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량 소폭 감소, 다양한 쌀 소비정책 발굴
2024.01.26 12:00:00
https://www.mafra.go.kr/bbs/home/792/569290/artclView.do
식량정책관 전략작물육성팀
통계청이 1월 26일 발표한 「2023년 양곡소비량조사」에 따르면 2023년 가구 부문의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4kg이며 이는 전년 56.7kg 대비 0.3kg(0.6%) 감소한 수준이다.
식습관 변화 등으로 쌀 소비량은 감소하였으나, 최근 3년 감소율은 0.9%로 소비량 감소 추세*는 완화되고 있다.
* (소비량 감소율) (‘19) 3.0 → (‘20) 2.5 → (’21) 1.4 → (‘22) 0.4 → (’23) 0.6
코로나19 이후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 사회활동이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결식이 감소하였고, 밀키트(탕류·반찬류 등) 시장 확대 등에 따른 집밥 소비가 증가하면서 최근 쌀 소비량 감소폭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 가구 부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추이(단위 : kg/인) >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소비량 | 61.0 | 59.2 | 57.7 | 56.9 | 56.7 | 56.4 |
증감량 (%) | △0.8 (△1.3%) | △1.8 (△3.0%) | △1.5 (△2.5%) | △0.8 (△1.4%) | △0.2 (△0.4%) | △0.3 (△0.6%) |
한편 2023년 사업체 부문의 가공용 쌀 소비량은 총 817천톤으로 2022년 691천톤 대비 126천톤(18.2%) 증가하였다.
업종별로는 과자류, 곡물 가공품, 장류, 주정용 등의 수요가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하였고, 면류(△13.6%), 기타식사용조리식품(△10.0%) 수요는 감소하였다. 특히 떡류는 최근 4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일상회복 후 행사 등이 증가하고 최근 떡볶이 열풍으로 떡볶이떡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 떡류 쌀 소비량 : (’20) 159천톤 → (‘21) 177 → (’22) 185 → (‘23) 214
< 사업체 부문 쌀 소비량 추이(단위 : 천톤) >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총소비량 | 756 | 744 | 650 | 680 | 691 | 817 |
곡물가공품 | 45 | 56 | 55 | 61 | 64 | 80 |
떡류 | 172 | 177 | 159 | 177 | 185 | 214 |
면류 | 18 | 20 | 20 | 22 | 20 | 18 |
도시락류 | 147 | 47 | 40 | 47 | 47 | 52 |
식사용 조리식품 | 98 | 103 | 114 | 145 | 130 |
주정 | 188 | 191 | 158 | 153 | 122 | 197 |
증감량 (%) | 48 (6.8%) | △12 (△1.5%) | △94 (△12.6%) | 30 (4.6%) | 11 (1.7%) | 126 (18.2) |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쌀 공급과잉 구조를 완화하기 위해 앞으로도 쌀 소비 촉진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을 발굴하고 홍보도 강화하겠다”며, “「천원의 아침밥」등 쌀 중심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소비가 늘고 있는 쌀 가공산업을 육성하여 전후방 연관산업의 동반성장을 도모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2023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요약)
2022년 쌀 생산량조사 결과
