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 부 전 통 교 실
제례의 의의, 제례의 유례와 변천, 제사의 종류 223
기제, 차례, 연시제, 추석, 사시제 224
묘제 홀기문 225
묘제홀기문 해설 226
한식, 성묘, 이제, 사당 231
전통제례절차, 전통제례순서 및 해설 231
지방 쓰는 법 234
축문쓰는법 및 해설 235
절하는 예절 240
제기와 제구 241
제복 242
제수와 진설법 231
현대식 제례절차 및 해설 243
상례 절차 및 예절 244
혼례 의식 248
족보에 사용되는 용어
본관, 시조, 비조, 중시조, 시조와 비조, 선계, 세계 249
선대와 말손, 251
이름자(아명과 관명, 호, 시호, 함과 휘) 252
항렬 253
사손과 사손, 출계와 계자, 관계, 관직의 명칭 254
관아와 직함, 실직과 증직, 255
족보의 종류, 보첨의 형식, 보학이란, 족보, 족보의 보존 260
대동보, 세보, 파보, 가승, 계보, 가보, 만성보 261
파평윤씨의 족보 261
기해대보, 을유, 갑술, 임술, 병오, 계미, 경인대보 262
종합보, 경신보, 기해종합보, 파보 263
참고의례 263
근친간 칭호 264
일반수례서식 266
◉ 제례의 의의
사람이 죽으면 그 자손이나 친족, 친지가 슬픔 속에서 장사를 지내고 조상의 은덕을 추모하여 정성으로 기념하는 것이 제사이다.
그러나 이 제례는 복잡한 형식보다 그 마음가짐이 더욱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것은 현대 문물(文物)에 의하여 조상에 대한 현대인들의 공경심의 희박해진 결과라 할 것이다.
"뿌리 없는 나무가 없고, 조상 없는 자손이 있을 수 없다"는 옛 사람의 교훈이 아니더라도 나를 낳아 길러 주시고 돌봐 주신 부모님이나 오늘의 나를 존재하게 해주신 조상에 대하여 정성을 다하고 예로써 모시는 것은 자손으로서의 당연한 도리이다.
생활이 복잡하고 일에 쫓기는 현대인 일지라도 1년에 한 번 돌아오는 기일 (忌日)만이라도 보은(報恩)의 뜻으로 예를 지켜야 할 것이다.
◉ 제례의 유례와 변천
제사의 근원은 먼 옛날에 천재지변(天災地變), 질병, 맹수의 공격을 막기 위한 수단에서 비롯하였다. 그러나 근세(近世)에 와서는 유교 사상(儒敎思想)으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애모(愛慕)의 표시로 변하여 가정마다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수백 년 동안 4대봉사(四代奉祀)로 종손(宗孫)이 조상의 제사를 지내 왔고, 이것이 예의의 나라라 불리어 온 우리 민족의 자랑이기도 했다.
제사는 남의 이목이나 체면 때문에 많은 제수를 차려 놓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것을 형편에 따라 정성껏 지내면 그것으로 족하다.
현대에 와서는 제사가 고작 기제(忌祭), 묘제(墓祭), 절사(節祀)에 한하고 있다. 그것도 기제의 경우 조부모, 부모의 2대 봉사를 원칙으로 하고 제사 시간도 기일(忌日) 일몰(日沒)후에 지내고 있으니 모든 것이 간편 위주로 변해 가고 있다.
또한 기제에서 고위(考位)의 제사 때는 고위만 지내고 비위( 位)의 제사 때는 비위 만 지내는 것이 옳다는 설(設)도 있고, 고위와 비위를 같이 지내야 한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이에 대해서 "기일에 고위와 비위를 함께 지내는 이런 예법이 옛날에는 없었다고 하지만 내 생각으로는 함께 지내는 것이 예법에 어긋날 것이 없고, 인정(人情)에도 합당한 일"이라 했다. 이 교훈을 따르는 것이 옳을 것이다.
◉ 제사의 종류
◎ 기제(忌祭)
고인이 돌아가신 날(忌日)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이다. 기제의 봉사(奉祀) 대상은 과거에는 「주자가례」에 따라 4대조까지였으나 요즘에는 가정의례 준칙에 의거, 2대조까지와 후손이 없는 3촌 이내의 존비속에 한해서만 기제를 지낸다.
제사 시간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정부터 새벽 1시 사이 모두가 잠든 조용한 시간에 지냈었다. 그러나 요즘은 시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그 날 해가 진 뒤 어두워지면 아무 때나 적당한 시간에 지낸다.
제사는 제주(祭主)의 집에서 지내는데 고인의 장자(長子)나 장손(長孫)이 제주로 서 제사를 주재한다. 장자나 장손이 없을 때는 차자(次子)나 차손(次孫)이 주관한다. 제사에 참석하는 사람(參祀者)은 고인의 직계 자손으로 하며 가까운 친척도 참석 할 수 있다.
「주자가례」나 도암(陶菴) 이재(李縡)의「사례편람(四禮便覽)」에는 기일을
맞은 당사자 한 분만을 모신다고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두분(兩位) 을 함께 모셔 왔으므로 이 관습을 무시할 수 없다.
가정의례 준칙에도 부모가 모두 별세하였을 경우 합설(合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 차례(茶禮)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날에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이다. 보통 아침이나 낮에 지낸다. 요즈음에는 정월 초하루의 연시제 (年始祭)와 추석절의 절사(節祀)가 이에 해당된다.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무축단작(無祝單酌)이라 하여 축문이 없고 술은 한 잔만 올린다.
◎ 연시제(年始祭)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드리는 제사로서 봉사 대상은 원래 4대조까지였으나 요즘 은 2대조까지만 지내기도 한다.
차례 드리는 방법은 봉사 대상이 되는 여러분을 한꺼번에 모신다. 지방은 합사(合祀)하는 경우 한 종이에 나란히 쓴다. 메는 떡국으로 대신 한다.
