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드레서는 우리가 만들어가는 소중한 공간입니다.
댓글 작성 시 타인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다해주세요.ㅊㅊ ㄷㅋ
하루에 열 시간 이상 공부하는 건사실상 보여주기식 거짓말이거나,실제로 했더라도 며칠 이상 못 간다는 게 중론잠 7시간 이상 & 하루 주도적 집중 순공 6시간 꾸준함 -> 이게 압도적 효율을 보인다는 듯사실 업무도 비슷, 실제로 일하는 시간은 앉아 있는 시간 대비 많지 않음.. 그보다 더 일하면 효율 떨어지거나 번아웃 옴
출처: 소울드레서 (SoulDresser) 원문보기 글쓴이: Paul Atreides
첫댓글 나도 항상 생각하는거 아주 좋은 컨디션이었을 때 풀로 뇌 활성화 시키면서 공부나 일 하는 순 시간은 5시간 내외임... 나머지 시간은 슬슬 계획 짜거나 훑어보거나 루틴적인 일 하는거 정도임
주3일 10to3 를 지지합니다반대하시면 사측이신걸로 알겠읍니다
근데 하루 순공 7~8시간 나오려면 일반두뇌는 책상에앉아있는건 12시간 해야되는거 맞던데...^_ㅠ 나름 타이트하게 8시간 열품타로 해봐도 그 중간중간 집중력 너갱이나가는거 빼면 실공부 5시간정도할듯 저 본문은 두뇌가 있는사람기준같아
잠은 진짜 잘 자면서 해야돼
근데 집중력이 낮아서 오래 앉아있긴 해야함 ㅜㅜ
순공 6시간 채우려면 오전 오후 저녁까지 있어야함.. 난 내가 오래 공부한다고 생각했는데 열품타로 기록해보면 하루종일 앉아있어도 순공 6-8시간임
인강듣고 뭐.. 집중못하고 앉아있는거까지 순공시간으로 재니까 10시간 이렇게 나오는건데 그렇게 앉아있는 거 자체가 대단하다고 생각함 끈기도 공부의 일종이라고 생각해서;;하여튼 저 트윗들은 틀린말은 아니지만 허황돼보임
그래 진짜 뭔 10시간 이상은 정말 말도 안돼~
전혀 공감 안 됨... 머리 좋으면 하루 7-8시간으로도 원하는 결과 내겠지머리가 보통이라면 끈기로라도 앉아있는시간 늘리고 공부하는 사간 늘려서 어거지로라도 해야 원하는 결과 내는거임
나는강사고 하루에 6시간정도 수업하는데 끝날때쯤 되면 머리가 안돌아가 ㅋㅋㅋ뇌를다쓴느낌
고시촌 가보쇼.. 전교1등 이러는거보니 아직 어려서 그세상이 단줄 아나보네
잠은 자면서 해야 돼잠자는 시간도 공부시간에 속한다고 생각함공부를 위해서 뇌 효율 미리 챙겨두는 공부준비시간 정도의 의미로
나 그래서 ㅎ 10시간 넘는 거 매일한다 그러면 안믿긴 해 ㅋㅋㅋㅋ
마자 자야지 장기기억으로 저장됨
놉.. 8시간씩 맨날 하는 사람들 무수히 많이 봄
악기랑은 다른가? 악기는 하루 10시간씩 일년동안 해봄집중력도 연습이 필요한거라 당연히 처음엔 안되지.. 난 2시간 집중 30분 쉼(폰보기x 그냥 눈감고 누워서 쉼) 을 루틴으로 10시간씩 했어 집중을 하기 위해선 쉬는 것도 중요함
고시공부나.. 전문직 등등 시험공부라고 칭하는걸 해보면 순공 8시간 이상씩 하는데... 그래야 붙더라고
10시간이 부족하게 느껴지기도 함... 딱 잠만 자고 공부만 하는 사람들도 많음. 걍 선택과 집중을 하는 거지. 집중 잘 되고 진짜 간절하면 10시간이 10시간으로 안 느껴지고 12시간 할 때도 있음. 물론 매일은 아니고 그래도 한 2~3주는.. 이렇게 해서 어떤 계단을 넘으면 또 7~8시간 하게 되는거지 근데 어떤 벽을 깨려면 좀 더 시간을 투자해야 뚫리더라
신기하다 다들 내 집중력 한계는 딱 5시간이라 학교에서도 5교시정도 지나면 그어떤것도 귀에안들어왔는데.....^^....
