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밥 짓기
심강우
잘 고른다는 건 잘 버린다는 말이라는 거
계약직을 한 번이라도 해 보면 아는 사실입니다
버려진 기분이 위안을 받는 건 게으름은 자동갱신이라는 거. 목구멍은 평생계약이라 위아래 입술이 뭘 먹을 때마다 습관적으로 도장을 찍어요
오일장이 좋은 이유는 슈퍼와 달리 냄새가 뒷짐지고 다닌다는 겁니다. 부딪쳐도 찡그리기는커녕 오랜만에 만난 삼촌 이 잠바 안주머니에서 지갑을 꺼내는 걸 보듯 잠시 땅바닥을 차며 능청 떨어요. 호떡집과 파전집 주위를 얼쩡거리다 돌아가신 엄마를 닮은 촌부한테서 쌀 한 됫박을 샀습니다. 한쪽 다리를 저는 걸음은 쌀을 든 손으로 균형 맞춥니다. 방 한 칸이 절룩거리면 담장에 기댄 접시꽃이 얼른 손 내미는 풍경을 상상하며 걷다 사고를 치고 맙니다
포장지가 터져 쌀이 쏟아졌군요. 신중하게 골라 담았지만 이미 쌀은 그 쌀이 아니어서 구경하던 남자는 더러워졌다 하고 참견하던 여자는 흙 묻었다 하네요. 조합하면 흙 묻은 더러운 쌀입니다. 그러니까 액면 그대로는 흙은 더러운 것이고 쌀은 못 먹는 것이 되고 말아요. 세상에,
집에 오자마자 쌀을 씻습니다. 가볍게 뜬 웃음을 걷어 내면 심각한 이야기만 남습니다. 당신과 주고받은 말 중에도 쌀이라고 생각했던 흙알갱이가 있었겠지요. 그런데 그 말들을 잘 씻어 안쳤는지 기억나지 않아요. 그렇다면 뒤늦게 발견한 저 쌀벌레는 어떨까요. 허기를 파 먹는 바구미 몇 마리. 둘 사이에 형성된 습도는 벌레를 부르고 맙니다
다 된 밥을 풉니다. 혼자 살고부터, 기다림을 거리감으로 곱새기고부터 뜸을 들이지 않고 먹어요. 한 끼 식사도 밥솥과의 계약이라 믿고 남은 밥은 보온으로 처리합니다. 속이 설설 끓는 고비를 넘긴 뒤가 중요합니다. 적절한 온도 유지가 밥맛을 결정하지요. 이러쿵저러쿵 찧고 찧은 말과 같습니다. 뚜껑이 자주 열리면 관계가 꾸덕꾸덕해진다는 걸 그땐 왜 몰랐을까요
2024년 아르코 창작기금 발표지원 선정작
심강우 시인
2013년 〈수주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등단했다. 아르코창작기금 발표지원(시 부문) 선정(2023년 202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동화), 경상일보 신춘문예(소설), 어린이동산(중편동화) 성호문학상(소설) 눈높이아동문학상(동시) 수상.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발간지원 선정(장편동화). 시집 『색』 『사랑의 습관』 동시집 『쉿!』 『마녀를 공부하는 시간』 소설집 『전망대 혹은 세상의 끝』 『꽁치가 숨쉬는 방』 『우리가 우리를 버리는 방식』, 동화집 『꿈꾸는 의자』 장편동화 『시간의 숲』 『미래로 간 아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