◎ 추석절 제사
음력 8월 보름에 지내는 제사이다. 차례를 지내는 봉사 대상은 모든 직계 조상으로 하며, 제수는 새로 익은 햇곡식과 햇과일로 한다.
◎ 사시제(四時祭)
철을 따라 1년에 네 번 드리는 제사로서, 매중월(每仲月 : 2월, 5월, 8월, 11월)상 순(上旬)의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가리어 지낸다. 보통 날짜는 전달하순에 정한다.
제사 전 3일 동안 재계(齋戒)한다. 제사 하루 전날에는 정침을 깨끗이 청소하고 신주 모실 자리를 마련한다. 방 한가운데에 향탁(香卓)을 놓고 그 위에 향로 향합 촛대를 놓는다. 주부는 제기를 갖추어 손질하고 제찬을 정결하게 마련한다.
밤새도록 촛불을 밝혀두고 다음날(제삿날) 날이 밝으면 아침 일찍 일어나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는 제복을 입고 사당으로 나아가 분향한 뒤 신주를 정침으로 내려 모신다.
제사 지내는 순서는 참신 강신 진찬이 끝나면 초헌 아헌 종헌에 이어 유식 합문 계문을 한 뒤 수조(受 )를 한다. 사신하고 나서 납주(納主)하면 상을 물리고 음식 을 나누어 먹는다.
「사례편람」에는 시제야말로 제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되어 있지만, 요즘 에는 이 시제를 거의 지내지 않는다.
◎ 묘제(墓祭)
산소를 찾아가서 드리는 제사이다. 제찬은 기제와 마찬가지로 준비하고, 토지신 (土地神)에게도 따로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낸다.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격몽요결(擊蒙要訣)」에는 1년에 네 번, 즉 정월 초하루, 한식, 단오, 추석에 묘제를 지낸다고 되어 있고, 「사례편람」에는 3월 상순(上旬)에 날을 택하여 지낸다고 적혀 있다.
요즘은 1년중 적당한 날을 하루 잡아서 산소를 찾아가 문중(門中)이 모두 함께 제사를 드리는 것으로 대신하고 있다. 고례에 의하면 제주를 비롯한 여러 참사자들이 검은 갓과 흰 옷을 갖추고 일찍 산소에 찾아가 재배하고, 산소를 둘러보면서 세 번 이상 잘 살피며 풀이 있으면 벌초하고 산소 앞을 깨끗하게 쓴다. 산소의 왼쪽에 자리를 마련하고 토지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낸 뒤, 산소 앞에 정한 자리를 깔고 제찬을 진설한다. 그리고 참신 강신 초헌 아헌 종헌 사신의 순으로 제사를 지내고 상을 물린다.
◎ 홀기문 해설(笏記文 解說)
(1) 홀기란
혼인의례나 제사 등 의식의 순서를 적은 글을 말함
(2) 분정이란
제사를 올리는 절차에 따라 제관 중에서 각각 책임을 분담하는 것으로 제사 올리기 전에 미리 정하여 둔다.
○ 초헌관(初獻官)-분향과 첫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
○아헌관(亞獻官)-두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
○종헌관(終獻官)-세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
○집례(執禮)-제사 올리는 순서를 집행하는 제관, 홀기를 부르는(읽는) 사람.
○찬자(贊者)-집례를 도와 홀기를 읽는 사람인데 홀기 중 흥을 부르는 사람.
○대축(大祝)-축문을 읽는 사람, 헌관좌측에서 집사자를 내조함.
○알자(謁者)-헌관을 인도하고 안내하는 사람.
○판진(判陳)-제사상이 순서대로 차려졌는지 확인, 점검하는 사람.
○관세(盥洗)-헌관이 손 씻는 대야를 받드는 사람.
○사준(司罇)-제주(祭酒)를 모시며 술을 따르는 사람.
○봉작(奉爵)-우집사로서 술잔을 받드는 사람.
○전작(奠爵)-좌집사로서 신위 전에 술잔을 올리는 사람.
○봉로(奉爐)-향로를 받드는 사람.
○봉향(奉香)-향을 받드는 사람.
(3) 묘제 홀기문(墓祭 笏記文)
○ 제참자 서립(諸參者 序立)
지금부터 시조 태사공 추향제를 봉행 하겠습니다.
제관과 후손 여러분은 정숙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바로 서주십시오.
1. 판진 제상 찰
判陳 祭床 察
판진은 제상이 순서대로 진설되어 있는지 살피시오
2. 알자 인 대축 급 제집사 입취 배위 ■재배
謁者 引 大祝 及 諸執事 入就 拜位 再拜
알자는 앞으로 나가서 대축과 모든 집사자들을 절할 위치로 안내
하여 재배하도록 하십시오.
3. 예관세위 관수 ■각취위
詣盥洗位 盥手 各就位
대축과 집사자들은 관수자리에서 관수하고 각 제 위치로 돌아가서시오.
4. 알자인 삼헌관 예관세위 관수 ■시조태사공 묘위전 서립
謁者引 三獻官 詣盥洗位 盥手 始祖太師公 墓位前 序立
알자는 삼헌관을 안내 관수하고 시조태사공 묘위 앞으로 모셔 오십시오.
○ 강신례(行 降神禮)
1. 행 강신례
行 降神禮
강신례를 올리겠습니다.
2. 삼헌관 궤
三獻官 跪
삼헌관은 꿇어앉으십시오.
3. 봉로 봉향 예헌관지 좌우 궤 ■봉 향로 향합
奉爐 奉香 詣獻官之 左右 跪 奉 香爐 香盒
봉로와 봉향은 헌관 좌우에 끓어 앉아 향로와 향합을 올리시오.
4. 초헌관 삼상향
初獻官 三上香
초헌관은 향을 세 번 분향하시오.
