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거이(白居易)-식후(食後)(밥먹고 나서)
食罷一覺睡(식파일각수) 식사 후 한 숨 자고
起來兩甌茶(기래양구차) 일어나 차 두 잔
擧頭看日影(거두간일영) 고개 들어 해 그림자 바라보니
已復西南斜(이부서남사) 어느덧 서남으로 기울었다
樂人惜日促(낙인석일촉) 즐거운 사람은 짧은 해가 아쉽고
憂人厭年賖(우인압년사) 근심하는 사람은 한 해가 더디게 간다고 싫어한다
無憂無樂者(무우무락자) 근심도 즐거움도 나 같은 이야
長短任生涯(장단임생애) 길든 짧든 생애에 맡기면 그만이지
*백거이[白居易, 772~ 846, 자는 낙천(樂天),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는 당나라 중기의 위대한 시인이자 중국 고대문학사 전반에서도 일류에 속하는 대시인으로 대여섯 살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고 아홉 살 때는 이미 음운이 복잡한 율시(律詩)를 쓸 줄 알았다고 하며, 주요 저서로는 “장한가(長恨歌)”, “비파행(琵琶行)”등이 있습니다.
*참고로 백거이는 이백(李白)이 죽은 지 10년, 두보(杜甫)가 죽은 지 2년 후에 태어났고, 같은 시대의 한유(韓愈)와 더불어 ‘이두한백(李杜韓白)’으로 병칭되었습니다.
*백거이는 평생을 관리로 살아오면서 딱 4년간의 좌천 생활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순탄하게 승진하였는데, 그는 56세 이후부터 정쟁의 회오리에 말려들지 않고 명철보신明哲保身할 수 있는 삶의 방식을 추구하였고, 백거이는 이런 삶을 스스로 중은中隱이라 명명하고 반관반은半官半隱 생활을 추구하였으며, 그리하여 중책과 요직에 임명되는 것을 마다하고 지방관리나 낙양 파견 근무를 주로 하였으며, 한직에 있기에 격무에 시달릴 필요도 없고 나머지 시간은 친구들과 산수 유람을 하고 음풍농월하며 유유자적한 삶을 향유하였고, 그런 자신을 풍월노인風月老人이라 칭하였다 합니다.
*백거이는 나이 73세 되는 해에 사재를 털어서 마을 주민들의 목숨을 종종 앗아갔던 험난한 팔절탄八節灘(낙양 용문산 부근에 있는 여울로 워낙 물길이 좁고 험난하여 이곳을 지나던 배나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스러워 한 곳) 확장 공사를 벌이는데, 좁은 팔절탄을 파고 확장하여 암초를 제거하고 험난한 물살을 잔잔하게 만들었는데, 그 감회를 읊은 시가 ‘개용문팔절석탄(開龍門八節石灘)’입니다.
*위 시는 한문학계의 원로이신 손종섭 선생님의 “노래로 읽는 당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인데, 손종섭 선생님은 “시인이 강주사마江州司馬로 있을 때의 작품으로 작가의 담담한 생활상이다. 모든 인간의 일을 생애에 맡겨놓았으니 특별히 불평하거나 속끓이거나 할 일이 없다. 마찬가지로 자연의 일은 자연이 하는 대로 맡겨놓으면 되는 것, 인간이 가타부타할 처지가 아니다. 작가의 자 낙천도 이와 같은 낙천적인, 자기의 성격 따라 지은 자호인 것이다. 한漢의 급암汲黯(중국 전한 무제 때의 인물. 무제 때 주작도위가 되었으며, 9경의 한 사람이 되었다. 승상 장탕과 어사대부 공손홍 등을 법률 만능주의자요 천자에게 아첨하는 영교지도라 비난하고, 황로지도 · 무위의 정치를 주장하며 왕에게 간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회양태수를 마지막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이 누워서 회양군을 다스렸듯이 작가도 강주를 선치善治하였으리라”고 적고 있습니다.
*一覺睡(일각수) : 중국의 속어로 잠깐 눈을 붙임, 한숨 자고 남
甌(구) : 사발 구, 종족 이름 우, 1.(사발 구) 2.사발(沙鉢: 사기로 만든 국그릇이나 밥그릇) 3.증발
已復(이부) : 이미 또 다시, 벌써 어제와 마찬가지로
日促(일촉) : 하루해가 덧없이 짧음
厭(염) : (싫어할 염, 누를 엽, 빠질 암, 젖을 읍) 1. (싫어할 염) 2. 싫어하다 3. 물리다, 배불리 먹다
年賖(연사) : 한 해가 긺, 한 해가 지루함, 賖는 1.세내다 2. (외상으로)사다, 거래하다 3.아득하다의 뜻
첫댓글 유유자적하는 삶인가요....
흘러가는 데로 살아가는 삶 속에서
옛 중국 선비 백거이의 모습을 봅니다....
백거이의 반관반은의 행보는
요즘 정치인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회장님의 멋진 댓글에 감사드리고,
행복한 금요일과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