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가 가난의 밑바닥에서 허덕이다 죽은 지 6년 뒤인 1797년.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1797~1828)가 빈에서 태어났다. 그의 일생 역시 모차르트와 다름없는 가난과의 싸움이었다. 어렸을 때 집이 가난해 돈이 들지 않는 콘비크트Staakonvikt라는 국립학교에 들어가 급비생給費生이 되었다. 콘비크트는 궁정소년합창단(지금의 빈 소년합창단의 전신)의 단원을 양성하는 학교였다. 변성기가 다가와 더 이상 이 학교에도 있을 수 없게 된 슈베르트는 한동안 교장직에 있던 빈 변두리의 초등학교에서 대리 교사로 근무했다. 그러나 그곳에도 오래 머물지는 못하고 친구 집을 떠돌며 작곡에만 전념하게 되었다.
정처 없는 방랑 생활은 그의 몸을 차츰 좀 먹기 시작해 그는 1823년(26세) 무렵부터 눈에 띄게 쇠약해져 갔다. 한 해 전에 교향곡 제8번 ‘미완성’을 썼던 그는 이 해에는 부수附隨 음악 ‘로자문데Rosamunde’와 가곡집 ‘아름다운 물방앗간 아가씨’를 썼다. ‘남의 진짜 고통을 헤아릴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 나의 고통에서 우러나온 작품은 세상 사람들을 즐겁게 만들어 주는 것만 같다’라고 슈베르트는 이 무렵의 일기에 적고 있다.
1826년(29세)에는 죽음이 멀지 않았음을 예감했는지 현악 4중주 D단조 ‘죽음과 소녀’를 작곡했고 이어 가곡집 ‘겨울 나그네’를 완성했다. 한 가지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흔히들 ‘겨울 나그네’라고 하는데 원제 ‘Winterreise’는 영어로는 ‘Winter Journey’ 즉 ‘겨울 여행’ 또는 ‘겨울 나그네 길’이라고 해야 옳다. ‘송어’를 ‘숭어’라고 잘못 말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그러나 이미 일반화되었으므로 그대로 따르기로 한다).
슈베르트는 1922년 그 무렵의 시인이었던 빌헬름 뮐러Wilhelm Müller의 시를 우연히 읽고 큰 감동을 느꼈다. 그의 첫 시집에서 20편의 시를 골라 작곡한 것이 ‘아름다운 물방앗간 아가씨’였다. 이 ‘겨울 나그네’도 뮐러의 시에 의한 것인데 전 24곡을 계속 들으면 한 줄기의 이야기처럼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엄밀하게 따지면 앞의 작품 ‘아름다운 물방앗간 아가씨’ 같은 일관된 이야기를 지닌 가곡집은 아니다.
대강 그 내용을 설명하면, 사랑에 실패한 청년이 삶의 희망을 잃고 끝없는 겨울 나그네 길을 떠나면서 그동안 겪는 갖가지 괴로운 체험을 노래한 것이다. 어느 곡에나 실연失戀의 괴로움이 아프게 배어 흐른다. 전곡은 다음과 같은 24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1>안녕히 주무세요 <2>바람개비(풍신기風信器) <3>얼어붙은 눈물 <4>얼어붙음 <5>보리수 <6>홍수 <7>냇물 위에서 <8>회고 <9>도깨비불 <10>휴식 <11>봄날의 꿈 <12>고독 <13>우편마차 <14>백발 <15>까마귀 <16>마지막 희망 <17>마을에서 <18>폭풍의 아침 <19>환상 <20>표말 <21>숙소 <22>용기 <23>환영幻影의 태양 <24>거리의 악사.
이 중에서도 ‘안녕히 주무세요’ ‘보리수’ ‘봄날의 꿈’ ‘우편마차’ ‘거리의 악사’ 같은 곡들은 단독으로도 곧잘 불린다. 그러나 곡 전체를 들었을 때 슈베르트의 청춘의 회한과 실의와 눈물겨운 고독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 가곡집만큼 어두운 잿빛으로 뒤덮인 노래들로 가득 차 있는 것도 드물다. 슈베르트가 이 가곡집을 반쯤 썼을 때 친구들을 집으로 불러들여 들려준 일이 있었다. 언제나 슈베르트의 새 작품을 듣고는 반기던 친구들도 이때만은 내용이 너무 어두워서 탐탁해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슈베르트는 “아니, 그래도 머지않아 자네들도 이 곡이 좋다는 걸 알게 될 거야” 하며 이 가곡집에 대단한 자신감을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만년의 슈베르트가 병과 가난으로 시달리며 고독한 생활을 보내고 있었던 것을 생각해 보면 실연한 젊은이의 절망적인 어두운 마음을 노래한 뮐러의 시에 깊이 공감하고 그것을 노래로 재현하려 한 것도 이해할 수가 있다. 그 누구도 참으로 이해하기는 불가능했던 슈베르트의 절망적인 고독은 이 가곡집 도처에서 배어 나오고 있지만, 특히 마지막 곡 ‘거리의 악사’는 우리의 가슴을 아프게 조여온다. 차가운 하늘 밑, 마을 어귀의 길에 선 채 얼어붙은 손으로 라이어(악기에 달아 악보를 꽂을 수 있도록 만든 장치)를 돌리며 동냥을 구하고 있는 늙은 악사를 노래한 것이다. 이 노인에게 가눌 길 없는 친근과 동정을 느끼며 ‘나와 함께 가시지 않으렵니까? 내 노래에 맞추어 당신 악기의 손잡이를 돌려주지 않겠습니까?’ 하고 간청하는 호소로 이 가곡집 전부가 끝난다.