5. 봉작 봉 강신 잔반 ■사준 작주
奉爵 奉 降神 盞盤 司罇 酌酒
봉작은 강신 잔반을 받들고 사준은 술을 따르시오.
6. 초헌관 수잔 삼관우 지
初獻官 受盞 三灌于 地
초헌관은 술잔을 받고 땅에 세 번 기울여 부으시오.
7. 이잔반수 봉작 반우고처
以盞盤授 奉爵 返于故處
빈 잔을 봉작에게 주고 봉작은 제자리에 갖다 놓으시오.
○ 참신례(參神禮)
1. 참사원 일동 참신 재배
參祀員 一同 參神 再拜
헌관 및 참례자 모두는 구령에 맞추어 두 번 절하시오.
2. 국궁 배 →흥, ▷ 배 →흥, ▷ 평신
鞠躬 拜 興 拜 興 平身
절하시오. 일어서시오. 절하시오. 일어서시고 바로 서십시오.
○ 초헌례(初獻禮)
1. 행 초헌례
行 初獻禮
초헌례를 올리겠습니다.
2. 초헌관 묘위전 궤
初獻官 墓位前 跪
초헌관은 묘위 앞에 꿇어앉으시오.
3. 묘위전 ■봉작 철 잔반 ■퇴주
墓位前 奉爵 撤 盞盤 退酒
묘위 앞에 올려져 있는 잔을 봉작은 내려 퇴주하시오.
4. 사준 짐주우잔
司罇 斟酒于盞
사준은 잔에 술을 따르시오.
5. 초헌관 수 잔반 묘위전 읍거
初獻官 受 盞盤 墓位前 揖擧
초헌관은 잔을 묘위전에 공손히 받들어 올리시오.
6. 전작 전우 묘위전 ■정저
奠爵 奠于 墓位前 正箸
전작은 잔을 묘위 앞에 올리시고 젓가락을 제 위치에 올리시오.
7. 대축 취 축판 진 헌관 수 축판
大祝 取 祝板 進 獻官 授 祝板
대축은 축판을 들고 헌관에게 나아가 축판을 드리시오.
8. 헌관 헌축 소거
獻官 獻祝 少擧
헌관은 축판을 공손히 받들어 올리시오.
9. 대축 수 축판 헌관지좌 궤
大柷 受 柷板 獻官之左 跪
대축은 축판을 받고 헌관의 좌측에 꿇어앉으시오
10. 참사원 일동 부복
參祀員 一同 俯伏
모든 참례자들은 부복하시오.
11. 독축
讀祝
축문을 읽으시오.
12. 참사원 일동 흥, ▷ 평신
參祀員 一同 興 平身
모든 참례자들은 일어나서 바르게 서시오.
13. 헌관 소퇴 재배, ■강복위
獻官 少退 再拜 降復位
헌관은 조금 물러서서 두 번 절하고 제 위치로 돌아가시오.
○ 아헌례(亞獻禮)
1. 행 아헌례
行 亞獻禮
아헌례를 올리겠습니다.
2. 아헌관 묘위전 궤
亞獻官 墓位前 跪
아헌관은 묘위 앞에 꿇어앉으시오.
3. 묘위전 ■봉작 철 잔반 ■퇴주
墓位前 奉爵 撤 盞盤 退酒
묘위 앞에 올려져 있는 잔을 봉작은 내려 퇴주하시오.
4. 사준 짐주우잔
司罇 斟酒于盞
사준은 잔에 술을 따르시오.
5. 헌관 수 잔반 묘위전 읍거
獻官 受 盞盤 墓位前 揖擧
헌관은 잔을 묘위 앞에 공손히 받들어 올리시오
6. 전작 전우 묘위전 ■정저이
奠爵 奠于 墓位前 正箸移
전작은 잔을 묘위 앞에 올리시고 젓가락을 옮겨 놓으시오.
7. 헌관 소퇴 재배, ■강복위
獻官 少退 再拜 降復位
헌관은 조금 물러서서 두 번 절하고 제 위치로 돌아가시오.
○ 종헌례(終獻禮)
1. 행 종헌례
行 終獻禮
종헌례를 올리겠습니다.
2. 종헌관 묘위전 궤
終獻官 墓位前 跪
종헌관은 묘위 앞에 꿇어앉으시오.
3. 묘위전 ■봉작 철 잔반 ■퇴주
墓位前 奉爵 撤 盞盤 退酒
묘위 앞에 올려져 있는 잔을 봉작은 내려 퇴주하시오.
4. 사준 짐주우잔
司罇 斟酒于盞
사준은 잔에 술을 따르시오.
5. 헌관 수 잔반 묘위전 읍거
獻官 受 盞盤 墓位前 揖擧
헌관은 잔을 묘위 앞에 공손히 받들어 올리시오
6. 전작 전우 묘위전 ■정저이
奠爵 奠于 墓位前 正箸移
전작은 잔을 묘위 앞에 올리시고 젓가락을 옮겨 놓으시오.
7. 헌관 소퇴 재배, ■강복위
獻官 少退 再拜 降復位
헌관은 조금 물러서서 두 번 절하고 제 위치로 돌아가시오.
○ 유식례(侑食禮)
1. 행 유식례
行 侑食禮
유식례를 올리겠습니다.
2 삼헌관 궤
三獻官 跪
삼헌관은 꿇어앉으시오.
3 봉작 봉 첨작 잔반
奉爵 奉 添酌 盞盤
봉작은 첨작 잔을 받드시오.
4 사준 작주
司罇 酌酒
사준은 잔에 술을 따르시오.
5. 초헌관 수 잔반 묘위전 읍거
初獻官 受 盞盤 墓位前 揖擧
헌관은 잔을 묘위 앞에 공손히 받들어 올리시오
6. 전작 각 묘위전 첨작 ■계반개 ■삽시
奠爵 各 墓位前 添酌 啓飯蓋 揷匙
전작은 묘위 앞에 첨작하시고 메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으시오.
