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종 목 : 사적 제117호 지 정 일 : 1963.01.21 소 재 지 : 서울 종로구 세종로 1 시 대 : 조선시대
궁의 이름은 정도전이 『시경』에 나오는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만년 그대의 큰 복을 도우리라”에서 큰 복을 빈다는 뜻의 ‘경복(景福)’이라는 두 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 1412년 태종은 경복궁의 연못을 크게 넓히고 섬 위에 경회루를 만들었다. 이 곳에서 임금과 신하가 모여 잔치를 하거나 외국에서 오는 사신을 대접하도록 하였으며, 연못을 크게 만들면서 파낸 흙으로는 아미산이라는 동산을 만들었다.
태종의 뒤를 이은 세종은 주로 경복궁에서 지냈는데, 집현전을 두어 학자들을 가까이 하였다. 경회루의 남쪽에는 시각을 알려주는 보루각을 세웠으며, 궁의 서북 모퉁이에는 천문 관측시설인 간의대를 마련해 두었다. 또한 흠경각을 짓고 그 안에 시각과 4계절을 나타내는 옥루기를 설치하였다.
임진왜란(1592)으로 인해 창덕궁·창경궁과 함께 모두 불에 탄 것을 1867년에 흥선대원군이 다시 세웠다. 그러나 1895년에 궁궐 안에서 명성황후가 시해되는 사건이 벌어지고, 왕이 러시아 공관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주인을 잃은 빈 궁궐이 되었다. 1910년 국권을 잃게 되자 일본인들은 건물을 헐고, 근정전 앞에 총독부 청사를 짓는 등의 행동을 하여 궁의 옛 모습을 거의 잃게 되었다.
현재 궁궐 안에 남아있는 주요건물은 근정문·근정전·사정전·천추전·수정전·자경전·경회루·재수각·숙향당·함화당·향원정·집옥재·선원정 등이 있다.
중국에서 고대부터 지켜져 오던 도성 건물배치의 기본형식을 지킨 궁궐로서, 궁의 왼쪽에는 역대 왕들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종묘가 있으며, 오른쪽에는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직단이 자리잡고 있다. 건물들의 배치는 국가의 큰 행사를 치르거나 왕이 신하들의 조례를 받는 근정전과 왕이 일반 집무를 보는 사정전을 비롯한 정전과 편전 등이 앞부분에 있으며, 뒷부분에는 왕과 왕비의 거처인 침전과 휴식공간인 후원이 자리잡고 있다. 전조후침의 격식인데, 이러한 형식은 이 궁이 조선의 중심 궁궐이므로 특히 엄격한 규범을 나타내고자 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비록 궁궐 안 대부분의 건물들이 없어지기는 하였지만, 정전·누각 등의 주요 건물들이 남아있고 처음 지어진 자리를 지키고 있어서, 조선의 정궁의 모습을 대체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근정전 국보 제223호. 경복궁의 정전으로 조하를 거행하고 외국사신을 맞이하는 국가의 중요한 의식이 거행되었던 곳이다.
사정전 경복궁의 편전으로 왕이 평소에 정사를 보고 문신들과 함께 경전을 강론하는 곳이다.
천추전 편전일곽의 서편전에 해당하는 천추전은 고종 2년(1865년)에 중건한 건물로 신하들과 회의를 하던 곳이다.
강녕전 왕의 침전으로 내외 종친을 불러 연회를 하는 곳이다. 또한 왕이 신하를 불러 은밀히 정사를 논의하던 곳이기도 하다.
수정전 세종대왕때 집현전이 있던 자리에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다시 지은 건물로 고종 초기에는 침전으로 사용되고 편전의 역할을 하였으며 갑오개혁 시절에는 국군기무처 및 내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경회루 경복궁 내 연못 안에 조성된 누각으로 외국사신의 접대나 연회장소로 사용되던 곳이다.
교태전 왕비의 침전으로 뒤쪽으로는 인공으로 조성된 언덕이 있는데 중국에서 가장 아름답고 신비롭다는 산의 이름을 빌어 '아미산'이라고 한다.
자경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고종의 양어머니가 되었던 조대비(신정왕후)를 위하여 지은 건물이다. 뒤에는 십장생과 박쥐문, 당초문을 새긴 굴뚝인 십장생 굴뚝이 있다.
향원정 1873년 고종이 건청궁을 지을 때 그 앞에 연못을 파서 연못 가운데에 섬을 만들어 지은 2층 정자로 향원정으로 가는 섬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취향교라는 구름다리가 있다.
건청궁 고종 10년(1873년)에 왕과 왕비가 한가롭게 휴식을 취하면서 거쳐할 목적으로 지었다. 고종은 이 곳을 좋아하여 왕비와 함께 자주 머물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집옥재 집옥재는 협길당, 팔우정과 더불어 당초 창덕궁 함녕전의 별당으로 지어진 건물로 1888년 고종이 창덕궁에서 경복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경복궁으로 옮겨왔다.
태원전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을 모시던 건물로 후에는 빈전이나 혼전으로도 쓰였다. 태원전 건물은 20세기초에 철거되었다가 지금 옛 모습대로 복원되었다.
자선당 자선당과 비현각은 동궁의 주 전각이다. 동궁은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생활공간으로 왕세자의 교육이 이루어지던 곳이다.
경복궁의 광화문
경복궁 문지기와 한 컷
경복궁의 돌담길
많은 인파들이 경복궁의 문지기 근무교대하는 장면들을 보기위하여 구경하는 모습들
경복궁의 저뒤로 보이는 산이 청와대의 뒷산 북악산이다.
경복궁 임금님의 자리
경회루의 모습
|
출처: 그리운 추억을~~ 원문보기 글쓴이: 꼬끼오
첫댓글 고궁도 보고 ....
청계천에 특수부품 구하로 갈적엔 항시 둘러보고 와야겟다는 생각을 실현치못한 아쉬움 여기서 달래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