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을의 유래[편집]*
한국전쟁 정전 후 1956년 피난민정착사업의 일환인 재건촌 조성으로 100세대씩 입주한
농민들의 개척에 의해 마을의 틀이 만들어졌다. 한국전쟁의 격전 중 해안을 바라본 종군기자가 이 지역의 움푹 패인 지형에서 따와 펀치볼(Punch Bowl)이라 부른 것이 유명해져 미국에서는 펀치볼(Punchbowl)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
*이름의 유래[편집]*
해안은 돼지해(亥)자 편안할 안(安)에 얽힌 이야기가 전하여 지고 있다. 그 당시 해안은
해자를 바다해(海)를 썼으며 해안 분지에는 주민들이 밖에 나가지 못할 정도로 뱀이 많았다고 한다.
조선시대초에 해안 주민이 시제를 지내면서 유명하신 스님 한분을 모시게 되었는데 그 스님에게 지역사정을
소상히 말하고 뱀을 없앨 방도를 구하니 그 스님이 뱀과는 상극인 돼지를 말하며 바다해(海)자를 돼지해(亥)자로
바꾸어 쓰면 되겠다고 일러주었다고 한다. 그 다음부터 해안을 돼지해(亥)자로 고치고 마을에는
돼지를 많이 기르게 되었으며 그 후 신기하게도 뱀이 없어져서 주민들이 집밖 출입을 자유롭게 하게
되었다고 전하여지며, 현재도 해안 지역에는 높은 산을 제하고는 평지에 뱀이 거의 없다고 하여
이러한 이야기에 사실감을 더하고 있다.
*지리[편집]*
해안면은 분지 하나가 1개면을 이루고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이 분지는 대암산(1,304 m),
도솔산(1,148 m), 대우산(1,179 m)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동서 거리는 8.5 km, 남북은 7 km, 분지 바닥의
평균 표고는 400 m의 거의 완벽한 원을 그리고 있다. 해안면의 물은 인제군 서화면으로 빠져나간다.
면의 북쪽은 한반도 비무장지대이며, 명목상 인제군 서화면에 속하는 좁은 폭의 비무장지대를
지나면 군사분계선과 접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 양구 해안(펀치볼) 관련 내용**
양구군 양구읍에서 31번 국도를 따라 동면으로 가다가 다시 453번 지방도를 타고
해안면으로 방향을 바꿔 돌산령 정상에 올라서면 펀치볼로 잘 알려진 해안분지가 눈에 들어온다. 이 일대는
험준한 산악지대이나 해안분지는 남-북 방향의 지름이 동-서방향보다 약간 긴 타원형 모양의 분지이며 대암산(1,304m), 도솔산(1,147m), 대우산(1,178m), 가칠봉(1,242m) 등 1,000m 이상의 높은 산들이 타원형으로 분수령을 형성하여 분지 내외의 경계선을 이루고 있다. 분지바닥은 해발 450m 내외로 깊게 패어 있어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거대한 접시모양 같기도 하다.
*돼지에 얽힌 해안분지(亥安盆地)*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은 남한 최북단에 위치한 면 소재지로 분지 안에 해안면 전체가 들어가 있다.
해안면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돼지에 얽힌 이야기가 있다. 옛날 해안면은 늪이 많아 뱀이 많았는데 조선말에
어느 스님의 권고로 돼지를 키우기 시작하면서 뱀이 사라졌다고 한다.
이때부터 돼지(亥)가 마을의 안녕(安)을 가져왔다고 해서 해안마을로 불리게 되었다. 해안분지 일대는 양구 북한관,
을지전망대, 제4땅굴, 도솔산 전적비 등이 있어 안보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다.
*차별침식으로 생겨난 침식분지*
해안분지가 만들어진 원인은 암석의 차별침식이 원인인데, 주된 근거는 지질분포와 분지의 외벽이
당물골 쪽으로 터졌기 때문이다. 해안분지 일대의 지질은 크게 분지 내부의 기반암인 중생대 쥬라기 말의
대보화강암과 분지 주변 산지를 이루는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이다.
땅속 깊은 곳에서 심층풍화 된 화강암은 변성암에 비해 지표면에 드러나면 빗물과 하천수 등에 의한 화학적
풍화에 약하다. 따라서 주변 변성암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침식을 받아 낮은 지역을 이룬다.