7. 삼헌관 개재배
三獻官 皆再拜
삼헌관은 두 번 절을 하시오.
○ 진다(進茶)
1. 전작 봉작 철갱 ■진다 ■삼초반
奠爵 奉爵 撤羹 進茶 三抄飯
전작과 봉작은 갱을 물리고 숭늉을 올려 메를 세 번 마르시오.
참사원 일동 부복
參祀員 一同 俯伏
모든 참례자들은 부복하시오.
흥 ▷ 평신
興 平身
참례자들은 일어나서 바르게 서십시오.
○ 사신례(辭神禮)
1. 행 사신례
行 辭神禮
사신례를 올리겠습니다.
2. 삼헌관 묘위 전 궤
三獻官 墓位 前 跪
삼헌관은 묘위 앞에 꿇어앉으시오.
3. 전작 봉작 철시 ■복반계 ■하시저
奠爵 奉爵 撤匙 覆飯盖 下匙箸
전작과 봉작은 수저를 내리고 갱을 원상태로 놓고 메의 뚜껑을 닫으시오.
4. 삼헌관 급 참사원 일동 사신 재배
三獻官 及 參祀員 一同 辭神 再拜
삼헌관과 모든 참례자들은 함께 두 번 절을 하시오.
5. 국궁 배 →흥, ▷ 배 →흥, ▷ 평신
鞠躬 拜 興 拜 興 平身
절하시오. 일어서시오. 절하시오. 일어서시고 바로 서십시오.
6. 초헌관 묘위 전 궤
初獻官 墓位 前 跪
초헌관은 묘위 앞에 꿇어앉으시오.
7. 대축 봉 축판 ■분축 노상
大祝 奉 祝板 焚祝 爐上
대축은 축판을 받들고 나아가 향로 위에서 축문을 태우시오.
8. 예필 ■헌관 이하 출
禮畢 獻官 以下 出
이상 추향제를 모두마치겠습니다. 헌관과 참례자들은 물러서십시오.
※ 위의 홀기는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으로서 봉강재추향제 홀기로 꾸며보았으며, 성씨와 문중이나 지방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그 뜻은 대동소이한 것으로 알아두면 무방하다.
◉ 봉강재추향제 대축(鳳岡齋秋享祭 大祝)
維 歲次 干支 十月 干支朔 一日 干支 00代孫 00 敢昭告于
유 세차 00 시월 00삭 초하루 00 00대손 00 감소고우
顯始祖考 高麗 壁上三韓翊贊功臣 三重大匡 太師 府君之墓
현시조고 고려 벽상삼한익찬공신 삼중대광 태사 부군지묘
功存三韓 慶流百世 値玆孟冬 祗薦歲祭 顯始祖妣 配食 尙 饗
공존삼한 경류백세 치자맹동 지천세제 현시조비 배식 상 향
※ 생각하옵건데 해의 차례가 00년 시월 초하루가 되어
00손 00은 시조고이신 고려벽상삼한익찬공신 태사 삼중대광 부군의묘에 삼가고하나이다.
그 공적이 삼한에 빛남이 있고 경사는 백세에 유전하옵니다.
이에 첫겨울을 만나 해마다 행하는 제사를 공경하여 올리옵니다.
시조비와 함께 흠향하소서
◉산신축(山神祝)
維 歲次 干支 十月 干支朔 一日 干支 幼學 000 敢昭告于
유 세차 간지 시월 간지삭 초하루 간지 유학 000 감소고우
土地之神 恭修歲事于 始祖考 高麗 壁上三韓翊贊功臣 三重大匡
토지지신 공수세사우 시조고 고려 벽상삼한익찬공신 삼중대광
太師 府君之墓 惟時保佑 實賴神休 敢以酒饌 敬伸奠獻 尙 饗
태사 부군지묘 유시보우 실뢰신휴 감이주찬 경신전헌 상 향
※ 000은 시조고이신 고려 벽상삼한익찬공신 태사 삼중대광 부군의 묘에
해마다 행하는 일을 공경하게 닦사옵니다. 오직 상시로 묘를 지키고
도우시기를 실로 토지신께 의뢰하옵고 감히 주찬으로 공경히
펴어 올리오니 흠향하소서.
◉한식(寒食) 성묘 : 한식은 청명(淸明) 다음날로 동짓날로부터 계산해서 105일째 되는 날이다. 이 날은 예로부터 조상께 제사를 지내고 성묘를 가는 것이 관습 이였다. 한식이란 말은 옛날 중국에서 비와 바람이 심해서 불을 때지 않고 찬밥을 먹었다는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 이제(禰祭) : 계추(季秋)에 지내던 제사로서 계추란 음력 9월을 가리킨다. 전달 하순에 제사 지낼 날짜를 택일한 뒤, 제삿날을 맞으면 사흘 전 재계하고 하루 전 신위 모실 자리를 마련하고 제찬을 준비한다.
제삿날 동이 틀 무렵 일찍 일어나 제상을 진설한 뒤 제주 이하가 옷을 갈아입고 사당에 나아가 신주를 정침으로 모셔 내와 제사를 지낸다.
제사는 참신 강신 진찬 초헌 아헌 종헌 유식 합문 계문 수조 사신 납주 철상 준의 순으로 진행한다.
