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무치는 옛추억의
사진들
시인들의 통찰력은 사람을 놀라게 하곤 한다. 이 시도 그런 통찰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무자비하게
쓸어내리는 심판자이지만
시련의
시간을 통해
단련시키듯/ 더 아련하고 더 아름답게만 느껴진다.
저 사진은 고 임인식 사진가가 1950년대 찍은 제주 초가
사진이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든 가장 흔했던 초가집은 이제 다 사라졌다. 바람이 세게 불어 지붕을 줄로 얽어매는 제주의 초가집들도 마찬가지다.
새마을 운동으로, 그리고 현대화로 사라졌다. 그 거대한 흐름을 막을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좀 남아있으면 좋았을텐데 이제 제주에서 제주 초가를 볼
수 있는 곳은 민속마을 외엔 거의 없다. 이 사진을 찍은 임인식 선생 집안은 무척 흥미롭고 유별난
집안이다. 온 집안이 사진가다. 임선생은 한국전쟁을 전장에서 직접 촬영한 종군사진가로 유명하다. 그리고 그의 작은 아버지 임석제 선생은 한국
리얼리즘 1세대 작가다. 그리고 조카보다 먼저 제주의 초가를 찍었다. 역시 1950년대 제주 초가가 있는
풍경이다.
오름과 한라산처럼 부드러운 산으로 둘러싸인 제주의 초가는 그
산들처럼 부드럽다.
이 전시회 사진을 전해 받고서 한참을 봤다. 오래된 것들,
아름다운 것들, 그리고 안타깝게도 사라진 것들이었다. 오래되고 사라진 것들이 주는 감흥은 늘 매력적이다. 저 사진 속 초가들은 이제 모두
사라졌다. 우리는 그 모습을 이제 저런 오래된 사진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슬프고 안타까운
일이다. 저 초가들이 꼭 그렇지 않은가. 정직하고, 낡았고, 세월의
더께가 쌓였다. 치열한 삶의 현장이기에 정직하게 낡은 것이고, 낡아서 늘 새로워지는 것들이다. 그리고 이젠
사라졌다. 이 사진들을 보면서 저 시절 제주를 보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쉬웠다. 내가 태어나기 전 모습을 상상해보는 수밖에 없었다. 지금에도 남아 있으면 우리도 볼 수 있으련만, 우리는 늘 우리의 과거를 지워왔다.
그리곤 이렇게 사진으로만 아쉬워한다. 이 사진들을 보고 당장 제주도에 가서 전시를 보고 싶었지만
일정이 허락치 않았다. 그래서 임정의 선생께 사진을 얻어 이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다. 오래되어 아름답고 사라져서 더 사무치는 것들의 모습을 혼자
보기 아까워서다. 그런데, 임 선생은 또한 몇가지 재미있는 사진들을 함께
보내주셨다. 지금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나오는 아버지 임인식 선생이 찍은 1950년대 무렵 사진들이다. 가령 이런
것들. 그리고 이런 사료적 가치가 있는 사진들 못잖게 생활상도 많이
찍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촬영 대상은 물론 그의 가족이었다. 아들 임정의 선생을 비롯한 식구들의 모습을 찍은 사진들은 지금 보면 우리
부모님 세대가 이렇게 살았구나 실감하게 해준다. 당시만 해도 가회동에는 기와집이 아니라 초가집들이 수두룩했다고
한다. 그 초가집을 나서 학교에 가는 임정의 선생과 여동생의 모습이다. 열악했던 시절일
것이다. 이 정겨운 가족 사진들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전시중이다.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이젠 사라져버린 옛 서울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전시회를 지금 열고 있다. 전시는 12월30일까지 열리며 무료다. 월요일은 쉰다. 문의
02-2171-2481.
이 사진은 김한용 사진가가 찍은 1950년대 남대문 로타리
모습이다. 김한용 작가는 임인식 선생처럼 종군 사진가였다. 전쟁 이후에는 상업 사진으로 방향을 돌려 한국 상업사진에 큰 족적을 남겼다.
동아일보 사진기자
출신으로 현대사의 여러 장면을 찍은 전민조 선생이 찍은 1978년 압구정동 모습이다. 당시만해도 서울이라고 하면 강북을 말하는 것이었고, 강남은
시골이나 다름없었음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토목공학자이자 교수였던 전몽각(1931-2006)은
대학 4학년 때 받은 장학금으로 카메라를 산 뒤로 평생 카메라를 옆에 두고 가족들의 모습을 찍었다. 큰 딸 윤미씨가 태어나서부터 시집갈 때까지의
모습을 찍은 수많은 사진으로 펴낸 사진집 <윤미네집>은 그 생생함과 절절함, 공감이 묻어나는 글과 사진으로 수많은 독자들을
감동시켰다. 수도가 부족했으니 강에서 빨래를 하러 빨랫감을 든 이들이 전차를
타고 뚝섬으로 몰려들었고, 강물에 나무 판자를 띄워 만든 세탁장에 수십 명이 둘러앉아
빨래를 한 다음 대나무 빨래 걸이에 빨래를 말려 집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뚝섬에서만 볼 수 있는 진풍경이었을
것이다. 노무라 모토유키는 이 열악한 외국의 빈민가에서 봉사활동을
펼쳤다. 그리고 이들의 삶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그리고 이 귀한 사진들을 2006년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했다. 986년 사당동의 모습이다. 사진을 찍은 이는 사회학자로 철거
재개발 문제를 연구해왔고, 소설과 영화로 철거 재개발 문제를 알려온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 삶의 현장을 일거에 파괴하는 재개발 지역의 느낌이
물씬 묻어난다. 현장으로 들어가 연구한 덕분에 나올 수 있는 사진일 것이다. 저 마을은 사라졌고, 그 자리에는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섰다.
이 사진들은 아름답다. 비록 사진 속에 담긴 현실은 치열하고,
지저분하고, 고통스러울 지라도 사진들은 그 모든 것을 아름답게 보여준다. 그래서 더 처절하고 현실적이기도 하다.
자기 시대의 풍상을 온몸에 새겨가며/ 옳은 길을 오래오래
걸어나가는 사람/ 숱한 시련과 고군분투를 통해/ 걷다가 쓰러져 새로운 꿈이 되는 사람/오래된 것은 다
아름답다." 귀한 사진들을 전시회를 가지 못하는 분들도 보실 수 있게 전해주신 임정의 선생께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 |
첫댓글 정말 추억 어린 귀한 사진들이네요...
우리의 삶이었는데... 이제 아련한 기억 속에 남아있으니..
귀한 사진들 보여 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