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23일 토요일
<세례자 요한의 탄생>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57-66 57 엘리사벳은 해산달이 차서 아들을 낳았다. 58 이웃과 친척들은 주님께서 엘리사벳에게 큰 자비를 베푸셨다는 것을 듣고, 그와 함께 기뻐하였다. 59 여드레째 되는 날, 그들은 아기의 할례식에 갔다가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아기를 즈카르야라고 부르려 하였다. 60 그러나 아기 어머니는 “안 됩니다. 요한이라고 불러야 합니다.” 하고 말하였다. 61 그들은 “당신의 친척 가운데에는 그런 이름을 가진 이가 없습니다.” 하며, 62 그 아버지에게 아기의 이름을 무엇이라 하겠느냐고 손짓으로 물었다. 63 즈카르야는 글 쓰는 판을 달라고 하여 ‘그의 이름은 요한’이라고 썼다. 그러자 모두 놀라워하였다. 64 그때에 즈카르야는 즉시 입이 열리고 혀가 풀려 말을 하기 시작하면서 하느님을 찬미하였다. 65 그리하여 이웃이 모두 두려움에 휩싸였다. 그리고 이 모든 일이 유다의 온 산악 지방에서 화제가 되었다. 66 소문을 들은 이들은 모두 그것을 마음에 새기며, “이 아기가 대체 무엇이 될 것인가?” 하고 말하였다. 정녕 주님의 손길이 그를 보살피고 계셨던 것이다.
우리의 새 이름에 합당한 생활을 하고 있나요?
지나는 길목에 "아기 이름 잘 지어요."라는 철학관에 자주 시선이 머물게 됩니다. 누구나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름을 지을 때 아주 신경을 많이 쓰고 이름의 뜻을 잘 알고 잘 지어 복을 많이 받으려고 유명한 작명가에게 의뢰하기도 합니다. 성(姓)에 의하여 돌림자에 따르기도 하고 아예 돌림자를 미리 정해서 내려오기도 합니다. 또한 한자의 획수를 따져서 음양과 오행에 맞추어 작명해야 한다고 전문가는 말합니다. 그리고 점을 치는 사람은 이름을 잘못지어서 출세를 못한다느니 물질적인 복을 얻기 위해 개명을 하라고 권하기도 합니다. 요즘 한글 이름을 얼마나 예쁘게 짓는지 정말 부르기 좋고 아름답습니다. 우리의 글로 우리의 뜻을 표현한 이름을 가지고 그렇게 살기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이 아름답게 녹아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처음으로 중국에 갔을 때 대학의 교수들은 작명가로 이름을 날리고 작명 사례비가 봉급보다 많다고 하였습니다. 중국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은 이름을 잘 지어야 운세가 대통하고 출세 할 수 있다고 믿고 있으며 이름은 나를 대표하기 때문에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명함을 만들어 가지고 다니면서 인사할 때는 명함을 내밉니다. 그래야 그 사람을 잘 기억할 수 있기 때문이며, 연락하여 서로 관계를 맺기에 아주 중요한 도구가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부모가 지어준 이름을 갖고 있고 세례를 받을 때 주보성인의 이름을 받았습니다. 그것도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크리스천"이라는 하느님의 명함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부모가 지어주신 이름을 바로 호적에 올리고 그 이름으로 평생을 동행하는 것처럼 세례 때 우리가 받은 이름도 하느님 나라에 영원히 등재 되었을 것입니다. (묵시21,27참조)
흔히 '표사유피 인사유명'(豹死留皮 人死留名)이라는 말을 쓰고 있습니다. '표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말입니다. 표범의 가죽은 참 아름답습니다. 그래서 표범은 가죽 때문에 죽임을 당하고 남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사람은 유명한 사람이 되어야 이름을 남깁니다. 성군(聖君)도 폐주(廢主)도 충신도, 간신도, 성인도, 악인도 역사에 이름을 남깁니다. 우리가 죽으면 '그 사람은 성인(聖人)이었어'하면서 우리의 이름도 아름답게 남길 수 있을까요? 이름을 남기기 위해서는 우리의 이름이 하늘나라에 등록되고, 그 이름에 걸 맞는 성인의 삶을 닮고자 노력하며 살고 있는지요. 또한 하느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아서 하느님의 명함으로 값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생각해 봅니다.
부모가 자식의 이름을 부를 때는 마음 안에 사랑을 가득 담습니다. 스승이 제자를 부를 때도 사랑이 담겨 있는데 하물며 하느님께서 지어주신 이름을 부를 때 주님께서 얼마나 사랑과 염려와 축복을 주시겠습니까? 오늘 요한의 이름을 지어주신 하느님께서는 요한을 잘 보살펴 주셨습니다. 우리도 당신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어 주시고, 당신께서 지어주신 "크리스천(Christian)"이라는 이 귀한 새 이름을 그대로 버려 두실리가 없기에 오늘 복음에서 말씀하시듯 ‘주님의 손길로 감싸 주시니 주님을 믿지 않는 사람은 부러워 할 것입니다.’
'옥불탁불성기'(玉不琢不成器)란 말이 예기(禮記)에 있는데 이는 "아무리 이름이 좋아도, 소질이 뛰어난다 하여도 갈고 닦지 않으면 훌륭한 인물이 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아무리 이름을 잘 지었고, 주님께서 우리에게 좋은 이름을 하사(下賜) 하셨다고 할지라도 우리가 끊임없이 노력하고 성덕을 쌓지 않으면 이름값을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는 부모님과 하느님에게 불효하는 것이며 이름을 욕되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더욱 이름을 중요하게 여기고 이름값을 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세상에 주님을 증언할 모든 자질을 주셨기에 잘 발휘해서 훌륭한 사람이 되어 이름을 빛낼 때 아주 흡족해하시며 "이 아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이란다."하고 자랑하실 것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즈카르야가 하느님께서 이름을 지어주신 것을 의심해서 벙어리가 된 것처럼 주님의 가르침을 자주 잊고 의심한다면 벙어리가 될 것입니다. 우리가 주님의 진리와 이름을 전하는데 벙어리가 된다면 곤란하겠죠. 주님께서 풍성하게 내려주시는 은총을 마다하고 벙어리로 살겠습니까? 이제 요한처럼 입을 열고 혀가 풀려서 굳센 정신으로 주님을 증언하며 살아야겠습니다. 우리의 새 이름값을 하면서 살아야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