◉ 사당(祠堂) : 집을 지을 때에는 주인(主人)이 거처하는 방(正寢)의 동쪽에 사당을 짓고 이곳에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신다. 신주는 남향하여 서쪽으로부터 고조(高祖) 증조(曾祖) 조(祖) 부(父)의 순서로 감실(龕室) 안에 봉안한다. 사당이 있는 집은 종자(宗子)가 대대로 살면서 지키고, 아무에게도 팔거나 주지 않는다. 주인은 새벽에 일어나 사당을 찾아뵙고(晨謁禮), 외출하거나 밖에서 돌아오면 이를 또한 사당에 고한다.(出人禮), 또 정월 초하루나 동지,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사당에 참배해야 하고(參禮), 철마다 새로 나온 음식을 사당에 올리며(薦新禮), 집안 에 무슨 일이 발생하면 이를 사당에 고한다.(告祀禮)
◉전통 제례의 절차
영신 ㅡ> 강신 ㅡ>참신ㅡ> 초헌 ㅡ> 독축 ㅡ> 아헌 ㅡ> 종헌 ㅡ> 첨작 ㅡ> 삽시 장저 ㅡ>합문 ㅡ>계문 ㅡ> 헌다 ㅡ> 철시복반 ㅡ>사신 ㅡ> 철상 ㅡ> 음복.
◎전통제례 순서 및 해설
○ 영신(迎神) : 먼저 대문을 열어 놓는다. 제상의 뒤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지방(紙榜)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고례(古禮)에는, 출주(出主)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神主)를 모셔 내오는 의식이 있었다.
○ 강신(降神) :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제주(祭主)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어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 집사(執事)가 제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제주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빈 잔을 집사에게 다시 건네주고 일어나서 (재배 : 再拜)두 번 절하는 것을 강신이라고 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조상신에게 알리기 위함이고, 모사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 아래 계신 조상신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 참신(參神) :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사 자가 일제히 두 번 절한다. 신주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進饌)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 진찬 때는 주인이 육(肉) 어(魚) 갱(羹)을 올리고 주부가 면(麵) 편(餠) 메(飯)를 올린다.
○ 초헌(初獻) : 제주가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다.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붓는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그것을 받아서 메 그릇과 갱 그릇 사이의 앞쪽에 놓고 제물 위에 젓가락을 올려놓는다. 제주는 두 번 절한다.
잔은 합설인 경우 고위(考位) 앞에 먼저 올리고 다음에 비위(妣位) 앞에 올린다. 집안에 따라서는 술을 올린 뒤 메 그릇의 뚜껑을 연다.
○ 독축(讀祝) : 초헌이 끝나고 참사 자가 모두 부복하고 축관이 옆에 앉아서 축문을 읽는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되는데, 엄숙한 목소리로 천천히 읽어야 한다. 축문 읽기가 끝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한다. 과거에는 독축 뒤에 곡을 했다.
○ 아헌(亞獻) :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가 올린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절차는 초헌 때와 같으나, 향불에 세 번 돌리지 않아도 무방하며,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는다. 주부는 (사배 : 四拜)네 번 절한다.
○ 종헌(終獻) :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한다. 잔은 7부쯤 남게 세 번 기울여 부어서 올린다.
잔을 세 번 올리는 것을 부르는 의례 용어는 `삼헌'(三獻)이다.
적잖이 어려워 보이는 말이지만, 특별한 의미는 없다. `헌'이라는 것은 헌납·공헌 등 말에서 흔히 쓰는 "드린다" "바친다"는 뜻이니, 결국 술 석 잔을 올린다는 의미일 뿐이다.
첫잔 올리기, 다음 잔 올리기, 마지막 잔 올리기라는 뜻. 하지만 추석이나 설에는 한잔, 즉 한번만 올린다. 이를 단배(單拜) 또는 단잔(單盞)이라 한다.
○ 첨착(添酌) :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으면 집사는 술 주전자를 들어 다른 잔에 술을 조금 부어 종헌 때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 번 첨작(세 번 기울여 부음)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 삽시정저(揷匙正箸) :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메 그릇의 중앙에 꽂는다. 젓가락을 고른 뒤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히 옮겨 놓는다. 숟가락은 바닥 (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 한다.
○ 유식(侑食) : 첨작과 삽시정저의 두 절차를 통틀어 유식이라 하는데 이는 진지를 권하는 의식 이다.
○ 합문(闔門) : 참사 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기다린다. 대청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揖)한 자세로 잠시 기다린다. 단칸방의 경우에는 제자리에 엎드려 몇 분 동안 있다가 일어선다.
○ 계문(啓門) :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이다. 축관이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참사자 모두 뒤따라 들어간다.
○ 헌다(獻茶) : 갱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뒤 메 세 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고른다. 이 때 참사자는 모두 부복하고 잠시 동안 조용히 있다가 고개를 들고 일어난다.
○ 철시복반(撤匙覆飯)
숭늉 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고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 사신(辭神) :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사자가 신위 앞에 일제히 두 번 절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온다. 신주일 때는 사당으로 모신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 철상(撤床) : 제상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에서부터 차례로 물린다.
○ 음복(飮福) :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제복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아니 된다. 고례에는 준이라 하여 참사자 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 음식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했다.
◉ 현대식 제례절차 : 신위봉안 ㅡ> 초헌 ㅡ> 독축 ㅡ> 아헌 ㅡ> 종헌 ㅡ> 삽시 ㅡ> 헌다 ㅡ> 사신ㅡ>철상 ㅡ> 음복.
◎현대식 제례 순서
신위 봉안(神位奉安) 제상 위에 흰 종이를 깔고 제수를 진설한 뒤, 지방을 써서 붙인다. 제주가 분향 강신하고 난 뒤 제주와 참사자가 일제히 신위 앞에 두 번 절한다.
○초헌(初獻) 고인에게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술잔을 채워 두 손으로 받들고 향불 위를 거쳐 밥 그릇과 국 그릇 사이 앞쪽에 놓는다. 집사가 없이 제주 혼자서 해도 무관하다. 잔을 올린 뒤 두 번 절한다.
○독축(讀祝) 초헌이 끝나면 제주는 축문을 읽고 두 번 절한다. 축문을 읽는 동안 다른 참사 자들은 모두 꿇어 앉아 머리를 약간 숙이고 경건한 마음으로 듣는다.
