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 팥죽에 어린 추억 한 줌
이헌 조미경
동지가 음력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 동지(中冬至),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하는데, 애동지에는 어린아이가 많이 죽고, 중 동지에는 청, 장년층이 많이 죽고, 노동지에는 노인들이 많이 죽는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동짓날이라도 ‘애기동지’에는 팥죽을 먹지 않는데, 삼신할머니가 아이들이 10살이 될 때까지는 건강하게 자라도록 돌봐주고 있는데, 팥죽을 쑤면 삼신할머니도 귀신이라, 아이들 근처에 오지 못해 아기들의 건강을 지켜 줄 수가 없다고 한다. 팥은 색이 붉어서 양색인 관계로 음귀를 쫓는데 효과가 있다고 믿어 왔다 낮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태양의 부활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여, 설 다음가는 작은 설의 대접을 받았다. 그것이 오늘날까지 전해져서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도 있다 역신을 쫓아내기 위해서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먹으며 악귀를 쫓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팥죽에 새알심을 넣어 먹는 풍습은 건국 신화에 나오는 최초의 왕이 알에서 나오는 난생 신화가 많아 새알심을 만들어 넣는다는 설도 있다고 한다.
12월 22일은 동지 팥죽을 먹는 날이다 어제 까지도 기억을 했는데, 막상 당일이 되니 다른 일 생각하느라 잊었다. 동지에 팥죽을 먹는 일은 매일 밥을 먹는 것처럼, 습관처럼 해 오던 일인데 이제는 예전처럼 관심이 없어서일까. 요즘은 마트에 가면 새알심을 만들어 팔기도 하는데 직접 익반죽을 한 것과 맛이 비교가 안된다. 반찬가게에 가면 파는 팥죽은 어쩐 일인지 입맛에 맞지 않는다 촌스럽고 귀찮은 일이지만, 비록 찹쌀가루를 사서 간편하게 비록 찹쌀가루를 사서 간편하게 만든다 해도 정성이 들어가 있는 단팥죽은 맛있다.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는 동지 어릴 때는 동지에 먹는 동지 팥죽의 유래도 모르고 그냥 어른들이 만들어 주신 음식이라 맛있게 먹었는데 동지팥죽의 유래를 알게 되니, 옛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유물처럼 생각이 된다. 찹쌀가루를 익반죽을 해서 동글동글 작게 만들어서 펄펄 끓고 있는 가마솥에 집어넣고 한참을 끓인 후 간을 맞추어 먹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팥죽을 먹을 수 있었는데 온 가족이 둘러앉아 시원한 동치미와 배추김치를 앞에 두고 수저질을 할 때면 웃음꽃이 피어나곤 했다.
시간의 흐름은 추억도 입맛도 바뀌는지, 점점 인스턴트 음식에 길들여진 혀끝은 슬로 푸드보다는 패스트푸드에 길들여지는 것 같다 바쁜 현대인들은 느리게 정성을 다해 만드는 음식 대신에 공장에서 찍어 나오듯 만들어진 조미료가 듬뿍 든 음식에 손이 간다. 그렇지만 건강을 위해서 우리 것을 잊지 않기 위해서 오늘 같은 날에는 동지 팥죽 한 그릇을 먹으며 오래전 동치미를 앞에 두고 도란거리던 시절로 돌아가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