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의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고요한 아침의나라에서" 독일 신부 노르베르트 베버(Norbert Weber)의 한국에서 선교활동(1927년 영상)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Im Land der Morgenstille 1925년 성 베네딕도회 소속 '노르베르트 베버'신부가 한국을 방문하여 제작한 풍물 다큐멘터리 주로 서울, 금강산, 원산과 연길 지역에서 찍은 한국과 한국 사람들에 대한 매우 인상적인기록영화 (35mm) 한일합방 100주년(2010년)을 앞두고 DVD로 공개되는 한일합방 직후, 당시 조선의 생생한 동영상 35밀리 필름, 1만5천 미터, 85년 전 한국의 방대한 영상기록, 안중근 의사 처형 직후(1911년) 그의 가족과 찍은 청계동의 사진 최초 공개, 6.25 전쟁 때 완전히 파괴된 금강산 장안사와 서울 동소문(1920년대 파괴)등의 동영상 공개 일제 초기 (1920년대) 식민주의와 강요된 근대화에 의해 사라질 위기에 처한 한국의 민속, 장례식, 공예, 농사, 베틀짜기 등을 애정과 존경의 마음으로 기록했다 한국을 지극히 사랑했던 한 독일인 선교사의 지극한 사랑과 연민의 고백 "내가 그렇게도 빨리 사랑에 빠질 수 밖에 없었던 나라는'한국'이었다." 1925년 2월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 일행은 독일을 출발해 프랑스 마르세이유에서 배을 타고 스웨즈 운하, 실론, 싱카폴, 필리핀, 일본 오사카와 고베을 거쳐 부산에 도착했습니다. 1914년에 발간된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는 한국에 대한 첫 느낌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새벽 어둠속에 바닥 위에 떠도는 안개를 해치고 파도 위에 육지가 나타나면서 우리에게 인사를 건낸다. 육지는 점점 또렷해져서 아침 식사시간 무렵 벌써 부산항의 벌거벗은 바위산이 우리를 환영하기위해 팔을 뻗는다."
노르베르트 베버 (대수도원장) 1870~1956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는 독일인 선교사로 1911년 처음 한국을 방문해 400 페이지가 넘는'고요한 아침의 나라' 라는 방대한 책을 집필했고 그로부터 14년뒤인 1925년 다시 방문해 이 책을 기반으로 약1만5천 미터 분량의 35 mm 필림에 당시 한국인들의 삶의 모습을 꼼꼼히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1년 뒤 '고요한아침의 나라"에서 라는 영화로 만들어졌고 독일 전역에 상영해 많은 인기을 끌었습니다.
2차 한국방문 1925년 5월14일 ~ 10월2일 베버 신부는 한국에 대해 "내가 그렇게도 빨리 사랑에 빠질 수 밖에 없었던 나라였다."라고 고백 했습니다. 1925년 촬영된 영화 '고요한 아침에 나라'에서는 한국에 대한 한 독일인 선교사의 지극한 사랑과 연민의 기록입니다. 베버 신부는 직접 영화에 출연해 당시 영화를 보는 독일인 관객들을 위해 칠판에 지도를 그려가며 한국을 유럽의 이탈리아 반도와 비슷하다고 설명했습니다.
1925년 수도 서울 시가지의 모습
혜화문(동소문) 태조 1397년 건립, 일제강점기 전차공사를 위해 헐렸다.
1925년 북한산의 모습
1925년 북한산의 모습
1925년 서울 도성 성곽 모습 베버 신부는 서울이 오목한 분지이고 희고 단단한 성곽이 능선을 따라서 산으로 기어 올라가는 것 같다고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북한산을 구름속에 솟아 있는 산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는 서울의 마을들이 주로 산 및에 모여있는 것에 주목 했습니다. 그리고 쌀을 좀 더 많이 재배하기 위해서 넓고 좋은 땅은 농토로 삼았고 집은 비좁은 산 비탈에 잡았다고 분석했습니다.
베버 신부는 한국인들은 "자연과 더불어 살며 하루종일 자연과 함께하다가 석양을 뒤로 하고 미소를 머금은체 집으로 돌아오는 사람들이고, 자연을 정복하기 보다 그 찬란함 속으로 들어가는 꿈을 꾼다."고 생각했습니다.
베버 신부는 한국의 문화를 존경했습니다. 독일 민족이 아직 숲에서 뛰어 다닐때 한국은 이미 고도의 문화를 가진 민족이라 여겼습니다. 그에게 감동을 주었던 한국 '문화' 그 중에 하나는 '효도' 입니다. 천년 이상 지속된 유교전통에 따라 복종과 순종 그리고 권위에 대한 인정은 한국인들이 태어나면서 배워오고 있었습니다. 한국인들에게 조상과 어른을 대한 감사와 존경이 삶의 일부가 되어있는 것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기도 했습니다.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가족에 대한 책임과 사랑은 그를 사로 잡았습니다.
베베 신부는 한국의 농경 문화에 주목하면서 특히 품앗이 라는 노동 형태에 매료 되었습니다. 그는 세계 어디어서도 볼 수 없는 높은 수준의 공동체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고 생각 했습니다. '노동을 통해 성숙된 공동체문화' 이는 카톨릭 공동체에 거대한 뿌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베버 신부는 인본의 신민지 폭력성 앞에서 아름답고 고귀한 한국의 공동체 문화가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안타까워 했습니다.
1925년 금강산 장안사, 6·25 전쟁때 완전히 불에 타 사라지고 지금은 축대, 비석 등만 남아 있다.
1925년 금강산 장안사 승려들의 모습
1925년 금강산 장안사 대웅전 베버 신부일행은 1925년 6월초 약 열흔간의 일정으로 금강산을 여행합니다. 그리고 금강산 장안사의 가람 배치와 명칭에 대해 정확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대웅전의 화려한 장식을 보고 마치 마법과 같다고 표현했습니다. 제단을 덮고 있는 우아한 지붕, 그것은 수없이 많은 붉은 나무들을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매력적으로 짜 맞춘것입니다. 베버 신부는 한국의 사찰 이야말로 아름답고 고귀한 것 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비록 한국이 유교 국가였지만 민중의 삶에는 불교 문화가 훨신 강력한 사실도 깨닫게 됩니다. 그가 보기에 불교는 한국의 역사에서 역사와 민중의 편에 가까이 있었습니다.
베버 신부는 한국을 떠나면서 그는 "1911년에는 내가 그리도 빨리 사랑에 빠졌던 한국과 이별할 때 작별의 아픈 마음으로 '대한만세'를 불렀다. 그로부터 10년이 넘게 지나갔다. 집으로 돌아오면서 나는 한국과 그 나라 사람들에 대한 사랑을 함께 가져오게 되었다." 라고 했습니다. 예술가 였고, 문학가였으며 겸손한 목자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 그는 동아프리카 탄자니아 에서 조용히 여생을 보내다 1956년 영원한 안식에 들어 갔습니다. 그리고 그가 남긴 한국에 대한 사랑과 연민의 기록은 먼 세월을 돌아 우리의 곁에 와 있습니다.
<출처> KBS 역사스페셜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A Message of love |
첫댓글 막스베버 아빠스(대수도원장)는 선교가 아니라 사목방문을 오신것입니다.우리나라를 매우 사랑하셨다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