
사람은 약 3만일을 사는데요, 저는 가끔 제가 얼마를 살았나 계산해보곤 합니다. 20124일. 제가 오늘까지 살아 온 날입니다. 2만일을 지나 3만일을 향한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삼만일에서 이 숫자를 빼봅니다. 9876일. 남은 날이죠. 돌아갈 날이 딱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큰 사고나 병이 없다면 대략은 맞을 것입니다. 우리는 3만박 3만 1일의 지구 여행을 하고 있는 여행객입니다. 지구 밖에서 우주적 관점으로 보면 우리는 지구라는 휴양지에 소풍을 나온 것이랍니다.
제가 가끔 이런 계산을 하는 것은 유한성에 대한 각성 때문입니다. 우리는 사실 굉장히 짧은 삶을 사는데 마치 영원히 살 것 처럼 살고 있습니다. 그것을 우리는 [욕심]이라 표현합니다. 또 반대로 무전 베낭여행자 처럼 조금 힘든 인생 여행을 하시는 분들 중엔 영원히 불행할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절망]이라고 표현합니다.
욕심을 버려야 하듯이 절망의 마음도 버리십시오. 그리고 이웃의 다른 여행자들과 함께 어울리십시오. 보다 잘 어울리기 위해서 나만이 아니라 옆의 이웃의 손도 잡아 주십시오. [삼나무]의 꽃말은 [그대를 위한 삶]입니다. 지구 위의 모든 사람과 모든 생명은 모두 같은 지구여행자들입니다. 우주에서 보면 지구는 아주 많이 매우 특별한 곳입니다.
우리의 삶의 기간은 짧고, 보고 즐기며 느껴야 할 지구여행의 볼거리는 너무나 많습니다. 어느 멀지 않은 훗 날, 우리가 왔던 곳으로 되돌아 갈 때 나의 삶은 정말 멋진 지구 여행이었다고 말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의탄생화 #탄생화 #부부꽃배달 #ME부부 #삼나무꽃말 #2월탄생화 #2월15일 #여운종 #하늘바다 #꽃사진공유 #오늘의꽃 #삼나무 #금송 #동학혁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