1. 전국 생산량 쌀 생산량은 376만 4천톤으로 전년의 388만 2천톤 대비 3.0% 감소 ❍ 쌀 생산량: (′21) 3,882천톤 → (′22) 3,764천톤 * 조정 현백률 90.4% 적용시: (′21) 3,777천톤 → (′22) 3,662천톤 ❍ 재배면적 감소(0.7%)와 10a당 생산량 감소(2.3%)로 쌀 생산량은 전년대비 11만 8천톤 감소(3.0%)하였음 <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현황 > ′16 ′17 ′18 ′19 ′20 ′21 ′22 전년비 (%) 재배면적(천ha) 779 755 738 730 726 732 727 -0.7 10a당 생산량(kg) 539 527 524 513 483 530 518 -2.3 총 생산량(천톤) 4,197 3,972 3,868 3,744 3,507 3,882 3,764 -3.0 * 현백률 92.9% 기준이며, 10a당 생산량은 논벼 기준 <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추이 > - 3 - 재배면적은 72만 7,054ha로 전년의 73만 2,477ha보다 0.7% 감소 ❍ 쌀 가격 하락세와 타작물 재배 지원 등 으로 금년도 벼 재배면적 감소 * 쌀 가격(농산물 유통정보, 쌀, 상품, 20kg, 도매, 연평균) (’19) 48,630원 → (’20) 49,872원 → (’21) 57,173원 → (’22. 10월) 49,010원 10a당 생산량은 518kg으로 전년의 530kg 대비 2.3% 감소 ❍ 10a당 생산량: (′21) 530kg → (′22) 518kg * 조정 현백률 90.4% 적용시: (′21) 516kg → (′22) 504kg ❍ 가지치는 시기(분얼기): 강수량 부족으로 포기당 이삭수 감소 - 1㎡당 이삭수(개): (′21) 22.5 → (′22) 20.9 (1.6개↓) * 분얼기 기상(6월 상순 ~ 7월 상순, 기상청 자료) · 강수량 (㎜ ): (′20) 229.6 → (′21) 293.3 → (′22) 195.9 (33.2%↓) ❍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유수형성․ 수잉기, 출수․개화기): 일조시간 및 강수량 부족으로 완전낟알수 감소 - 1㎡당 완전 낟알수(개): (′21) 30,725 → (′22) 29,417 (1,308개↓) * 유수형성 및 수잉기 기상(7월 상순 ~ 8월 상순, 기상청 자료) · 일조시간(hr): (′20) 134.5 → (′21) 295.2 → (′22) 221.0 (25.1%↓) * 출수․개화기 기상(8월 중순 ~ 8월 하순, 기상청 자료) · 강수량 (㎜ ): (′20) 123.7 → (′21) 220.1 → (′22) 175.1 (20.4%↓) ❍ 벼 낟알이 익는 시기(등숙기): 태풍(힌남노 등)으로 인한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10a당 생산량 감소 * 등숙기 기상(9.1. ~ 10.15. 기상청 자료) · 평균기온(℃): (′20) 18.9 → (′21) 21.1 → (′22) 19.5 (7.6%↓) · 강수량 (㎜ ): (′20) 213.3 → (′21) 191.1 → (′22) 229.7 (20.2%↑)
시도별 쌀 생산량 가. 논벼+밭벼 (1) 현백률: 92.9%(9분도) (단위: ha, 톤, %) 시도 재배면적 생산량 ′21 ′22 증감률 ′21 ′22 증감률 전국 732,477 727,054 -0.7 3,881,601 3,763,700 -3.0 서울 187 173 -7.3 958 864 -9.8 부산 2,169 2,123 -2.1 11,523 10,801 -6.3 대구 2,847 2,935 3.1 14,895 15,512 4.1 인천 11,747 11,331 -3.5 59,550 56,176 -5.7 광주 4,916 5,066 3.0 25,064 24,901 -0.7 대전 1,131 1,132 0.2 6,025 5,825 -3.3 울산 3,793 3,710 -2.2 18,837 17,772 -5.7 세종 3,340 3,294 -1.4 18,281 17,443 -4.6 경기 74,717 73,648 -1.4 382,680 366,863 -4.1 강원 28,903 28,708 -0.7 155,501 143,908 -7.5 충북 33,403 33,195 -0.6 174,848 171,414 -2.0 충남 135,399 133,978 -1.0 773,013 725,273 -6.2 전북 114,509 113,775 -0.6 593,862 621,838 4.7 전남 155,435 154,679 -0.5 789,650 742,913 -5.9 경북 95,837 94,757 -1.1 518,025 511,392 -1.3 경남 64,079 64,481 0.6 338,698 330,604 -2.4 제주 65 70 9.2 189 201 6.0
전국 일년 쌀 총 생산량: 3,763,700톤
" 총소비량은:817,000톤이라면 2,900,000톤은 뭐하나
290만톤이 가정 식사용이면+817000톤 그럼 자금자족이 된다는 뜻인가
첫댓글 일년간 쌀 총 생산량이 3,763,700톤
소비량이 식사용으로 일인당 56.4kg=인구5100만=2,876,400+817,000=3,693,400톤의 소비량입니다
3,763,700톤-3,693,400=70300톤입니다
즉 우리쌀생산량이 자급자족을 넘어 7만300톤이 남는다는것이지요
지구에서 몇 않되는 자급자족 국가의 대열에 오름것입니다
지금 자족이된지 2년이 되였군요 이런 엄청난 소식을 왜 언론은 전하지 않습니까
문제있는 언론 문제있는 정부는 아님니까 그리고 통계는 읽는사람이 계산을 해서 알아야 합니까
국민이 열받을만한 소식은 언론마다 대서특필을 합니다 언론 문제 없다고 보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