분지 바닥의 화강암은 대부분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여 20~45m 두께의
마사토 상태로 존재하며, 신선한 화강암 암체를 찾아보기 어렵다. 변성암과 화강암이 만나는 부분을 경계로
경사급변점이 나타나는 데도 차별침식이 원인이기 때문이다. 즉, 분지 내 지역은
최고 1,304m에서 최저 400m까지의 고도분포를 보이며 분지내부와 외곽능선의 고도차는 평균 400~500m에 달한다.
사면전체의 평균경사는 11°이나 상부에서의 평균경사는 20°, 하부에서는 5°로서
분지내부를 제외하고는 매우 급하다. 분지내부 지역의 사면 경사는 하부로 갈수록 매우 단조로운
오목사면(concave slope)을 이룬다. 오목사면에서 경사가 급격히 변하는 경사급변점은 거의
모든 사면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며 그 고도는 대략 600~700m 이다. 이 지역의 경사급변점은
구성암석의 접촉 경계부를 따라서 나타나고 있다.
양구 해안분지대보화강암과 변성퇴적암의 차별침식으로 형성된 분지이다. 분지바닥은 해발 450m 내외로
깊게 패어 있어 거대한 접시모양 같기도 하다.
과거 해안분지는 형태 때문에 운석충돌설이 제기 되었던 곳이다. 운석이 충돌하면 기반암이
부서지면서 그 조각들이 사방으로 흩어지고 조각들은 다시 그 자리에 떨어져 구릉을 형성하는데 해안분지
중앙에 있는 고도 100m 이내의 낮은 산지들이 운석충돌의 흔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운석충돌설은
분지의 형태에 착안한 가설일 뿐 실제 분지내부에서 운석의 파편이 발견되지 않아 과학적 근거는 빈약하다.
*해안분지의 하천*
해안분지의 하천은 한강의 일부인 소양강의 지류이나 분지의 규모로 인하여 하천의 발달은
매우 미약한 편이며 지표수는 거의 하천의 형태로 존재한다. 분지내의 하천 분포는 방사상 내지는 수지상 패턴으로
나타나며 성황리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있다. 모든 유량은 분지 동쪽의 당물골로 배수되는 단일 유역을 이루며 하천의 총 길이는 63㎞, 면적은 59.6㎢이다. 분지 내 하천의 경사도 완사면의 경사와 마찬가지로 하류로 갈수록 완만해지는
오목사면의 형태를 나타낸다.
해안분지의 하천은 소양강의 지류이나 분지의 규모로
인하여 하천의 발달은 매우 미약한 편이다.
분지내부의 사면 경사는 하부로 갈수록 단조로운 오목사면을 이루며,
경사급변점은 구성암석의 접촉경계부를 따라서 나타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양구 해안분지
*양구 해안선사유적(楊口亥安先史遺蹟)*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만대리에 위치한 구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의
유적으로 양구군 문화재자료 제133호이다.
유적의 북쪽에는 도솔산에서 발원한 해안천이 동류하여 동남쪽으로 흘러 성황교 아래에서 성황천과
합류하여 인제군 서화면에서 서화천과 합류한다. 유적은 해안천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크게
구릉지대와 그 북쪽 평지가 유적에 해당된다. 현재 산구릉 지역은 지속적인 개간으로 인하여 표토층은
멸실되어 가고 있다. 현재 구릉지역에는 나무가 식재되어 있는데, 이 식재과정 중에 일부 유구가 파괴되어 있다. 특히
최근 동쪽 소로 옆 밭으로 개간하는 과정 중에 주거지 1기가 완파된 것이 확인되었다.
구릉 밑의 유적은 2001~2002년 제방공사 중에 많은 부분이 다시 파괴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쇠소칼(철도자)·원형점토대토기·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빗살무늬토기 등의
구석기시대로부터 철기시대까지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 유적은 특히 원형점토대토기와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가 집중 출토되고 있어, 우리나라 중부지역의
철기문화의 전래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주는 유적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양구 해안 선사유적
현리1리 버스승하차장
12시24분 해안 재건설비
성황천(펀치볼내 유일한 하천)
주위 토사로 항상 흙탕물...
성황지
성황지 모습
12시29분 해안복지 센터
**양구 통일관**
양구통일관은 민통선 최북단 양구군 해안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통일에 대비하여 국민에게 북한 실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통일의지를 고취시키는 등 통일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4땅굴 앞 5km 지점에 펀치볼분지 북단에 건립되어 지난 1996년 개관되었다.
통일관의 시설은 제1전시실, 제2전시실, 농특산물 판매장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승용차 100 여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이 있다. 양구군에서 직영하는 양구통일관에는 북한의 실상을 알 수 있는 생활용품, 수출품과 사진 등을
상설 전시하고 있으며, 농특산물 전시판매장에서는 농특산물과 북한산물품,
관광기념품 등을 판매하고 있다.
