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gppem_XGdcs?si=YwUrRAHoJl9n8TDM
Beethoven Piano Sonata No. 14 in C-sharp minor, Op. 27 No. 2 -Moonlight- - Artur Schnabel
피아노 소나타 제14번인 이 곡은 환상곡풍의 소나타이며 어느날 밝은 밤 눈 먼 소녀를 위하여 즉흥으로 연주된 월광 소나타였다는 로맨틱한 이야기가 널리 퍼져 있다
세도막형식(불완전 소나타 형식으로 볼 수 있다.)인 문자 그대로 황상풍인 악장이다. 고요히 셋잇단음의 움직임으로 시작되는 1악장은 적막하며 명상적이다. 많은 시인 묵객들이 문학적 해설을 꾀하고 있으나 결국 최후의 수단으로는 음악을 듣는 길만이 현명한 일이라 본다. 따라서 제 1악장에는 명곡이라는 곡이 지니는 선율도 없고 시종 동일한 리듬으로 진행되는데 무슨 까닭으로 우리 마음을 끄는지 말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이 곡 첫부분에는 베토벤은 Senza Sordino로 지시하고 있어 지금과는 해석이 다른 약음기 없이 (소프트 페달을 밟지 않고)가 아니고 오른쪽 페달을 사용해서 충분한 음향을 내라는 뜻이 된다 당시의 피아노 대부분이 페달이 없고 무릎으로 밀어 올리는 '크니히 벨'이 달려 있어 하이든 시대부터 사용되다 이때에 드디어 밟은 페달이 등장한다. 이를 보면 페달의 기능이 많이 진보된데 대한 베토벤의 배려가 십분 활용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그리고 이 소나타도 새로운 스타일의 작품에 속하며 첫악장인 알레그로가 제외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베토벤은'소나타 형식'을 환상곡'으로 바꾸어 놓은 것일까! 이는 그의 창조하려는 의욕이 무언가 새로운 것에 필요를 느끼고 고전에 대한 반항,전통에 대한 탈피를 꿈꾸게된 때문이라 본다. 이런 경향은 이 소나타 뿐만 아니라 적품 26의 장송 소나타의 제 1악장에서 여태까지 잘 지켜오던 고전 소나타의 규칙에 변주곡을 사용한 것이다. 이것은 작품 27의 24곡과 같이 대담한 개혁은 아니지만 분명한 방향전환이다.
앞서도 말했지만 피아노라는 악기에 대한 음악가들의 동경, 이 곡을 쓴 1801년에는 10세가 되는 체르니가 제자가 되기 위해 베토벤의 방에 찾아온 때이며 그 때 최고 성능을 자랑하는 발터제의 피아노가 베토벤의 방에 놓여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 베토벤은 이 피아노에 만족하지 않고 발터제의 피아노 제작소에 30다가트를 지불할 것이니 용제는 마호가니와 우나코다(지금의 약음페달)장치를 구비해야 한다고 강요한 것을 보아 베토벤은 당시의 최고의 피아노로 4곡의 소나타를 쓰게 되어 이런 동기들이 그를 자극해 새로운 시도를 하게 된 것이라 보아야 하겠다.
작품 (28전원)에 가서는 다시 고전형에 복귀,알레그로로 소나타 형식에 의한 1악장,가요형시긴 안단테의 2악장,경쾌한 스케르쪼의 3악장,종악장은 론도오 작품 26,27,을 잊은 듯 고전 소나타로 돌아가고 있다.
◆월광소나타 제 1악장의 특징◆ <월광소나타>에서 제 1악장의 성격은 무궁동의 셋잇단음표로 전주곡에 가까운 느낌을 주는 여운을 남겨주고 있다. 베토벤은 이로서고전파들이 쓰던 소나타의 제 1악장 중심제의 구성은 이때부터 붕괴되고 무게는 종악장으로 옮겨가는 첫시도가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악장 : Allegretto Db내림라 장조
Allegretto작은 세도막 형식 미뉴엣 성질을 띠고 있다. Db장조로 C#장조와 엥하모니 수법을 써 음향을 이용한 악장으로 전후가 뚜렷하게 명시되어 있으나 내용은 애매한 느낌으로 꾸며저 있다. 리스트가 "2개의 깊은 못 사이에 핀 한 송이 꽃"이라 형용하득이 적절한 평이라 본다. 속도 표시만 되어 있을 뿐 스케르쪼나 미뉴엣이라는 지시도 없고 따라서 내용을 분간하는데 무리가 뒤따르고 있다. 실은 미뉴엤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쾌활하게 치면 소극적은 섬세한 표정이 흐려질 우려가 있는 때문이다.
간결하게 짜여져 있는 간소한 아름다움이 이 악장이 지닌 특징이라 보아야 하며 동시에 폭풍을 예상시키는 일말의 불안이 속에 감돌고 있다. 이 소나타를 억지로 줄리에타와의 연정에 결부시티려는 마르크스는 이 악장을 <이별의 노래>라 부르며"오 나를 잊을 건가 나를! 잘까오 부디"라고 풀이하고 있다.