아냐 고시공부해본사람들은 알듯 아침7시부터 밤10시까지 밥잠깐 먹는시간빼고 하루종일 앉아있는사람 수두룩해ㅋㅋㅋ순공12시간 차고넘침 전교1등얘기하는데 전교권끼리 고시공부 하는건데ㅋㅋㅋ그분야대가=타고난천재 일수도
그냥 내 머리 돌아갈때까지(개인차있음) 하고 잘 자고 의무감빼고 걍 하면됨… 루틴처럼…
어려서 저럼ㅋㅋㅋ아웃라이어들 재능+노력마저 타고나더라 ㅋㅋ남들 3-4년 이상 걸리는 공부 1-2년 안에 붙는 사람들은 머리 좋고(=이미 명문대) 압도적으로 투입하는걸..
저런건 ..... 그냥 주변에서 그런사람을 못봐서 그래 ㅋㅋㅋ 작년이었나 회계사 수석은 한달동안 평균 14~16시간씩 주평균 100시간씩 한거 인증했음 ㅋㅋㅋ 이건 그사람 열품타...;; 회계사를 무려초시동차 합격하고 인터뷰도했으니까 산증인임.그리고 10시간씩 매일하는사람은 고시쪽에는 흔함... 캠스터디 해도 볼수있고, 칸트같은사람들도 있음.
공감 진짜 본인주변에 공부하는사람이 없어서 못본거야ㅋㅋㅋㅋ 고시판에 하루순공 10시간했다하면 많이했다는 생각도 안들어 12-15시간씩 하는사람들도 보여서 물론 꾸준히 못하는사람도 많지만
와 10시간 넘게 몰입한다는건 어떤느낌일까.. 난 30분도힘든데
몰입을 한번이라도 해봤다면 저런소리 안할텐데..
자기가 못하는거지 ㅋㅋ
그렇지않은데.. 재수때 6시간 자고 아침먹고 점심저녁안먹고 계속 공부만 했는데 덕분에 대학감... 근데 계속 진짜 공부만 했기때문에 순공시간 타이머 이런거 재는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은 했음
@플퀀시 배고파서 10시쯤 학원에서 간식주는거 먹었던거같애...ㅋㅋㅋ
난 본문공감혀. 진짜 뇌가 활성화되서 공부하는 시간은 하루8시간이상은 어렵다고 생각
난 10시간넘어가면 힘들던데..
대학 재수도 해보고 어떤 시험도 준비해봤는데 8시간 이상은 걍 수두룩한데 일정시간 인풋은 필요조건이고 거기서 또 합불이 걸러지고 능력치 따라 합격까지 기간이 또 달라지고..
