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데의 법칙>>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독일 천문학자 J.D.티티우스가 1766년에 발견한 법칙인데, 1772년 베를린천문대의 J.E.보데가 세상에 소개하였다. 행성의 궤도반지름을 d라 하면, d=0.4 +(0.3×2n)이라는 식에 n=-∽, 0, 1, 2, 3, 4, 5, …를 차례로 넣어서 생긴 수열 0.4, 0.7, 1, 1.6, 2.8, 5.2, 10, …이 수성, 금성, 지구, 소행성, 화성, 목성, 토성, …의 궤도반지름을 차례대로 나타낸다는 법칙이다. 티티우스가 이 법칙을 발견할 때는 소행성케레스와 나머지 행성인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n=2에 해당되는 장소는 빈자리로 남아 있었고, n=6 이상은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n=2인 곳을 제외하면 수성에서 토성까지의 궤도반지름은 이 법칙과 거의 일치하고 있고, 1781년 발견된 천왕성의 궤도반지름도 이 법칙이 제시하는 값과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n=3에 해당되는 장소에도 틀림없이 행성이 존재할 것으로 예견되었다. 그러한 예견은 1801년 1월 1일 이탈리아의 G.피아치가 n=2에 해당하는 곳에서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함으로써 증명되었다. 그러나 1846년 발견된 해왕성과 1930년 발견된 명왕성은 보데의 법칙과 크게 어긋나고 있기 때문에 이 법칙은 행성의 정확한 궤도반지름을 나타내기보다는 행성이 태양에서 멀수록 그 궤도 간격이 상대적으로 커짐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