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불광중학교, 불광사를 거쳐 향로봉, 비봉에 올랐다가 비봉 아래 승가사를 둘러보고 구기동으로 내려왔습니다.
사진 참고하세요.
~ ~ ~ ~ ^ ^ ~ ~ ~ ~
불광사는 3호선 불광역 1번출구로 나가 도로 횡단한뒤 대로 가운데 버스정류장에서 지선버스 7720번 타고 몇정거장 들어
간다. 6호선 독바위역에서 오르는 길도 있지만, 불광중학교 앞에서 버스 하차한 뒤 학교 정문 앞으로 난 길을 5분쯤 따
라 올라가면 바로 불광사 북한산 들머리가 나온다.
불광사까지의 길은 동네 골목길이고 들머리는 근처에 사는 주민들의 뒷산 쯤 되는 분위기다. 불광사 바로 옆에 통제소
가 있고 이곳을 지나 다리를 건너면 등산로가 시작된다. 통제소를 지나기 전 오른 쪽으로는 바로 족두리봉으로 오르는
능선길. 다소 된비알 길이 있지만 쉽고 짧게(1.3km) 족두리봉으로 오를 수 있는 길인데 독바위역에서 오르는 정진 지킴
터 코스와 만나는 길. 불광통제소에서 30분정도 오르면 독바위와 연결되는 향림폭포에 이른다. 이 길로 해서 향로봉
으로 오르고 비봉을 거쳐 승가사에 들렀다. 응봉, 의상능선, 북한산 백운대 등의 웅장한 모습이 시원스레 눈에 들어온다.
비봉에서 승가사로 내려갔다. 상당히 오래전에 승가사에 들렀었는데, 절이 너무 달라졌었다. 예전과는 너무 다른 승가
사의 거대한 석탑이 너무 생소해보였다. 그렇게 큰 돈을 들여 웅장한 계단이며 거대한 석탑을 세워야만 크게 깨달을 수
있는 것일까? 석가의 마음은 누구나의 마음 속에 있는 것 아닌가? 대성문에서 내려가다 만나는 조그만 영추사의 소박한
5층 석탑이 머리에 떠올랐다.
법정 스님 말씀이 다시 생각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
" 부처는 절에 없다네.. 부처는 세상에 내려가야만 천지에 널려있다네..
가난한 이웃이 부처요, 병 들어 누워있는 자가 부처라네.
그 많은 부처를 보지도 못하고 어찌 사람이 만든 불상에만 허리가 아프도록 절만 하는가
자네 마음이 부처이고 자네가 관세음 보살이라네.
부처답게 살길 바라네.... "


향로봉 방향으로 오르는 등로 이곳에서 쉬어간다


암릉에서 솟아난 소나무의 기개

왼쪽 끝 부분에 사모바위가 보이고 우측에 비봉이 보인다

향로봉 가까이 다다른 능선에서 본 북한산 서북 방향 백운대, 의상능선

능선에서 바라본 향로봉

백운대, 의상능선, 응봉능선 방향

의상능선, 백운대를 배경으로



향로봉에서 바라본 비봉, 문수봉, 보현봉


비봉쪽으로 가면서 뒤돌아본 향로봉

진흥왕 순수비(모조본)가 서 있는 비봉

진흥왕 순수비 모조본 ( 진본은 국립박물관 소장)

비봉 남능선 암릉 지역과 우측으로 구기동의 이북5도청 청사가 눈에 들어온다

향로봉 비봉 사이 암릉에 모인 산객들

암릉 아래로 위험스럽게 내려가보는 사람들. 이러고 싶을까 ?

사모바위

사모바위 앞엔 늘 산객들이 많다.


승가사 마애석불여래좌상

약사여래
756년 창건한 승가사는 북한산 비봉 동쪽 아래 방향에 있다. 비봉 능선에서 약500m 이정표 하산길에 있다.
9층 석탑과 대웅전, 산신각, 향로각 등이 있고 유물로 절 뒤편 자연 입석 바위에 새긴 마애석불여래좌상과 석
굴 안에 조성된 약사여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