수능이랑 고시용 공부는 다른듯 후자는 머릿속에 쑤셔넣듯이 하던데
사람마다 공부 효율이 달라서 그래 누군 열두 시간 공부해도 겨우 수능 2등급 받고 누군 여섯 시간 공부해도 수능 1등급 받고 그런겨
의미없다 하는것이 의미없어내가 13시간 순공이라며 앉아있기라도 해야거기에서 순도 높은 7-8시간의 학습이 남는다....딱 앉아서 바로 불태울수있는 사람은 타고난거고안되면 나처럼 그냥 어떻게든 죽어라 붙어있는 수밖에 없어
독학재수해서 메디컬왔는데 14시간 매일 하는거 가능함;; 본인 주변에 없고 본인이 못한다고 해서 남들도 못하는처럼 말하지 않았으면
한번도 공부시간을 재보거나 정해본적이 없음 그냥 되는만큼 하는것
노는 거 좋아하면 궁뎅이 붙이는 총 시간이 늘어야 그 안에서 질높은 학습시간이 생겨남 .... ㅋ
인강듣는걸 순공시간으로 안치는건가..? 인강필기하고하면 하루 6시간이상 쌉가인데 한강의에 1시간 쫌 넘어서
오래 앉아있는만큼 조금이라도 더 공부하니까 그래서 오래 앉아있는 연습도 하잖아
강의 제외한 순공부 시간 6시간이면 많지..강의 하루에 세개는 들을텐데 그거 듣고 필기하면 6시간 뚝딱임..저걸보고 공부 못하는 사람이 밥먹고 12시부터 저녁 6시까지 열심히 공부한다? 아마 합격못할걸
고등학교까지는 꾸준히 순공 6~7시간이 좋은거 맞음근데 고시, 전문직 같은 공부는 절대 ㄴㄴ 시간인풋이 곧 합격률임
고시판 수석들 보면 엉덩이 싸움임 순공시간 길고 그만큼 열심히 함
머래공부에 미친 내 동생은 하루 순공 10시간 기본임
인강듣거나 수업듣는게 뭔 공부야 그거제외히고 6시간이 최대임 공부는 자기주도로하는게 공부이기때문에..수능더그렇고 전문직시험 붙을때까지 순공 많이해봐야 9시간이었음 강의제외
2222 인강듣는걸 순겅에 포함시키먄 어캄...
수능 정도에선 맞는듯 서울대 졸업했는데 하루 5-6시간 순공한거면 많이 한거였음.. 근데 인강, 딴생각 이런 시간 포함 안시킴. 난 오래하면 더 효율 안나와서 딴짓으로 동기부여하는편..
인강, 수업 말고 그 후에 내머리에 넣는 공부 (학습, 새로운 지식 넣기) 자체는 3~4 시간하고 복습을 은은하게(?) 하면서 외우는거라고 생각함잠 진자 중요
공부말고 미대입시생들도 12~1월엔 최소 8시간에서 최대 12시간(4시간*3번) 그림그리긴함.걍 앉아있는거아니고 풀집중.. 왠만한 입시생들 다 하는거고..
첫댓글 나도 항상 생각하는거
아주 좋은 컨디션이었을 때 풀로 뇌 활성화 시키면서 공부나 일 하는 순 시간은 5시간 내외임...
나머지 시간은 슬슬 계획 짜거나 훑어보거나 루틴적인 일 하는거 정도임
주3일 10to3 를 지지합니다
반대하시면 사측이신걸로 알겠읍니다
근데 하루 순공 7~8시간 나오려면 일반두뇌는 책상에앉아있는건 12시간 해야되는거 맞던데...^_ㅠ 나름 타이트하게 8시간 열품타로 해봐도 그 중간중간 집중력 너갱이나가는거 빼면 실공부 5시간정도할듯 저 본문은 두뇌가 있는사람기준같아
잠은 진짜 잘 자면서 해야돼
근데 집중력이 낮아서 오래 앉아있긴 해야함 ㅜㅜ
순공 6시간 채우려면 오전 오후 저녁까지 있어야함.. 난 내가 오래 공부한다고 생각했는데 열품타로 기록해보면 하루종일 앉아있어도 순공 6-8시간임