통일관의 시설은 제1전시실, 제2전시실, 농특산물 판매장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승용차 100 여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이 있다. 인근에는 지금까지 발견된 4개의 땅굴 중 유일하게 땅굴내부를 관람할 수 있는 전동차를 운행하는 제4땅굴과 국내전망대 중 최북단에 위치한 을지전망대, 한국전쟁 당시 격전지였던 9개 양구지역 전투를 재조명 하기 위해 건립한 전쟁기념관이 있으며, 양구 통일관에서는 제4 땅굴, 을지전망대, 전쟁기념관의 출입에 관한 업무도 처리하고 있다.
가칠봉과 을지전망대
12시55분 앞 삼거리에서 임도로...
13시11분 초소앞에 차단기.. 접근금지라내요.. 이찌할꼬.. 가야지
13시48분 인제 경계..지금부터 인제군...
**인제군**
위치: 강원도 중북부 |
인구: 31,623 명(2020년) |
면적: 1646.33㎢ |
행정구역: 1개읍 5개면 1개 출장소 |
http://www.inje.go.kr/ |
요약 강원도 중북부에 있는 군. 국내 행정구역 중 군 단위에서는 가장 넓은 군이다. 6·25전쟁 후 격전지였던곳으로 군사분계선이 군의 북부를 지나고 있다. 지형상 높고 험준한 고개가 많아 교통이 불편한 편이다. 삼림이 울창하여 주요 산들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인제읍의 느티나무와 상남면의 은행나무는 수령 500년이 넘는 보호수이다. 내설악을 비롯하여 소양호·백담사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면적 1646.33㎢, 인구 31,623(2020).
대한민국 강원도 중북부에 있는 군. 한국에서 가장 넓은 군이며, 내륙산간에 위치해 자연경관이 빼어나고 희귀 동·식물이 많다. 인제읍·남면·북면·기린면·서화면·상남면·귀둔출장소 등 1개읍 5개면 1개 출장소 41개 동리가 있다(법정리 기준, 행정리 기준은 84개). 군청소재지는 인제읍 상동리이다. 면적 1646.33㎢, 인구 31,623(2020).
인제군 지도
연 혁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오사회현(烏斯回縣) 또는 저족현(猪足縣)인데, 통일신라시대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희제현(狶蹄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양록군(楊麓郡, 양구)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인제현으로 개칭했으며, 1018년(현종 9)에 춘주, 후에 회양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389년(공양왕 1)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다.
조선초의 군현제 개편 때 인제현이 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별호는 영소(靈昭)였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춘천부 인제군, 1896년에 강원도 인제군이 되었다. 1906년 월경지 정리에 의해 춘천과 강릉 일부를 편입하면서 면적이 확대되었다.
1914년의 군면 폐합으로 군내면·동면이 군내면으로, 내면일리면·내면이리면이 내면으로 통합되었으며, 1916년에 군내면이 인제면으로 개칭되었다. 1945년 8·15해방 후 북면과 서화면 일원, 인제면·기린면의 일부가 북한에 편입되고 나머지 지역은 홍천군에 편입되었다.
6·25전쟁 후 격전지였던 이곳의 대부분 지역이 수복됨에 따라 홍천군에 편입되었던 지역 중 내면을 제외한 인제면·기린면·남면이 다시 인제군에 이관되었으며, 군사분계선이 현재 군의 북부를 지나고 있다. 1954년 휴전협정이 성립되면서 수복지구 임시행정조치법에 따라 미군정으로부터 행정권을 되찾았다. 이때 양구군 해안면이 인제군으로 편입되었고, 홍천군 신남면을 남면으로 개칭하여 인제군으로 복구시켰다.
1963년 해안면과 서화면을 통합했다. 이듬해 1964년 인제읍 귀둔리, 남면 갑둔리, 기린면 상남리, 서화면 해안에 출장소를 개설했다. 1973년에는 춘성군 북산면 수산리, 양구군 남면 상수내리·하수내리가 인제군 남면으로 통합했고, 홍천군 내면 미산1리·미산2리를 기린면으로 편입되었다. 또한 인제군 남면 두무리를 양구군 남면으로, 서화면의 현리·오유리·만대리·후리·월산리·니현리 등을 양구군 동면으로 이속시켰다.
