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詠影(영영)(내 그림자를 노래함)
進退隨儂莫汝恭(진퇴수농막여공) 들어오고 나갈 때마다 날 따라다녀도 고마워 않으니
汝儂酷似實非儂(여농혹사실비농) 너는 나와 비슷하지만 진짜 나는 아니로세
月斜岸面驚魁狀(월사안면경괴상) 달빛 기울어 언덕에 누우면 도깨비 모양이 되고
日午庭中笑矮容(일오정중소왜용) 한낮에 뜰에 서면 난쟁이 모양으로 우습구나
枕上若尋無覓得(침상약심무멱득) 침상에 누우면 찾아도 만나지 못하다가
燈前回顧忽相逢(등전회고홀상봉) 등불 앞에서 돌아보면 갑자기 서로 만나네
心雖可愛終無信(심수가애종무신) 마음으로는 사랑하면서도 끝내 믿지 못하다가
不映光明去絶踪(불영광명거절종) 빛이 비치지 않으면 자취를 감추네
*위 시는 “현대시의 감각으로 풀이한 김갓갓 시집(金笠詩選集)(정민호 역저)”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입니다. 역저자는 “자기의 그림자를 보고 노래한 시다. 앉으면 따라 앉고 서면 따라 서고 가면 따라오는 그림자여!, 너는 참 신기하구나, 깜깜한 밤에 잠자려고 누우면 어디간지 간곳 없다가도 등불 앞에서는 다시 따라오는 그림자여, 참 신기하고 귀엽구나, 너는 믿을 수도 없고 미워할 수도 없다가도 빛 밝은 광명한 천지에서 너는 없다가도 다시 나타나는 희한한 존재다”라고 감상평을 하였습니다.
*김삿갓[1807 ~ 1863, 본명 김병연(金炳淵),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심(性深), 호는 난고(蘭皐),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고 부름, 아버지는 김안근(金安根)으로 경기도 양주에서 출생]은 조선 후기의 시인으로 1811년(순조 11) 홍경래의 난 때 선천부사(宣川府使)로 있던 조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에게 항복하였기 때문에 연좌제의 의해 멸족되어 당시 6세였던 그는 하인 김성수(金聖洙)의 구원을 받아 형 병하(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도망가서 살다 그 다음에 집안이 멸족에서 폐족으로 사면되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와 살게 되었다.
과거에 응시하여 김익순의 행위를 비판하는 내용으로 답을 적어 장원급제하였는데, 김익순이 자신의 조부라는 사실을 알고 난 후 조상에 대한 죄를 지었다고 생각하고 벼슬을 버리고 20세 무렵부터 머나먼 방랑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는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고,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전남 화순)에서 57세로 객사하였다. 유해는 영월군 태백산 기슭에 있으며, 1978년 그의 후손들이 광주 무등산에 시비를 세우고, 1987년에는 영월에 시비가 세워졌다. 작품으로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있다.
*정민호(鄭旼浩, 1939~, 본관 迎日, 아호 丁巴,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과 졸업)-조부 학강(鶴岡)으로부터 한문 수학, 1966년 ‘思想界’ 신인문학상 당선으로 문단 등단, 현역 문단인(시인)으로 활동, 경북문화상, 한국문학상, 한국pen문학상, 한국예총 예술대상 등, 포상으로는 녹조근정훈장(대통령), 예총경주지부장, 경북문인협회장 등 역임, 현재 경주향교 사회교육원 한문지도 강사, 경주문예대학 원장, 시집으로 “꿈의 耕作” 외 15권, 산문집 “시인과 잃어버린 팬티”등, 국역으로 “論語抄”, “鶴岡詩集”, “五言唐音”, “七言唐音”, “唐詩選集”, “교양 明心寶鑑”, “三國史記”, “三國遺事”, “唐詩의 이해와 감상”, “한국인의 한시(漢詩)” 등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