인강듣고 뭐.. 집중못하고 앉아있는거까지 순공시간으로 재니까 10시간 이렇게 나오는건데 그렇게 앉아있는 거 자체가 대단하다고 생각함 끈기도 공부의 일종이라고 생각해서;;
하여튼 저 트윗들은 틀린말은 아니지만 허황돼보임
그래 진짜 뭔 10시간 이상은 정말 말도 안돼~
전혀 공감 안 됨... 머리 좋으면 하루 7-8시간으로도 원하는 결과 내겠지
머리가 보통이라면 끈기로라도 앉아있는시간 늘리고 공부하는 사간 늘려서 어거지로라도 해야 원하는 결과 내는거임
나는강사고 하루에 6시간정도 수업하는데 끝날때쯤 되면 머리가 안돌아가 ㅋㅋㅋ뇌를다쓴느낌
고시촌 가보쇼.. 전교1등 이러는거보니 아직 어려서 그세상이 단줄 아나보네
잠은 자면서 해야 돼
잠자는 시간도 공부시간에 속한다고 생각함
공부를 위해서 뇌 효율 미리 챙겨두는 공부준비시간 정도의 의미로
나 그래서 ㅎ 10시간 넘는 거 매일한다 그러면 안믿긴 해 ㅋㅋㅋㅋ
마자 자야지 장기기억으로 저장됨
놉.. 8시간씩 맨날 하는 사람들 무수히 많이 봄
악기랑은 다른가? 악기는 하루 10시간씩 일년동안 해봄
집중력도 연습이 필요한거라 당연히 처음엔 안되지.. 난 2시간 집중 30분 쉼(폰보기x 그냥 눈감고 누워서 쉼) 을 루틴으로 10시간씩 했어 집중을 하기 위해선 쉬는 것도 중요함
고시공부나.. 전문직 등등 시험공부라고 칭하는걸 해보면 순공 8시간 이상씩 하는데... 그래야 붙더라고
10시간이 부족하게 느껴지기도 함... 딱 잠만 자고 공부만 하는 사람들도 많음. 걍 선택과 집중을 하는 거지. 집중 잘 되고 진짜 간절하면 10시간이 10시간으로 안 느껴지고 12시간 할 때도 있음. 물론 매일은 아니고 그래도 한 2~3주는.. 이렇게 해서 어떤 계단을 넘으면 또 7~8시간 하게 되는거지 근데 어떤 벽을 깨려면 좀 더 시간을 투자해야 뚫리더라
신기하다 다들 내 집중력 한계는 딱 5시간이라 학교에서도 5교시정도 지나면 그어떤것도 귀에안들어왔는데.....^^....
아냐 고시공부해본사람들은 알듯 아침7시부터 밤10시까지 밥잠깐 먹는시간빼고 하루종일 앉아있는사람 수두룩해ㅋㅋㅋ순공12시간 차고넘침 전교1등얘기하는데 전교권끼리 고시공부 하는건데ㅋㅋㅋ
그분야대가=타고난천재 일수도
그냥 내 머리 돌아갈때까지(개인차있음) 하고 잘 자고 의무감빼고 걍 하면됨… 루틴처럼…
어려서 저럼ㅋㅋㅋ아웃라이어들 재능+노력마저 타고나더라 ㅋㅋ남들 3-4년 이상 걸리는 공부 1-2년 안에 붙는 사람들은 머리 좋고(=이미 명문대) 압도적으로 투입하는걸..
저런건 ..... 그냥 주변에서 그런사람을 못봐서 그래 ㅋㅋㅋ 작년이었나 회계사 수석은 한달동안 평균 14~16시간씩 주평균 100시간씩 한거 인증했음 ㅋㅋㅋ 이건 그사람 열품타...;; 회계사를 무려
초시동차 합격하고 인터뷰도했으니까 산증인임.
그리고 10시간씩 매일하는사람은 고시쪽에는 흔함... 캠스터디 해도 볼수있고, 칸트같은사람들도 있음.
공감 진짜 본인주변에 공부하는사람이 없어서 못본거야ㅋㅋㅋㅋ 고시판에 하루순공 10시간했다하면 많이했다는 생각도 안들어 12-15시간씩 하는사람들도 보여서 물론 꾸준히 못하는사람도 많지만
와 10시간 넘게 몰입한다는건 어떤느낌일까.. 난 30분도힘든데
몰입을 한번이라도 해봤다면 저런소리 안할텐데..
