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시야 경(S42:12) -1
Rāsiya-sutta
2. 그때 라시야 촌장이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라시야 촌장은 세존께 이렇게 여쭈었다.
3. “세존이시여, 저는 '사문 고따마는 모든 고행을 비난하고,
난행고행의 삶을 사는 고행자를 전적으로 힐난하고 비방한다.'라고 이렇게 들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사문 고따마는 모든 고행을 비난하고,
난행고행의 삶을 사는 고행자를 전적으로 힐난하고 비방한다.'라고
이렇게 말하는 자들은 세존께서 말씀하신 대로 말한 것입니까?
세존을 거짓으로 헐뜯지 않고 세존께서 설하신 것을 반복한 것입니까?
[세존께서 설하셨다고 전해진 이것을 반복하더라도]
어떤 동료수행자도 나쁜 견해에 빠져 비난의 조건을 만나지 않겠습니까?”
“촌장이여, '사문 고따마는 모든 고행을 비난하고,
난행고행의 삶을 사는 고행자를 전적으로 힐난하고 비방한다.'라고 말하는 자들은
내가 말한 대로 말한 것이 아니다. 그들은 나를 거짓으로 헐뜯는 것이다.”
(i)
4. “촌장이여, 출가자가 가까이하지 않아야 할 두 가지 극단이 있다.
그것은 저열하고 촌스럽고(*1) 범속하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하는
감각적 욕망들에 대한 쾌락의 탐닉에 몰두하는 것과,
괴롭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하는 자기 학대에 몰두하는 것이다.
촌장이여, 이러한 두 가지 극단을 의지하지 않고 여래는 중도(中道)(*2) 완전하게 깨달았나니 [331]
[이 중도는] 안목을 만들고(*3)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최상의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으로 인도한다.”
(*1) '촌스러운'으로 옮긴 원어는 gamma이다.
이 단어는 마을이나 시골을 뜻하는 gāma의 곡용으로 '마을에 속하는, 시골에 속하는'이란 뜻이다.
원어의 의미를 살려서 '촌스러운'으로 옮겼다.
(*2) 여기서 '중도(中道)'는 majjhimā paṭipadā를 옮긴 것이다.
아래 §5에서 보듯이 여기서 중도는 팔정도를 뜻한다.
중도에 대해서는 본서 제2권 「깟짜나곳따 경」 (S12:15) §6의 주해와 제6권 해제 §5-(2)를 참조할 것.
(*3) '안목을 만들고'는 cakkhu-karaṇī를 옮긴 것인데 '눈을 만들고'로 직역할 수 있다.
보디 스님도 which gives rise to vision으로 옮겼다.
5. “촌장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여래가 완전하게 깨달았으며, 안목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최상의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으로 인도하는 중도인가?
그것은 바로 여덟 가지 구성요소로 된 성스러운 도[八支聖道 = 팔정도]이니,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 바른 정진, 바른 마음챙김, 바른 삼매이다.
촌장이여, 이것이 바로 여래가 완전하게 깨달았으며, 안목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최상의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으로 인도하는 중도이다.”(*4)
(*4) (i)번 문단 즉 §§4~5는 부처님의 최초의 설법을 담고 있는
본서 제6권 「초전법륜 경」(S56:11) §§3~4에도 나타나고 있다.
주석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그러면 여기서 왜 '감각적 욕망들에 대한 쾌락의 탐닉에 몰두하는 것(kāma-sukhallika-anuyoga)'을 말씀하시고,
왜 '자기 학대에 몰두하는 것(atta-kilamatha-anuyoga)'을 말씀하시고,
왜 '중도(majjhimā paṭipadā)'를 말씀하시는가?
[(ii)~(iii)에서]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kāma-bhogi)들을 보여주시기 위해서
감각적 욕망들에 대한 쾌락의 탐닉에 몰두하는 것을 말씀하시고,
[(iv)~(v)에서] 고행에 빠진 자(tapa-nissitaka)들을 보여주시기 위해서
자기 학대에 몰두하는 것을 말씀하시고,
[(vi)에서] 세 가지 풀려남의 토대(nijjara-vatthu)를 보여주시기 위해서 중도를 설하신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것들을 보여주시는 목적(payojana)이 무엇인가?
두 가지 극단(dve antā)을 제거하고 중도를 통해서 바른 깨달음(sammā-sambodhi)을 증득하신 여래께서는
모든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이나 고행자들을 비판하시지도(garahati) 않고 칭찬하시지도(pasaṃsati) 않는다.
그분은 비판할 사람들을 비판하시고 칭찬할 사람들을 칭찬하신다. 이것이 그 목적이라고 알아야 한다.” (SA.iii.108~109)
(ii)
6. “촌장이여, 세상에는 세 부류의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5)
(*5) 이 셋은
① 어떤 방법으로 재산을 모았는가
②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사용하는가 아닌가
③ 남의 이익을 위해서 사용하는가 아닌가 이다.
이 세 가지 기준 모두에 긍정적인 사람은 다시 그 재산에 집착하는가 아닌가로 분류하고 있다.
한편 이하 본경에서 셋으로 분류되어 나타나는 (ii)와 (iii)의 각각 열 가지는
『앙굿따라 니까야』「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 경」(A10:91)에도 꼭 같이 나타나고 있다.
(1) 촌장이여, 여기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어떤 자는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으고,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않고, 만족하게 하지 않고,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2) “촌장이여, 그런데 여기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어떤 자는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으고,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지만, 나누어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3) “촌장이여, 그런데 여기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어떤 자는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으고,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고,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는다.”
