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李白)-우인회숙(友人會宿)(친구와 함께 자며)
滌蕩千古愁(척탕천고수) 천고의 시름을 씻으려
留連百壺飮(유연백호음) 계속 마신 백병의 술
良宵宜淸談(양소의청담) 청담하기에 좋은 이 밤
皓月未能寢(호월미능침) 달도 밝은데 어찌 잠자겠는가
醉來臥空山(취래와공산) 취하여 공산에 누우니
天地即衾枕(천지즉금침) 천지가 곧 이부자리로구나
*이백[李白, 701 ~ 762,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은 중국 당나라 시인으로 시성(詩聖)으로 불린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 최대의 시인이며 시선(詩仙)으로 불렸고, 소년시대부터 검술을 좋아하여 협객 속에 끼어 방랑생활을 보내는 일이 많았으며, 42세 때 현종에게 그 시재를 인정받아 궁정시인이 되었으나 자유분방한 성격 등이 화근이 되어 장안에서 쫓겨나 다시 방랑하였는데, 두보가 인생과 사회에 관심을 기울인 데 대해서 이백은 자연과 술을 사랑하면서 절구에 뛰어났고, 작품으로는 “청평조사(淸平調詞)”, “장진주(將進酒)”, “월하독작(月下獨酌)”, “상삼협(上三峽)”, “협객행(俠客行)” 등이 있습니다.
*이백의 시를 밑바닥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은 협기(俠氣)와 신선(神仙)과 술이고, 젊은 시절에는 협기가 많았고, 만년에는 신선이 보다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술은 생애를 통하여 그의 문학과 철학의 원천이었으며, 두보의 시가 퇴고를 극하는 데 대하여, 이백의 시는 흘러나오는 말이 바로 시가 되는 시풍(詩風)이었다고 합니다.
*위 시는 한문학계의 원로이신 손종섭 선생님의 “노래로 읽는 당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본 것으로, 유령(劉伶)의 주덕송(酒德頌)에는 “幕天席地(막천석지), 縱意所如(종의소여) 하늘을 천막 삼고 땅을 돗자리 삼아, 마음이 가는대로 따른다”는 구절이 있는데, 유령의 주덕송의 위 구절이 다소 허풍에 찬 작위적인 것인데 반하여 이백의 위 시는 전혀 그런 느낌이 없이 자연스럽다 하고, 이는 이백의 입에서 위 시구가 나왔기 때문이라 합니다.
*滌蕩(척탕) : 말끔히 씻어 없앰
千古愁(천고수) : 천고에 쌓인 시름, 일생에 쌓인 분한憤恨
留連(유련) : 한 자리에 계속 머문 채
壺(호) : 병 또는 단지
宵(소) : (밤 소, 닮을 초) 1.(밤 소) 2. 밤 3. 초저녁
淸談(청담) : 명리에서 떠난 청아한 이야기, 위진 시대에 유행했던 노장학파의 담론
皓月(호월) : 매우 맑고 밝게 비치는 달
衾枕(금침) : 요와 이불, 요이불, 이부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