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유(王維)-輞川閑居(망천한거)(망천에 살며)
寒山轉蒼翠(한산전창취) 가을 산은 더욱 짙푸르고
秋水日潺湲(추수일잔원) 가을 물은 날마다 졸졸 흐른다
倚杖柴門外(의장시문외) 지팡이 짚고 사립문 밖에서
臨風聽暮蟬(임풍청모선) 바람 쐬며 저녁 매미 소리 듣는다
渡頭餘落日(도두여락일) 나루터에 해가 지는데
墟里上孤烟(허리상고연) 마을에는 외로운 연기 피어오른다
復值接輿醉(부치접여취) 다시 접여처럼 취한 그대가 와서
狂歌五柳前(광가오류전) 마당에서 장난스럽게 노래 부르는구나
*왕유[王維, 701년 ~ 761년, 자는 마힐(摩詰), 분주(汾州, 지금의 산시성(山西省) 펀양(汾陽) 출신]는 중국 성당 시기의 시인이며 화가이자 관료로, 이백은 천재天才, 두보는 지재地才, 왕유는 인재人才로 평하기도 하고, 각각 시선詩仙, 시성詩聖, 시불詩佛이라 하였습니다.
시,서,화,음악에 능통하였고, 문학적으로는 산수전원시를 많이 창작하였고, 그림 방면에서는 중국 남송화의 비조로 추앙되며 음악에도 정통하였으며, 회화성이 뛰어나고 선취禪趣가 풍부한 산수전원시를 많이 썼습니다. 안녹산 반군에게 잡혀 반강제적으로 관직을 맡았다가 난 평정후 하옥되어 죽을 뻔한 것을 동생 왕진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났고, 독실한 불교신자였던 어머니의 감화를 받아 불교에 귀의하였고, 40세 때 장안 남쪽 남전현에 있는 망천 별장을 얻어 친구 배적과 더불어 반관반은半官半隱 생활을 하며 자연에서 노니는 즐거움을 시로 읊었습니다.
*위 시는 문학비평가이신 김희보님의 “중국의 명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입니다. 위 시 제목 밑에는 贈裴秀才迪(증배수재적)(배수재 적에게 바친다)는 말이 적혀 있는데, 배적은 왕유의 친구로 과거에서 수재과에 합격하였기에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고요한 가을 저녁 친구 배적이 취해 찾아온 것을 맞아 은자다운 탈속의 심경을 노래한 작품이라 합니다. 기연에서 경연(제1구에서 6구)까지 아름답고 한가로운 가을 경치를 노래하고 있고, 미연(7,8구)에서 갑자기 고요를 깨고 배적이 등장하는데, 작가는 이 친구를 접여에 비유하고 자기 마당을 오류라 일컫고 있는데, 여기서 작가는 접여나 도연명의 풍취를 따르려 하고 있다 합니다.
*輞川(망천) : 장안 교외의 지명, 여기 왕유의 별장이 있었다. 지금의 섬서성(陝西省) 남전현(藍田縣) 종남산(終南山) 아래. 송지문(宋之問)이 여기에 남전(藍田) 별장을 지었었는데, 왕유가 만년에 이 별장을 사서 은거하였다 함. 이곳에 화자강(華子岡), 의호(欹湖), 죽리관(竹里館), 유랑(柳浪), 수유반(茱萸泮), 신이오(辛夷塢) 등의 승경(勝景)이 많았다 하고, 왕유가 배적(裴迪)과 이곳에서 수창(酬唱)하며 즐겼다고 전해지고, 이들이 주고받은 시는 “王右丞集(왕우승집)” 卷13에 ‘輞川集(망천집)’으로 묶여 있다 합니다.
寒山(한산) : 인기척이 없는 쓸쓸한 산, 가을에 날씨가 싸늘하게 변하므로 ‘寒山(한산)’이라 하고, 가을 산이라는 의미.
轉(전) : 더욱
蒼翠(창취) : 짙은 초록색
潺湲(잔원) : 물이 졸졸 소리내며 흐르는 모양
柴門(시문) : 사립문
臨風(임풍) : 바람을 쐬다
暮蟬(모선) : 저녁 무렵에 우는 매미 소리
渡頭(도두) : 나루터 근처
墟里(허리) : 마을
孤煙(고연) : 저녁 무렵 마을에서 밥 짓는 연기가 피어오른 것을 지칭한 것
置(치) : 만나다, 맞은쪽에서 오다
接輿(접여) : 춘추시대(春秋時代) 초(楚)나라의 은사(隱士)였던 육통(陸通)의 자(字)가 접여(接輿)이다. 정신병자인 체하고 세상을 피했기 때문에 초광(楚狂)이라 불리웠다. 여기서는 친구 배적(裴迪)을 접여(接輿)에 비유한 것.
狂歌(광가) : 장난끼 어린 노래 또는 미친 것 같은 노래
五柳(오류) : 도연명이 자기 집 마당에 다섯 그루 버드나무를 심어 스스로 오류선생이라 칭한 것을 사모하여 자기 마당을 이렇게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