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蝸牛)/달팽이류/Nesiohelix samarangae

동양달팽이

민달팽이
와우(蝸牛)는 동양달팽이류 전체의 약용 이름이다.
동양달팽이(Nesiohelix samarangae)는 병안목(柄眼目) 달팽이과의 연체동물로서
거문도, 제주도, 홍도, 내장산, 속리산 등지에 분포하며
산 속의 그늘진 곳, 바위나 낙엽이 많거나 돌 무더기가 있는 곳에서 서식한다.
동양달팽이는 복족류에 속한다.
껍데기 높이 34mm, 지름 50mm이다.
껍데기는 낮은 원뿔형으로 매우 두껍고 거칠며
불규칙한 성장벽맥(成長襞脈)과 사상나맥(絲狀螺脈)이 교차하고 있다.
나층은 5.5층이며, 가두리 위아래에 2줄의 색띠가 있다.
배꼽구멍은 깊고 크며, 껍데기 주둥이는 넓고 끝이 두꺼워져서 뒤로 말려 있다.
그러나 어린 달팽이의 경우에는 껍데기 주둥이가 날카롭다.
껍데기 표면은 황갈색이고 알은 회백색이다.
동양달팽이는 산 속의 그늘진 곳에 서식하는데,
바위나 낙엽이 많거나 돌 무더기가 있는 곳에서 볼 수 있다.
죽어서 오래된 껍데기는 탈색으로 인해 회백색이 된다.
동양달팽이는 한국의 육지산 달팽이 중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워
개체수가 많지 않아도 대표종으로 꼽히며 지리적 변이가 있다.
동양 온대지방에 서식하는 달팽이를 여름철에 포획하여
끓는 물에 죽인 다음 햇볕에 말려서 뽁아서(炒) 사용하는데,
껍질을 와우각(蝸牛殼)이라 하고
내용물을 와우(蝸牛)라 하여 약용하는데
그 기미는 찬(寒)성질과 짠맛(鹹)이 있어
간경, 폐경, 방광경에 작용하여
해열, 해독, 소종의 효능이 있어
풍열경간, 인후염, 임파선염, 볼거리, 창종, 치질, 탈항,
지네 물린데를 다스린다.
하루사용량은 30-60g 을 물약, 가루약을 만들어 복용하고
외상에는 생것을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를 개어서 붙인다.
처방에는 와우산(蝸牛散), 와우고(蝸牛膏) 등이 있다.
1, 달팽이(land snail)
병안목(柄眼目) 달팽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하며
세계에 약 2만 종이 있으며 자웅동체로서
한국, 일본,중국 등 온대와 열대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달팽이류는 이동력이 약하기 때문에 개체군이 지역별로 격리되어 있어
아종이 많이 생긴다.
그 중에는 대형(껍데기 높이 100mm)인 아프리카마노달팽이(Achatina achatina)와
껍데기 높이가 약 1mm인 왜달팽이(Valononia costata)가 있는가 하면
브라질에 서식하는 큰붕달팽이는 알의 길이가 약 27mm, 지름이 약 12mm이다.
열대지방에는 껍데기의 빛깔이 아름다운 달팽이가 많은데
그 중에서 쿠바에 서식하는 오색달팽이가 유명하다.
비스마르크제도에는 초록색이 투명한 초록파푸아달팽이가 유명하고,
일본에 서식하는 흑갈색 바탕에 황금색 무늬가 있는
금띠비단달팽이(Euhadra senckenbergiana)가 알려져 있다.
수많은 달팽이 무리 중에는 식용달팽이도 있고 유해 달팽이도 있다.
유럽에서는 중세에 가톨릭 수도원에서 달팽이의 식용을 허락한 뒤부터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에서 달팽이 요리가 유행했고,
현재 프랑스에서는 에스카르고(escargot)라는 달팽이 요리가 유명하다.
첫댓글 프랑스사람들은 엄청 좋아해도
우리 정서에는 쫌....
고래도 오새는 먹는사람 댓다 많다우요이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