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고기 도체특성 및 도체수율
비육이 완료된 제주산마 15두의 도축 시 생체중은 344kg, 도체중은 209kg으로 도체율은 61.0%로 나타났다. 부분육별로 생체수율은 등심 5.1%, 안심 1.3%, 채끝 1.3%, 목심 3.6%, 제비추리 0.3%, 뒷다리살 12.1%, 안창 0.5%, 갈비 6.5%, 앞다리살 5.6%, 양지 4.1%, 사태 3.0%, 잡육 0.7%로 조사되었고, 전체 정육율은 43.3%였다. 부산물 중 지방은 9.7%, 뼈는 7.8%로 나타났고, 전체 부산물 비율은 생체 기준 17.6%를 보였다. 도체 기준의 정육율은 71.1%, 부산물 비율은 28.8%로 나타났다.
표 8. 제주산마의 도체율 및 정육율 <![endif]>
구 분 생체중(kg) 도체중(kg) 도체율 정육율
제주산마 344 ± 31 210 ± 22 61 ± 1.5 43.3 ± 2.0
농용마 1124 ± 95 744 ± 65 66 ± 0.7 -
- 제주산마 : 15두 도축자료(난지농업연구소, 2006)
- 농용마 : Dr. Hisashi Hidari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자료, 2005)
제주산마의 도체율(61%)은 일본 농용마의 66%보다 다소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 이유는 고기 생산량이 적은데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비육우에 비해 비육마의 도체율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표 9. 제주산마의 부분육별 수율
부분육 중량(kg) 생체수율 도체수율 정육
등심 17.4 ± 4.9 5.1 ± 1.2 8.3 ± 1.9
채끝 2.5 ± 3.2 1.3 ± 1.5 4.1 ± 5.3
안심 4.3 ± 0.6 1.3 ± 0.1 2.1 ± 0.2
목심 12.3 ± 4.5 3.6 ± 1.2 5.9 ± 2.0
제비추리 0.9 ± 0.9 0.3 ± 0.2 0.4 ± 0.4
뒷다리살 41.6 ± 4.4 12.1 ± 1.4 19.9 ± 2.3
안창 1.7 ± 0.5 0.5 ± 0.1 0.8 ± 0.2
갈비 22.3 ± 2.6 6.5 ± 0.5 10.6 ± 0.9
앞다리살 19.4 ± 7.0 5.6 ± 1.9 9.2 ± 3.1
양지 14.2 ± 5.0 4.1 ± 1.3 6.8 ± 2.2
사태 10.3 ± 1.1 3.0 ± 0.3 4.9 ± 0.5
잡육 2.4 ± 2.0 0.7 ± 0.5 1.1 ± 0.9
정육 소계 149.2 ± 16 143.3 ± 2.0 71.1 ± 3.3
부산물
지방 33.7 ± 9.0 9.7 ± 2.0 15.9 ± 3.1
뼈 26.9 ± 2.3 7.8 ± 0.6 12.9 ± 1.1
부산물 소계 60.5 ± 9.9 17.6 ± 1.9 28.8 ± 2.8
총계 209.7 ± 22.2 60.9 ± 1.5 99.9 ± 1.0
006_003_09_horse05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