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황 입니다...-_-
숙제를어디에다 올릴지 한참을 고민하다가 결국여기에...;;
9/15 목
Koizumi's character willful and eccentric
Japanese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 is known as "The Henjin." This word means a weird or abnormal person.
Despite the fact he was elected as a member of the Diet ten times, his career was not that significant. He has never served as secretary general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of Japan. He was never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r minister of finance but served in sinecure positions as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and minister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He refused to accept a 25-year service award which is one of the most honorable awards given to a politician.
Everyone who is part of Japanese politics knows of a pressure group organized by former postmasters. This group has over 240,000 members and is a favorable voting constituency for the LDP. Mr. Koizumi dared to cut ties with this group, saying, "One hundred million Japanese citizens are far more important than 260,000 employees of the Ministry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This man is the Prime Minister of Japan.
It is also well-known that to be powerful in Japanese politics you must be part of a faction and make frequent visits to high class bars. However, Mr. Koizumi would rather read books or go on a trip to Europe. Mr. Koizumi has lived alone for 23 years since his divorce so cooks for himself. He speaks slowly and his speeches never exceed 5 minutes in length. The reason he nominated women candidates for the election as beautiful "assassins" was simple. He said, "Nothing is more powerful than the tears of a beautiful woman."
Although he is alienated from other politicians because of his eccentricities, to the people he is the only hope of overturning old political establishment. His popularity comes from this. When he campaigns ev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cannot vote, come and photograph him. The first floor of the LDP office in Tokyo has a section displaying Koizumi products. A cellular phone accessory with a Koizumi doll and a t-shirt featuring his face are the most popular items.
The raging Koizumi wind has swept the islands of Japan. He has assented to being the first "presidential-style" prime minister in Japanese history. However, neighboring countries feel uneasy. In 1991, when U.S. Vice President Dan Quayle spoke of the expense of troops staying in Japan, Mr. Koizumi said, "Leave if you wish to." His idea was that only after U.S. troops left would Japan care about defending itself.
Mr. Koizumi seldom consults others and enjoys making unusual decisions. To put it in better terms, h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high-stakes gambler, but could also be seen as a willful man, who now has wings.
그의 별명은 헨진(變人)이다. 괴짜나 이상한 사람이라는, 별로 좋지 못한 뜻이다. 10선 관록치고는 경력도 보잘것 없다. 자민당 간사장이나 대장상.외상은 한 번도 차지하지 못했다. 후생상이나 우정상 같은 한직을 맴돌았다. 그는 최초로 파마를 하고 의사당에 나타났고, 정치인 최고의 영예인 중의원 25년 근속 표창과 특전을 걷어찬 인물이다.
일본 정치판에서 대수회(大樹會)를 모르면 간첩이다. 회원 24만 명의 전국 우체국장 출신들이 만든 압력단체다. 지역 유지의 모임이자 자민당의 최대 표밭이다. 그는 이런 대수회를 대수롭지 않게 잘랐다. "우정성 산하 공무원 26만 명보다 일본 국민 1억 명이 더 중요하다"며 우정 민영화를 밀어붙였다. 그가 바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다.
일본 정계에서 힘을 쓰려면 파벌과 고급 요정 출입은 불문율이다. 그는 그 시간에 혼자 책을 읽거나 유럽여행을 즐긴다. 이혼 뒤 23년간의 독신 생활이 몸에 배어 밥도 손수 짓는다. 말투는 어눌하고 연설은 5분을 넘지 않는다. 이번 총선에 방송사 여성 앵커 등 미모의 여자 자객을 공천한 이유도 간단했다. "아름다운 여자의 눈물만큼 강력한 무기는 없다"고.
정치판에선 괴짜로 따돌림받지만 그는 국민 사이에선 정치판을 뒤엎을 유일한 희망이다. 그의 대중적 인기는 여기에서 나온다. 그의 유세장에는 투표권도 없는 중.고생까지 몰려와 디지털 카메라를 들이댄다. 도쿄(東京)자민당사 1층에는 그의 캐릭터 상품 코너가 따로 마련돼 있다. 인형이 달린 7000원짜리 휴대전화 줄과 얼굴 사진이 담긴 1만2000원짜리 티셔츠는 인기 상품이다.
그제 고이즈미 광풍이 일본 열도를 휩쓸었다. 일본 최초의 '대통령급 총리'로 등극했다. 그러나 주변국은 불안하다. 1991년 미국의 댄 퀘일 부통령이 미군 경비를 거론하자 그는 "나갈 테면 나가라"고 쏘아붙였다. 주일 미군이 나가야 자주 방위에 더 신경을 쓴다는 것이다. 고이즈미식 외교는 늘 이런 식이다. 혼자 고민하고 파격적 결단을 즐겨 '외로운 늑대'라는 별명을 새로 얻었다. 좋은 의미에서 고독한 승부사지만, 옆에서 보면 독불장군이 날개를 단 격이다.