*벤자민 브리튼과 피터 피어스
1913년, 영국 잉글랜드 동부 서퍽suffolk 주 로스토프트Lowestoft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소문이 자자했고 21세에 ‘심플 심포니’를, 1945년에 오페라 ‘피터 그라임스’로 명성을 확립한 벤자민 브리튼Benjamin Britten(1913~1976)과 피터 피어스Peter Pears(1910~1986)가 처음 만난 것은 피어스가 뉴 잉글리시 싱어스(1934~37)의 일원으로 노래하고 있을 때였다. 그 후 둘은 평생의 예술적 맹우盟友로 지내게 되었다.
피터 피어스는 영국 서리Surrey 주 파넘Farnham에서 태어나 런던 왕립음악학원(RCM)을 졸업한 뒤 옥스퍼드 대학에서 수학했다. 처음에는 합창단원으로 BBC 싱어스(1934~37)에 들어가 있었으나 브리튼과 만난 뒤로는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1936~38) 그 후 줄곧 예술의 동반자로 지냈다.
데뷔는 1942년 런던의 뉴 오페라단에서 호프만을 노래했을 때였지만 피어스의 이름이 온 세상에 알려진 것은 1945년 6월 7일 브리튼의 출세작 ‘피터 그라임스peter grimes op.33’의 초연에서 주역을 맡아 노래했을 때였다. 그 후 피어스는 브리튼의 12곡의 오페라에서 테너 주역을 노래해 왔다(1945~73).
브리튼과 협력하여 1948년 올드버러 음악제Aldeburgh Festival를 창설하고 그 예술감독을 맡아 왔다. 피어스는 바흐의 해석가로서도 이름이 알려져 있고, 또 브리튼의 피아노 반주에 의한 리트 리사이틀은 그 독특한 취향으로 많은 절찬을 받았다. 1978년, KBE 즉 ‘Sir(경)’의 작위를 얻었다. 브리튼은 피어스를 위해 오페라 및 성악곡을 작곡했고 또 피어스도 브리튼의 오페라 속 인물로 완전히 변신한 듯한 노래를 불렀다. 두 사람 다 독신으로 살면서 나눈 짙은 우정으로 풍성한 예술적 결실을 얻을 수가 있었다.
피어스의 잘 다듬어진 목소리는 무리한 발성을 하지 않기 때문에 70세가 넘어서도 여전히 현역 가수로 활약했다. 지적이면서 억제된 목소리는 기품이 넘친다. ‘아름다운 물방앗간 아가씨’에 이은 이 ‘겨울 나그네’도 스위스의 명테너 에른스트 헤플리거Ernst Haefliger(1919~2007)의 노래와 함께 테너가 부른 가곡집으로서는 특이한 것이며, 종래의 바리톤에 의한 ‘겨울 나그네’와는 전혀 색다른, 맑고 투명한 리리시즘Lyricism과 청춘의 애환을 들을 수 있어 기념비적인 명반이라 할 수 있다. (해설:안동림)
Seite 1
1. Gute Nacht (5:45)
2. Die Wetterfahne (1:55)
3. Gefrorene Tränen (2:10)
4. Erstarrung (3:07)
5. Der Lindenbaum (4:42)
6. Wasserflut (2:50)
7. Auf dem Flusse (3:35)
8. Rückblick (2:18)
9. Irrlicht (2:13)
10. Rast (3:15)
11. Frühlingstraum (4:20)
Seite 2
1. Einsamkeit (2:45)
2. Die Post (1:55)
3. Der greise Kopf (2:45)
4. Die Krähe (2:15)
5. Letzte Hoffnung (2:00)
6. Im Dorfe (4:05)
7. Der stürmische Morgen (0:55)
8. Täuschung (1:00)
9. Der Wegweiser (3:45)
10. Das Wirtshaus (4:25)
11. Mut (1:25)
12. Die Nebensonnen (2:55)
13. Der Leiermann (3:10)
ⓟ 1965 The Decca Record Company Limited, London
© 1986 The Decca Record Company Limited, London
1987년, 대한민국 <성음>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