1979년에 인제면이 인제읍으로 승격했다. 1983년 기린면의 상남출장소가 상남면으로 승격되어 상남리·하남리·미산리와 남면 김부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14시00분 삼거리를 지나면 세멘트 포장길...
14시40분 인북천을 가로 지르는 다리(이름없음)
인북천
**인북천**
위치: 강원 인제군 |
유역면적: (지방1급하천) 북한지역 포함 929.94㎢, 남한지역만 754.48㎢ (지방2급하천) 478.5㎢ |
하천길이: (지방1급하천) 유로연장 74.3㎞, 하천연장 17.7㎞ (지방2급하천) 유로연장 56.6㎞, 하천연장 31.5㎞ |
한강 권역의 한강 수계에 속하며, 한강의 제3지류(제1지류는 북한강, 제2지류는 소양강)이다. 지방1급하천, 지방2급하천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지방1급하천은 북한지역과 남한지역을 모두 지나는데, 유로연장(流路延長)이 74.3㎞·하천연장이 17.7㎞이고, 유역면적은 북한지역을 포함할 경우 929.94㎢·남한지역만이 754.48㎢이다. 지방2급하천은 유로연장 56.6㎞, 하천연장 31.5㎞, 유역면적 478.5㎢이다.
지방2급하천은 인제군 서화면(瑞和面) 가전리 휴전선 부근 가득봉(可得峰:1,059m)에서 발원하여 17.7㎞를 남류하다가 서화면과 북면(北面)의 경계지점에서 지방1급하천이 된다. 이후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에서 소양강으로 흘러든다.
일대는 전국 최고의 청정지역으로서, 2003년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선정된 인제군 냇강마을의 인북천변에는 각종 민물고기·물새·수달피 등이 서식하고 있고 인근에는 소재골계곡, 대암산(大岩山)·대우산(大愚山) 천연보호구역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북천 [麟北川] (두산백과)
14시48분 부대앞
15시02분 인북천 뚝
**인북천**
위치: 강원 인제군 |
유역면적: (지방1급하천) 북한지역 포함 929.94㎢, 남한지역만 754.48㎢ (지방2급하천) 478.5㎢ |
하천길이: (지방1급하천) 유로연장 74.3㎞, 하천연장 17.7㎞ (지방2급하천) 유로연장 56.6㎞, 하천연장 31.5㎞ |
한강 권역의 한강 수계에 속하며, 한강의 제3지류(제1지류는 북한강, 제2지류는 소양강)이다. 지방1급하천, 지방2급하천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지방1급하천은 북한지역과 남한지역을 모두 지나는데, 유로연장(流路延長)이 74.3㎞·하천연장이 17.7㎞이고, 유역면적은 북한지역을 포함할 경우 929.94㎢·남한지역만이 754.48㎢이다. 지방2급하천은 유로연장 56.6㎞, 하천연장 31.5㎞, 유역면적 478.5㎢이다.
지방2급하천은 인제군 서화면(瑞和面) 가전리 휴전선 부근 가득봉(可得峰:1,059m)에서 발원하여 17.7㎞를 남류하다가 서화면과 북면(北面)의 경계지점에서 지방1급하천이 된다. 이후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에서 소양강으로 흘러든다.
일대는 전국 최고의 청정지역으로서, 2003년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선정된 인제군 냇강마을의 인북천변에는 각종 민물고기·물새·수달피 등이 서식하고 있고 인근에는 소재골계곡, 대암산(大岩山)·대우산(大愚山) 천연보호구역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북천 [麟北川] (두산백과)
15시05분 평촌교
15시05분 평촌교를 건너 이곳에서 오늘의 답사를 종료하고 몸단장하고
후미 도착후 원통으로가 식사후 서울로 복귀
선배님들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첫댓글 어디서 본 내용이어서 자세히 포스팅을 읽다보니 두꺼비님 답사기와 같네요.
같이 가셨나보죠?
산중님 덕분에 복습하며 여행해봅니다.
건강하세요 ㅎ
예 맞습니다. 지난번부터 달인클럽에 꼽사리끼여 답사하고 있습니다
산중선배님!
다시한번 펀치볼 한바퀴 잘 보았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평화누리길 18구간은 돌산령에서 출발하여 펀치볼길, 서화길을 진행하셨네요.
이젠 달인클럽 분들과 함께 하는 여정이시군요.
예전에 북으로 유일하게 통한다는 동해안 453번 군도를 군시절에 경험하던 기억이 납니다.
들녁에 누렇게 익숙 벼가 계절을 암시하는 듯 합니다.
함께 하신 분들과 멋진 추억 이어지셨네요.
수고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