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권의 강화는 그들과 겨루는 교황권의 약화를 가져왔기 때문이고 가톨릭도 중세를 지나면서. 교회가 거대가문과의 뒷거래를 통해 부정적인 면이 노출되었어 이를 정화하기 위한 수많은 수도원이 태어났습니다.
유럽의 혼란으로 가톨릭은 그 기반을 위해 탐험가와 함께 아메리카로 진출했다고 한다 그의미는 침략자와 더불어일어났기에. 완전하지는 못했지만 하느님의 새로운 방법으로. 새로운대륙에 복음의 씨앗을 뿌리게 되었다.
왕권을 등에 업은 개신교는 천주교회가 수도원을 중심으로 하는 청빈을 강조했지만 부의 축척을 장려하였던 것이다.
이의 영향으로 개신교는 탐험가를 앞세워서 아프리카로 진출했던것이다.
개신교는 그 영향력을 높이기위해 교우들이 소득의 10%를 봉헌하는 십일조를 강조하여서 교회규모에 비해 많은 자금이 교회로 몰렸던 것인데. 이들은 이런자금을 가난하고 소외된이를 위해 사용되었기보다 교회를 확장하는데 사용되었기에 그들은 내부적으로 많은 분열을 일으켰으며, 특히 미국남부전쟁을 통하여서 그 분열이 가속되었덕 것이다.
조선에는 천주교가. 개신교에 비해서 백년이상 앞서 들어왔지만 그리스도교와의. 유교의 대립으로 오랜박해시절을 지나고 있었고 개신교는. 유럽열강의 아시아침략시기, 신생국가인 미국의 진출로 개신교선교사들이 조선에 발을 들여놓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