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창문(賽六空求語)-벽송지엄(碧松智嚴)
六窓虛豁豁(육창허활활) 여섯 창문 비어서 드넓은 곳에
魔佛自亡羊(마불자망양) 악마니 부처니 그림자도 없네
若更尋玄妙(약갱심현묘) 여기에서 또다시 무엇인가를 찾는다면
浮雲遮日光(부운차일광) 뜬구름은 햇빛을 가릴 것이네
*위 시는 ‘석지현’(釋智賢)님의 편저 “선시감상사전”에 실려 있는데, 참고로 석지현님은 196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고, 1973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인도, 네팔, 티베트, 미국, 이스라엘 등지를 수년간 방랑하였고, 편.저.역서로는 “선시”, “법구경”, “숫타니파타”, “불교를 찾아서”, “선으로 가는 길”, “벽암록”,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제일로 아파하는 마음에-관음경 강의”, “행복한 마음 휴식”, “종용록” 등 다수가 있습니다.
*벽송지엄[碧松智嚴, 1464~1534, 태고보우(太古普愚)의 5세손, 속성은 송씨(宋氏), 부안(扶安) 사람, 세조 10년 탄생]은 전공을 세우고 돌아오다 느낀 바 있어 계룡산 조징대사(祖澄大師)에게 입산하였고, 벽계정심(碧溪正心)에게 전등(傳燈)의 밀지(密旨)를 연구 중종 3년 금강산 묘길상암(妙吉祥庵)에서 대혜어록(大慧語錄)을 보다 불성무(佛性無)의 이야기에서 깨닫고 온갖 산을 유화(遊化)하였으며, 중종 29년 겨울 문인들을 수국암(壽國庵)에 모이게 한 후 법화경을 강하다가 방편품(方便品)에 이르러 탄식, 게송을 읊은 다음 시자를 불러 차 한 잔을 부탁한 후 입적하였습니다.
*위 시의 형식은 ‘오언절구(五言絶句)’이고, 출전은 ‘벽송당야노송(碧松堂野老頌)’’입니다.
*六窓(육창) : 시각(眼), 청각(耳), 후각(鼻), 미각(舌), 촉각(身), 사유 작용(意)
亡羊(망양) : 여기서는 악마와 부처가 모두 없어졌다는 뜻
玄妙(현묘) : 심오한 이치
*위 시에는 ‘찾지 마라. 찾는 순간 병은 재발한다. 가지 마라. 너 자신 밖으로 뛰어나가지 마라, 해답은 바로 너 자신 속에 있다’는 주석이 달려 있습니다.
첫댓글 선문답...
너의 마음에 모든 것이 있으니 구태여 찾지 마라...
찾아도 찾을 수 없는 삶의 심오함이여~~~~
네 안에 부처가 있다는 말과 상통하는 거 같습니다.
회장님의 댓글에 감사드리고,
오늘도 좋은 날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