○아헌(亞獻)축문 읽기가 끝나면 주부가 두번째 술잔을 올리고 네번 절한다.
○종헌(終獻) 제주의 근친자가 세 번째 술잔을 올리고 두 번 절한다.
○삽시(揷匙) 제수를 많이 드시라고 비는 의미로 숟가락을 밥에 꽂고 모든 참사자가 고개를 숙여 묵념한다.
○헌다(獻茶) 숭늉(혹은 냉수)를 국과 바꾸어 놓고, 수저로 밥을 조금씩 세번 떠서 물에 만 다 음 수저를 물그릇에 가지런히 놓고 잠시 국궁하고 서 있거나 읍을 하다가 일어난다.
○사신(辭神) 참사자 일동이 일제히 신위 앞에 큰절을 올린다. 안녕히 가시라는 작별의 인사를 드리는 것이다.
○철상(撤床) 지방을 거두어 축문과 함께 불사르고, 상을 물린다.
○음복(飮福) 참사자들이 제상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음복을 함으로써 조상님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俗信)이 있다.
◉ 지방 쓰는 법
기제사를 지내려면 지방(紙榜)을 써야 되는데 고위(考位)와 비위(妣位)를 어느 쪽으로 하느냐를 두고 보면, 생전(生前)에는 양(陽)으니까 남동여서(男東女西) 즉, 남좌여우(男左女右)이지만 사자(死者)는 음(陰)이니까 반대로 남서여동(男西女東) 즉 남우여좌(男右女左)로 모셔야하므로 서쪽에 고위(考位) 동쪽에 비위(妣位)를 쓰면 된다. 그리고 또 한 생전에는 양이 되고 돌아가신 후에는 음이 되니 생자와 사자는 상반된다고 생각하면 옳을 것이다. 생전에는 아버님을 부(父)라고 하지만 돌아가신 뒤 지방에는 고(考)라고 쓰며 어머님은 모(母)를 비(比)로 쓰면 된다.
즉 할아버님은 조고(祖考) 할머님은 조비(祖妣)로 쓰면 되고 벼슬이 없으면 학생으로 쓰고 관직이 있으면 그 관직을 쓰면 된다. 모(母)는 외명부로 남편의 관직을 그대로 쓰면 된다. 그리고 지방을 써 부쳤을 때에는 반드시 축문을 읽어야 한다.
◉ 축문 쓰는 법 : 축문은 신명(神明)께 고하는 글로서, 그 내용은 추모의 정과 간소하고 보잘 것 없는 제수(祭需)나마 흠향(歆饗)하여 주시리라는 의미를 담으면 된다.
※ (예 3월17일을 조부제사일로 보면)
維 歲次 乙酉 三月 癸亥朔 十七日 己卯 孝孫 敢昭告于
顯祖考府君 顯祖妣全州李氏 歲序遷易 顯祖考府君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 維 歲次干支 : 간지(干支)는 당년(當年)의 태세(太歲)를 말한다. 을해년이 면당년의 태세로 서 「乙酉」를 쓰게 된다. 그러므로 「維歲次乙酉」라고 쓰면 되는 것이다. 그 뜻은「이어 오는 해의 차례가 을유년으로 바뀌었다 」라고 하는 것으로 서 이 문구는 어떠한 축문 이든 그 당년의 태세만 바꿔서 옮겨 쓰면 된다.
○ 幾月干支朔 : 음력으로 제사를 맞은 달과 그 달의 초하루 일진을 쓰게 된다. 예를 들어 그 달이 3월이고, 그 달의 초하루 일진이 癸亥일 경우「三月癸亥朔」이라고 쓰면 된다.
○ 幾日干支 : 음력으로 제사를 맞은 날짜와 그 날의 일진을 쓰면 된다. 예를 들면 17일이 고하는 당일이 되고, 그 날의 己卯인 경우「十七日己卯」라고 쓰면 된다.
※ 關稱某 敢昭告于
○ 關稱 : 이는 제사를 받드는 신위에 대하여 자기와의 관계를 자칭(自稱)하는 것으로써 졸 곡(卒哭)전의 초종(初終)일 경우 아버지나 어머니 한 분이 먼저 돌아가시면「孤子」부모가 모두 사망하였을 경우에는「孤哀子」조부모의 상사에는「哀孫」조부모가 모두 사망하였을 경우에는「孤哀孫」이라고 쓰게 된다. 또한 졸곡 이후에는 부모 제사에「孝子」조부 모의 제사에는「孝孫」증조부의 제사에는「孝曾孫」고조부모의 제사에「孝玄孫」이라고 쓴다. 다만「孝」자를 쓰는 것은 종자(宗子)의 경우에만 한(限)한다. 남편의 제사에는「主 婦」아내의 제사에는「夫」라고 각각 쓴다.
○某 : 이는 고하는 사람, 다시 말하여 제사를 받드는 사람의 이름을 쓴다. 이름이 석봉 이면 「석봉」이라고 쓰며, 婦는 이름을 쓰지 않는다.
○ 敢昭告于 : 이는「삼가 고하나이다」라는 뜻으로, 제위가 존장(尊長)인 경우에 쓰게 된 다. 처(妻)인 경우에는「敢」자를 버리고「昭告于」라고만 쓰며, 아우 이하 의 비유(卑幼)인 경우는 그대로「告于」라고만 쓴다.
※ 顯某親某關府君
○ 顯某親 : 이는 제위에 대한 경칭어(敬稱語)로써 아버지에 대해서는「顯考」라 쓰고, 어머니에게는「顯妣」라 쓴다. 그리고 조부에는「顯祖考」조모에는「顯祖妣」처(妻)에는「故室」또는「亡室」아랫사람인 경우는「顯」자를 「亡」자로 바꿔 쓴다.
아들인 경우 「亡子秀才某」라고 그 붙이에 따라서 쓰면 된다.