제3악장 : Presto agitato C#단조(소나타형식)
이 3악장은 음악을 잘 이해 못하는 사람이나 감상을 할 줄 아는 사람에게 들려주고 느낀 것을 적어보라고 하면 어떤 결과가 생길까? 문장이나 표현법은 졸렬할지 모르나 그들이 말하고자하는 것은 평론가가 쓴 해설내용과 차이가 없으리라 누가 들으나 같은 느낌으로 불과 같은 열정을 느낄 것이다.
흥분의 한계를 분간 할 수 없는 완벽한 절도감과 형식은 단순하나 조화가 이루어진 수법으로 미의 극치를 이룬 악장이다. 베토벤이 운명과 싸우며 말하듯이 "아니다 나는 참을 수 없다 운명의 여울에다가 손가락을 집어넣어 비틀어주어야 한다"라는 당시의 기분이 감돌아 우울한 제 1악장에 비해 비극적인 기분이 잘 대조를 이루고 연조기교나 내용면에서도 베토벤적인 위력이 넘쳐 흐르고 있다.
◆참고◆ <월광소나타>에서는 페달 사용이 일정하지 않고 Con Sordino에서 페달을 집고 Senza Sordino에서 페달을 떼개 베토벤은 지시하고 있었다. 이것은 당시의 발터제의 피아노가 신음(伸音)장치 페달을 무릎으로 조작한 때문이다.
베토벤이 이 곡을 만들게된 사연 |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는 전부 36곡이나 되는데, 그는 생애를 통해 초기의 작품에서 만년의 작 품에 이르기까지 그때 그때의 피아노의 기능에 순응하여 최대한의 가능성을 보였다. 이 작품들은 그의 음악 생애를 세로로 잘라서 보았을 때 양식 적인 변화의 축도이기도 하다.
그의 소나타들이 오늘날까지도 피아노를 배우는 사람들 뿐 아니라 전문가들에 의해서도 많이 연주되는 것을 보면 그의 피아노 음악들의 중요성은 설명 안해도 될 듯 싶다. 이러한 그의 피아노 소나타들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제 14번은 흔히 ≪월광≫이라고 불려지는데, 이 곡만큼 많은 사연을 간직한 곡도 드물다. 베토벤이 눈 먼 처녀를 위해 달빛에 잠긴 채로 만들었다던가, 빈 교외에 있는 어떤 귀족의 저택에서 달빛에 감동되어 만들었다던가, 또는 연인에 대한 이별의 편지로 작곡한 곡이라든가 하는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베토벤 본인은 단지 '환상곡 풍의 소나타'라고 불렀을 뿐, ≪월광≫이란 이름은 비평가 렐슈타프가 이 작품의 제1악장이 스위스의 루체른 호반에 달빛이 물결에 흔들리는 조각배 같다고 비유 한데서 생긴 말이라고 한다. 이 작품의 특징은 제1악장이 자유로운 환상곡풍이고, 제3악장에서는 소나타 형식이라는 특이한 방식을 썼다는 점이다. 세도막 형식에 2/2박자, 환상적이며 단순한 제1악장은 아름다운 가락이 낭만성과 정열의 빛을 더하고 있다.
고요한 호수 위에 창백한 달빛이 반짝이는 것처럼 말이다. 스케르초 풍의 3/4박자 곡인 제2악장은 전원의 무곡으로서 유머러스하고 경쾌한 맛이 감돈다. 정 열과 원숙한 구성의 제3악장에서는 무겁게 떠도는 암흑 속에서 섬광을 일으키는 천둥과 번개처럼 격한 분위기가 힘차게 전개되어 당시 베토벤이 지니고 있던 청춘의 괴로움과 정열을 연상시킬 수 도 있다. 1801년에 완성이 된 이 곡은 줄리에타 귀차르디라는 아름다운 여성에게 바쳐졌다.
그녀는 베토벤에게 피아노를 배운 제자였는데, 두사람 사이에는 여러 가지 염문이 전해지고 있다. 아직까지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베토벤의 '영원한 여인'의 정체가 이 여성이라는 이야기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줄리에타는 이 곡이 완성될 때쯤 젊은 멋쟁이 백작과 결혼했다. 돈도 없고 신분도 낮고 더욱이 귀까지 나쁜 음악가와는 결국 헤어지고야 만 것이다. 줄리에타가 이런 명곡을 바칠 만한 가치가 없는 여성이었다는 사실을 깨달은 베토벤은 크게 실망했고 마침내 그 유명한 '하일 리겐시타트 유서'를 쓰게 된다.
https://youtu.be/Ouwf7iHCBeQ?si=nfQHKocwzZUx3AKY
자료출처: 웹사이트 www.goclassic.co.kr
첫댓글 https://youtu.be/Au75e2MCvqQ?si=p31A4NXLuv4IhHfV
Beethoven: Piano Sonata No. 14 "Moonlight" - Gilels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 - 길렐스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