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리기 쉬운 우리말
재고와 제고
직장 생활을 하면서 많이 사용하게 된 단어들이 있습니다. 바로 재고와 제고라는 단어인데요. 재고와 제고. 그 의미는 대충 알 것 같은데 글로 적어보려 하면 순간 헷갈리기도 합니다. 영어 단어와 다르게 우리말은 생소한 단어라도 그 정확한 뜻을 잘 찾아보지 않게 되는데요. 그래서 더 헷갈리게 되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그래서 사전을 찾아보며 정리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재고의 사전적 의미
•재고(在庫) : 있을 재, 창고 고. 말 그대로 창고에 있음을 의미함. 예) 지금 재고 수량이 얼마나 되지? 재고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주세요.
•재고(再考) : 다시 재, 생각할 고. 어떤 일이나 문제 등에 대해 다시 생각함. 예) 이번 결정은 재고 할 필요가 있습니다. 직원들은 회사측에 이번 임금 인상률에 대해 재고를 촉구하였다.
(참고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위의 두 가지 의미 외에도 몇 가지 의미가 더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일상생활에 흔히 쓰이는 재고의 의미만 적어 보았습니다.
제고의 사전적 의미
•제고(提高) : 끌 제, 높을 고. 수준이나 정도를 쳐들어 높임. 예) 기술 수준의 제고에 노력을 기울이자. 서비스 수준의 제고가 올해의 목표입니다. 제품의 품질 제고를 위해 혁신이 필요합니다.
(참고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제고는 '수준이나 정도를 높이다'라는 명확한 뜻을 갖는 단어입니다. 회사에서 연초에 발표하는 '올해의 목표' 등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죠. 회사에서 생산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알아 본 단어들은 한자어들이기 때문에 한자와 그 뜻을 알아두면 의미가 명확해 집니다. 제고의 提자 말고는 쉬운 한자들로 되어 있으니 한자와 함께 그 의미도 알아두면 더 이상 헷갈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
|
첫댓글 저도 자주 헷갈렸는데 공부 잘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