(4) “촌장이여, 그런데 여기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어떤 자는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은 뒤 [332]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않고, 만족하게 하지 않고,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5) “촌장이여, 그런데 여기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어떤 자는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지만,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6) “촌장이여, 그런데 여기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어떤 자는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고,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는다.”
(7) 촌장이여, 그런데 여기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어떤 자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않고, 만족하게 하지 않고,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8) “촌장이여, 그런데 여기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어떤 자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지만,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9) “촌장이여, 그런데 여기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어떤 자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고,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는다.
그러나 그는 재산에 묶이고, 홀리고, 집착하며,
위험함을 보지 못하고, 벗어남을 통찰하지 못하면서 사용한다.”
(10) “촌장이여, 그런데 여기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어떤 자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 뒤 [333]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고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는다.
그리고 재산에 묶이지 않고, 홀리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위험함을 보고, 벗어남을 통찰하면서 사용한다.”
(iii)
7. (1) 촌장이여,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 가운데서,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으고, 부당한 방법과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않고, 만족하게 하지 않고,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 자는
세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그러면 어떤 세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가?
그는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비난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않고, 만족하게 하지 않는다. 이것이 비난받는 두 번째 이유다.
그는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이것이 비난받는 세 번째 이유다.
촌장이여, 이 경우에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이 사람은 이러한 세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2) “촌장이여,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 가운데서,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으고,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지만,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 자는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고, 한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다.
그러면 어떤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가?
그는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비난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이것이 비난받는 두 번째 이유다.
어떤 한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가?
그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한다. 이것이 칭송받는 한 가지 이유다.
촌장이여, 이 경우에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는 이러한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고,
한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다.”
(3) 촌장이여,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 가운데서,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으고,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 뒤 [334]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고,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는 자는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고, 두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다.
그러면 어떤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가?
그는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비난받는 한 가지 이유다.
어떤 두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가?
그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한다. 이것이 칭송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는다. 이것이 칭송받는 두 번째 이유다.
촌장이여, 이 경우에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는 이러한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고,
두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다.”
(4) “촌장이여,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 가운데서,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않고, 만족하게 하지 않고,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 자는
한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세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그러면 어떤 한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가?
그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칭송받는 한 가지 이유다.
어떤 세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가?
그는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비난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않고, 만족하게 하지 않는다. 이것이 비난받는 두 번째 이유다.
그는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이것이 비난받는 세 번째 이유다.
촌장이여, 이 경우에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는 이러한 한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세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5) “촌장이여,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 가운데서,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지만,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 자는
두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그러면 어떤 두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가?
그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칭송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한다. 이것이 칭송받는 두 번째 이유다.
어떤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가?
그는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비난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335] 이것이 비난받는 두 번째 이유다.
촌장이여, 이 경우에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는 이러한 두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6) “촌장이여,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 가운데서,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과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기도 하고 폭력을 쓰지 않기도 하여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고,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는 자는
세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그러면 어떤 세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가?
그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칭송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한다. 이것이 칭송받는 두 번째 이유다.
그는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는다. 이것이 칭송받는 세 번째 이유다.
어떤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가?
그는 부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써서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비난받는 한 가지 이유다.
촌장이여, 이 경우에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는 이러한 세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7) “촌장이여,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 가운데서,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않고, 만족하게 하지 않고,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 자는
한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그러면 어떤 한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가?
그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칭송받는 한 가지 이유다.
어떤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가?
그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않고, 만족하게 하지 않는다. 이것이 비난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이것이 비난받는 두 번째 이유다.
촌장이여, 이 경우에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는 이러한 한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8) “촌장이여, [336]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 가운데서,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지만,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 자는
두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그러면 어떤 두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가?
그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칭송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한다. 이것이 칭송받는 두 번째 이유다.
어떤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가?
그는 나누어 가지지 않고, 공덕을 짓지 않는다. 이것이 비난받는 한 가지 이유다.
촌장이여, 이 경우에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는 이러한 두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9) “촌장이여,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 가운데서,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고,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지만,
재산에 묶이고, 홀리고, 집착하며, 위험함을 보지 못하고, 벗어남을 통찰하지 못하면서 사용하는 자는
세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그러면 어떤 세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가?
그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칭송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한다. 이것이 칭송받는 두 번째 이유다.
그는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는다. 이것이 칭송받는 세 번째 이유다.
어떤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가?
그는 재산에 묶이고, 홀리고, 집착하며, 위험함을 보지 못하고,
벗어남을 통찰하지 못하면서 사용한다. 이것이 비난받는 한 가지 이유다.
촌장이여, 이 경우에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는 이러한 세 가지 이유로 칭송받고,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10) “촌장이여,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들 가운데서,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으고,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 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고,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지으며,
재산에 묶이지 않고, 홀리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위험함을 보고, 벗어남을 통찰하면서 사용하는 자는
네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다.
'그러면 어떤 네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가?
그는 정당한 방법으로 폭력을 쓰지 않고 재산을 모은다. 이것이 칭송받는 첫 번째 이유다.
그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한다. 이것이 칭송받는 두 번째 이유다.
그는 나누어 가지고, 공덕을 짓는다. 이것이 칭송받는 세 번째 이유다.
그는 재산에 묶이지 않고, 홀리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위험함을 보고, 벗어남을 통찰하면서 사용한다.
이것이 칭송받는 네 번째 이유다.
촌장이여, 이 경우에 감각적 욕망을 즐기는 자는 이러한 네 가지 이유로 칭송받는다.”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