이철호 논설위원
9/14 수
The Korean language also needs unifying
On March 17, 2000, when Song Ho-kyung, the vice chairman of North Korea's Asia-Pacific Peace Committee, met in Beijing with South Korea's then-Minister of Culture and Tourism, Park Ji-won, he said, "I have come to prepare ‘a grave accident' in the history of our division."
The two were in Beijing for preliminary discussions about the upcoming inter-Korean summit. Mr. Song's comment completely perplexed Mr. Park, who thought at first that he was talking about a disastrous incident like the Korean War.
When Mr. Park's facial expression become rigid, Mr. Song rephrased his comment. "I meant we should work together to accomplish a historically significant task." Now Mr. Park understood what he meant. As Mr. Park later recalled the episode, he thought at first that things were souring.
On June 13 of that year, Kim Jong-il was chatting with then-South Korean President Kim Dae-jung at the Paekhwawon State Guesthouse. The North Korean leader said, "The schedule has been tense, so the noodles might not taste very good." President Kim was lost for a moment. He knew Mr. Kim was talking about the cold noodle soup they were having, but he had no idea that "tense" could mean "short of time" in North Korea. Kim Jong-il, for his part, later confided to a Russian diplomat that he could understand only 80 percent of what President Kim said to him.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 1945, the Korean language was divided too. The gap grew as Pyongyang exploited the language for socialist purposes. In the South, people adopted foreign words and phrases that diversified the language. The language barrier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has gotten so high that we sometimes need an interpreter.
When an assemblyman offered some tea to Kim Hye-yeon, a North Korean actress and defector, she said, "I have no business with it." In North Korea, "I have no business" means "it won't be necessary." The assemblyman had no idea what the phrase meant, and thought she was being rude. Ms. Kim must have wished for an interpreter at the time.
During this week's Liberation Day festivities, Seoul and Pyongyang agreed to make efforts to unify the standards of Korean writing and speech. The two Koreas also have decided to rush the joint compilation of the Korean Language Grand Dictionary. As the North Koreans might put it, they have accomplished a "grave accident." Once the two Koreas recover the homogeneity of the language, communication will be much more straightforward and clear, and we will be a step closer to the recovery of national homogeneity.
The writer is a deputy international news editor at the JoongAng Ilbo.
"분단 력사에서 중대한 사변을 마련하기 위해 나왔습네다." 2000년 3월 17일 중국 베이징. 송호경 북한 아태평화위 부위원장을 만난 박지원 당시 문화부 장관은 이 말을 듣고 당황했다. '사변'이란 소리에 '6.25 사변(事變)' 같은 변고가 연상됐기 때문이다. 남북 정상회담 예비접촉을 위해 그곳에 간 박 장관의 안색이 굳어지자 송 부위원장은 말을 바꿨다. "아, 력사적으로 큰 일을 성사시키자, 이 말입네다." 박 장관은 그제야 말귀를 알아들었다. 그는 나중에 이 에피소드를 전하며 "그땐 일이 틀어지는 줄 알았다"고 했다.
같은 해 6월 14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 김대중(DJ) 당시 대통령과 담소를 나누던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이런 말을 했다. "일정이 긴장해서 국수 맛이 없었을 겁네다." DJ는 잠시 어리둥절해했다. '국수'가 '냉면'이라는 건 알았지만 '긴장하다'가 '시간 여유가 없어 빠듯하다'는 뜻인 줄 잘 몰랐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도 DJ를 만나는 동안 말을 80% 정도밖에 알아듣지 못했다고 러시아 외교관에게 털어놓은 적이 있다.
1945년 8월 광복과 동시에 분단이 되면서 말도 갈라졌다. 북한이 언어를 적화혁명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바람에 간극은 커졌다. 남에선 외래어가 말의 이질화를 촉진했다. "민족(또는 국민)이 사고(思考)의 동일성을 보존하지 못할 때 언어의 동일성은 유지되지 못한다"(웹스터 사전으로 유명한 노아 웹스터)는 말 그대로다. 남북의 언어장벽은 가끔 통역이 필요할 정도로 높아졌다. 귀순한 북한 배우 김혜연씨는 차(茶)를 권하는 국회의원에게 "일없습네다"라고 했다가 봉변당할 뻔했다. '일없다'는 건 '괜찮다'는 뜻인데 그걸 모른 의원이 "무시하는 거냐"고 따졌으니, 그때 통역이 얼마나 아쉬웠을까.
8.15 민족대축전 기간 중 남북은 어문규범 통일을 추진하는 등 언어의 이질감을 해소하는 노력을 하자고 합의했다. '겨레말 큰 사전' 공동편찬 작업도 서두르자고 했다. 북한말로 '사변'(큰 일)을 한 것이다. 남북이 언어의 동일성을 회복하면 의사소통은 얼마나 시원해질까. 그렇게만 된다면 민족 동질성을 되찾는 길로도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될 것이다.
첫댓글 이름이 잘못 쓰인듯. . . 사담 아니던가? ㅋㅋㅋㅋㅋ
안녕 이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