○ 某官은 제위의 벼슬에 따라서 쓰는데, 벼슬이 없을 때에는「學生이나 處 士, 유림에서 인정이 되어야 처사로 씀」라고 쓰면 된다. 안제사(內祭)일 경우는 남편의 벼슬이 있으면 이에 따라 봉해서 쓰는 것인데, 벼슬이 없으면 그대로「孺人」이라고만 쓴다. 손아랫사람인 비유(卑幼)의 경우에는 쓰지 않는다.
○ 府君은 남자상이나 제사에는 그대로 옮겨 쓰면 되고, 여자인 경우에는 성씨의 본 즉, 관향(貫鄕)과 성씨를 쓰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안이씨이면 「延安李氏」라고 쓰면 된다. 손아랫사람에게는 쓰지 않는다.
○ 축문해설
유 세 차(維 歲 次) : 해의 차례가 이어 온다는 뜻이다.
간 지(干 支) : 태세, 월진, 일진의 육십갑자를 말한다.
기월모일(幾月某日) : 몇 월, 며칠이라는 뜻이다.
효 자(孝 子) : 맏아들이라는 명칭이다.
감소고우(敢昭告于) : 밝혀서 고한다는 뜻이다.
삭(朔) : 초하루라는 뜻이다.
현고부군(顯考府君) : 부모를 뜻하며 존칭하는 말이다.
근 이(謹 以) : 정성을 다한다는 뜻이다.
청작서수(淸酌庶羞) :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드린다는 뜻이다.
상 향(尙 饗) : 흠향 하십시오 라는 뜻이다.
세서천역(歲序遷易) : 세월이 흘러 바뀌었다는 뜻이다.
휘일부림(諱日復臨) : 돌아가신 날이 다시 오다.
처와 아우 이하에는「亡日復至(망일부지)」라 쓴다.
망일부지(亡日復至) : 죽은 날이 돌아오다.
호천망극(昊天罔極) : 넓은 하늘과 같이 부모의 은혜가 크다는 뜻이며,
부모기제사축에 사용한다.
불승영모(不勝永慕) : 영원하신 조상님의 은혜가 크다는 뜻으로 조부 이상의 기제사에 사용한다. 오래도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함
불승감창(不勝感愴) : 방친일 때에 쓴다. 슬픈 마음을 이기지 못한다는 뜻
부자승감(不自勝感) : 스스로 많은 느낌을 이기지 못한다.
추원감시(追遠感時) : 돌아가신 때를 맞아 진정으로 감동한다는 뜻이다
유시보우(維時保佑) : 천신께서 보호하여 주신다는 뜻이다.
실뢰신휴(實賴神休) : 신령님의 은혜를 받는다는 뜻이다.
정하비통(情何悲痛) : 슬프고 아픈 정을 어찌할 바 모른다는 뜻
정하가처(情何可處) : 정을 어디에 비길 곳이 없다는 뜻
심훼비념(心燬悲念) : 마음은 불타는 것 같고 비통함이 한량없다는 뜻
기서류역(氣序流易) : 절기가 바뀌었다는 뜻이다.
성상재회(星霜載回) : 묵은해가 넘어갔다는 뜻이다.
첨소봉영(瞻掃封塋) : 선조의 산소를 깨끗이 단장한다는 뜻이다.
불승감모(不勝感慕) : 조상님 사모와 감회의 정을 이기지 못 한다는 뜻
우로기유(雨露旣濡) : 봄이 되어 비와 이슬이 내린다는 뜻이다.
초목기장(草木旣降) : 풀과 나무에 잎이 무성하다는 뜻이다.
백로기강(白露旣降) : 찬 이슬이 벌써 내렸다는 뜻이다.
생신부우(生辰復遇) : 돌아가신 부모님의 생신날이 다시 돌아왔다는 뜻
존기유경(存旣有慶) : 살아계셨더라면 경사스러운 날이라는 뜻이다.
몰녕감망(沒寧敢忘) : 돌아가셨지만 편안하신지 잊을 수가 없다는 뜻이다.
요급회갑(邀及回甲) : 회갑 날을 맞이하였다는 뜻이다
생시유경(生時有慶) : 살아계실 때와 같이 경사를 베푼다는 뜻이다.
상로기강(霜露旣降) : 찬 서리가 이미 다 내렸다는 뜻이다.
금이초목(今以草木) : 풀과 나무를 뜻하는 말이다
※ 설. 추석이나 춘. 추향 시에 주로 아래와 같이 쓴다.
正月 - 세율기경(歲律旣更)
청양재회(靑陽載回)
봄 - 우로기유(雨露旣濡)
단오 - 시물창무(時物暢茂)
초목기장(草木旣長)
추석 - 백로기강(白露旣降)
十月 - 상로기강(霜露旣降)
◉ 배례법(拜禮法)
(1)읍례(揖禮) 및 굴신례(屈身禮)의 의미
읍례는 장소관계나 기타 사정으로 절을 해야 할 대상에게 절을 할 수 없을 때에 간단하게 공경을 나타내는 행위이며 읍례는 간단한 예의 표시일 뿐 절은 아니므로 밖에서 읍례를 했더라도 실내나 절할 수 있는 장소에 들어오면 절을 해야 한다.
(2) 읍례와 굴신례의 구분
① 상읍례-자기가 읍례 했을 때 답례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들에게 의식행사에서 행한다.
② 중읍례-자기가 읍례 했을 때 답례를 해야 하는 어른에게와 같은 또래와 행한다.
③ 하읍례-어른이 아랫사람의 읍례에 답례할 때 행한다.
④ 굴신례-남자의 읍례대신 여자가 하는 굴신례는 상중하의 구분이 없이 허리를 약간 앞으로 굽히기만 하면 된다.
(3)절의 구분
① 큰절-계수배(稽首拜)-절할 대상은 상읍례와 동일하다.