자기가 못하는거지 ㅋㅋ
그렇지않은데.. 재수때 6시간 자고 아침먹고 점심저녁안먹고 계속 공부만 했는데 덕분에 대학감... 근데 계속 진짜 공부만 했기때문에 순공시간 타이머 이런거 재는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은 했음
@플퀀시 배고파서 10시쯤 학원에서 간식주는거 먹었던거같애...ㅋㅋㅋ
난 본문공감혀. 진짜 뇌가 활성화되서 공부하는 시간은 하루8시간이상은 어렵다고 생각
난 10시간넘어가면 힘들던데..
대학 재수도 해보고 어떤 시험도 준비해봤는데 8시간 이상은 걍 수두룩한데
일정시간 인풋은 필요조건이고 거기서 또 합불이 걸러지고 능력치 따라 합격까지 기간이 또 달라지고..
수능이랑 고시용 공부는 다른듯 후자는 머릿속에 쑤셔넣듯이 하던데
사람마다 공부 효율이 달라서 그래 누군 열두 시간 공부해도 겨우 수능 2등급 받고 누군 여섯 시간 공부해도 수능 1등급 받고 그런겨
의미없다 하는것이 의미없어
내가 13시간 순공이라며 앉아있기라도 해야
거기에서 순도 높은 7-8시간의 학습이 남는다....
딱 앉아서 바로 불태울수있는 사람은 타고난거고
안되면 나처럼 그냥 어떻게든 죽어라 붙어있는 수밖에 없어
독학재수해서 메디컬왔는데 14시간 매일 하는거 가능함;; 본인 주변에 없고 본인이 못한다고 해서 남들도 못하는처럼 말하지 않았으면
한번도 공부시간을 재보거나 정해본적이 없음 그냥 되는만큼 하는것
노는 거 좋아하면 궁뎅이 붙이는 총 시간이 늘어야 그 안에서 질높은 학습시간이 생겨남 .... ㅋ
인강듣는걸 순공시간으로 안치는건가..? 인강필기하고하면 하루 6시간이상 쌉가인데 한강의에 1시간 쫌 넘어서
오래 앉아있는만큼 조금이라도 더 공부하니까 그래서 오래 앉아있는 연습도 하잖아
강의 제외한 순공부 시간 6시간이면 많지..강의 하루에 세개는 들을텐데 그거 듣고 필기하면 6시간 뚝딱임..저걸보고 공부 못하는 사람이 밥먹고 12시부터 저녁 6시까지 열심히 공부한다? 아마 합격못할걸
고등학교까지는 꾸준히 순공 6~7시간이 좋은거 맞음
근데 고시, 전문직 같은 공부는 절대 ㄴㄴ 시간인풋이 곧 합격률임
고시판 수석들 보면 엉덩이 싸움임 순공시간 길고 그만큼 열심히 함
머래
공부에 미친 내 동생은 하루 순공 10시간 기본임
인강듣거나 수업듣는게 뭔 공부야 그거제외히고 6시간이 최대임 공부는 자기주도로하는게 공부이기때문에..
수능더그렇고 전문직시험 붙을때까지 순공 많이해봐야 9시간이었음 강의제외
2222 인강듣는걸 순겅에 포함시키먄 어캄...
수능 정도에선 맞는듯 서울대 졸업했는데 하루 5-6시간 순공한거면 많이 한거였음.. 근데 인강, 딴생각 이런 시간 포함 안시킴. 난 오래하면 더 효율 안나와서 딴짓으로 동기부여하는편..
인강, 수업 말고 그 후에 내머리에 넣는 공부 (학습, 새로운 지식 넣기) 자체는 3~4 시간하고 복습을 은은하게(?) 하면서 외우는거라고 생각함
잠 진자 중요
공부말고 미대입시생들도 12~1월엔 최소 8시간에서 최대 12시간(4시간*3번) 그림그리긴함.
걍 앉아있는거아니고 풀집중.. 왠만한 입시생들 다 하는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