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행정 洞간 연계성·인구 등 고려
- 시범지역 사하구 5개 권역 나눠
- 하단·당리동은 생활 여건 개선
- 감천·구평동은 주거·경제 활력
- 괴정동 사회안전·역사 거점 등
- 고유 정체성 살린 재생에 초점
부산시가 재개발·재건축 패러다임을 기존 철거 위주의 방식에서 생활권 중심의 정비·보전·관리로 전환한다. 시는 이를 위해 사하구를 시범지역으로 하는 '생활권 계획'(본지 지난해 5월 22일 자 2면 보도)을 구체화하고 오는 5월부터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시의 계획을 보면 우선 사하구를 행정 동(洞) 간 연계성과 인구 규모를 고려해 ▷하단·당리동 ▷괴정동 ▷신평·장림동 ▷감천·구평동 ▷다대동 등 5개 주거생활권으로 나눈다. 이들 권역의 관리는 크게 6m 이상 도로를 근린·보행·특화 거리로 선정하고 역사·문화 등 고유의 정체성을 살리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주거환경지표 분석에 따라 하단·당리동은 생활 여건과 커뮤니티 지속, 괴정동은 사회안전, 감천·구평동은 주거환경과 경제 활력에 초점을 맞춘다. 시의 조사 결과 하단·당리동(13.45㎢, 8만3484명) 권역은 상업기능이 발달하고 교통과 주민 편의시설이 우수한 반면 사회복지·의료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단시장 인근의 부정형 도로를 정비해 사회복지시설 설치를 유도하고, 상업·기간산업 중심지인 하단동의 부도심 활성화를 도모한다.
괴정동 권역(4.89㎢, 7만204명)은 다른 지역에 견줘 저층·노후 주택이 많은 점에 주목한다. 이런 맥락에서 저소득층을 위해 다양한 주택을 공급하고, 계획적 정비로 안락한 정주환경을 만드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문화·체육시설과 주차장을 확보하고, 보호수와 빨래터 등의 지역 유산을 복원해 역사·문화 거점으로 활용하는 구상도 검토한다.
신평·장림동 권역(9.13㎢, 8만2239명)은 주거와 공업기능이 뒤섞여 불법주차 등 주거환경이 매우 불량한 것으로 지적됐다. 소규모 단독주택이 밀집해 화재에 취약한 점도 확인됐다. 시는 이 같은 단점을 없애기 위해 신평1동 주거환경 관리사업 후보지에 대형 주차장을 건립하고, 장림동에 소방도로를 우선 설치하는 등 주거환경 개선에 집중할 예정이다.
감천·구평동 권역(6.48㎢, 4만1661명)은 감천문화마을을 관광자원으로 내세워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감천·구평동의 주거지 재생을 이끌고, 비좁은 도로를 지속적으로 개선한다는 게 시의 주요 전략이다.
이 밖에 공동주택과 임대·노후주택 비율이 높은 다대동(7.75㎢, 7만7339명)은 지역 공동체(커뮤니티)를 형성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갈피를 잡는다. 몰운대 유원지와 다대포해수욕장 등 관광지 인근에는 파출소와 CC(폐쇄회로)TV 확충도 이뤄질 전망이다. 부산시 정정규 도시정비과장은 "사하구 생활권 계획은 부산의 도시정비계획 틀을 바꾸는 작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첫댓글 좋은 뉴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