② 평절-돈수배(頓首拜)-대상은 중읍례와 동일하며 큰절과 거의 같으나 큰절 때 눈높이 까지 올리던 공수한손을 가슴까지만 올리는 것과 공수한 손등에 이마가 닿으면 바로 일어나는 것이 평절이다.
③ 반절-공수배(控首拜)_대상은 하읍례와 동일하며 평절과 흡사하다. 공수한손을 바닥에 대고 무릎꿇은 자세에 엉덩이와 머리까지 수평이되게 엎드렸다가 일어나는 절이다. 보통 3가지를 행하고 있다.
④ 고두배(叩頭拜)라는 임금에게 하는 절은 현재 왕이 없으니 할 수도 없지만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 기록하여본다. 고두배는 한번 절할 때 공수한손을 풀어서 양손을 벌려서 바닥에 짚고 이마를 바닥에 세 번 두드리고 갓을 썼을 시는 창이 세 번 닿게 하였다.
(4) 여자의 절
① 큰절-숙배(肅拜)-절할 대상은 상읍례와 같다. 숙배는 원래 무장한 군인들이 진중에서 군례(軍禮)를 할 때 하던 절인데 이것이 여자의 큰절로 행해지고 있다. 순서는 공수한손을 어깨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리고 고개를 숙여 이마를 공수(맞잡은)한손에 대고 엄지안쪽으로 바닥이 보이게 한 다음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도 같이 하고 왼발이 아래 오른발이 위에가게 포개고 발꿈치는 벌리고 엉덩이로 눌러 앉는다. 윗몸을 반(45도)쯤 앞으로 굽힌다.(이때 이마가 손등에서 떨어져서는 안된다. 몸을 깊숙이 숙이지 못하는 것은 머리에 얹은 장식이 쏟아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 다음 오른 무릎을 먼저 세워서 일어나면서 왼발을 오른발과 가지런히 모으고 공수한 손을 내리며 고개를 바로 한다.
② 평절-평배(平拜)-절할 대상은 중읍례와 같으며 평절은 원래 중국의 큰절이었는데 우리나라의 큰절보다 수월하므로 평배로 쓰인다. 순서는 공수한손을 풀어서 양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려 왼쪽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발이 아래가 되게 포개며 뒤꿈치는 벌리고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아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 모아서 손끝이 양 밖으로 향하며 무릎과 가지런히 바닥에 대고 윗몸을 반쯤 굽히며 양손바닥을 바닥에 대고 잠시 있다가 오른 무릎을 먼저세우고 손바닥을 바닥에서 때며 일어나 양발을 가지런히 모아 공수하며 원자세를 취한다.
③ 반절-반배(半拜)_절할 대상은 하읍례에 준하며 평절을 약식으로 하면 되는데 답배해야 할 대상이 많이 낮은 사람이면 남녀 모두 앉은 채로 두 손을 바닥에 짚는 것으로 답배하기도 한다.
(5) 남자의 절 및 순서와 예절
① 절은 서 있는 자세에서 출발하고, 그 자세로 끝난다. 이 자세를 흥(興)이라 하며 "일어 서 있다"는 뜻이 된다.
② 서 있는 상태에서 들어가는 절의 첫 순서는 읍(揖)이다. 양 팔을 눈높이까지 모아 쥐는 행동이 그것 동양의 독특한 인사 법 중 하나이다.
③ 다음에는 모아 쥔 양 팔을 바닥에 내리면서 꿇어앉는다. 이것을 전례용어로는 궤(跪)라 한다. "꿇어 앉는다"는 뜻의 한자말이다.
④ 꿇어앉은 뒤에도 두 손을 계속 모아 쥐고 왼발이 아래 오른발이 위가 되며 뒤꿈치는 벌리고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다.
⑤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엎드린 다음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살짝 닿도록 하고, 모자나 갓을 썼을 시는 창이 손등에 닿게 한다.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드는데 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된다. 그다음 일어나 기 즉 흥은 역순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여기까지가 절을 한자로 쓴 배(拜)의 순서이다.
⑥ 신(神)이나 어른들께 절할 때, 절하는 쪽은 생자(生子)이니 남좌여우로 서면된다. 그리고 결혼식장에서 신랑신부가 서는 위치도 이와 같다고 알아두면 무방할 것이다.
⑦제주와 참사자의 위치는 종자나 참사자중 고인과 제일 가까운 사람이 제주가 되며, 제주는 중앙에 서고, 그 줄 서쪽으로는 남자들이 차례로 서고 동쪽으로는 여자들이 서는데, 중앙에서 멀어 질수록 고인과 촌수가 멀어지는 것이 원칙이지만, 요즘은 아무렇게나 서서 제사를 지내는 사람도 없잖아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여기서도 남좌여우나 남자들만 제사를 봉행할 경우 좌상우하로 서면 무방하다. 그리고 미리 아헌. 종헌 할 사람과 좌. 우집사를 정하여두면 질서정연하게 제사를 지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⑧ 공수(拱手)와 취족(聚足) 설날 세배시에나 어른들께서 덕담이나 훈시를 할 시에는 두 손을 배꼽위치에 합치어 살며시 잡는 것을 공수(拱手)라하며, 또한 배례(拜禮)시에 있어, 길사(吉事)에서 남자는 좌수(左手)가 우수(右手)위에 포개 잡으며, 여자는 반대로 우수가 위에 오게 되고, 상례(喪禮)에서는 흉사(凶事)이기에 남자는 우수가 좌수위에 합쳐야 하며, 여자는 반대로 좌수가 위에 오게 된다. 또한 길사(吉事)에서 절 할 때의 발의 위치는 발끝을 모우는 것을 취족(聚足)이라하며, 절 할 때 우족(右足)이 좌족(左足)위에 포개고 흉사에서는 반대이다. 공수와 취족은 공경(恭敬)의 뜻을 나타낸다.
⑨ 길사(吉事)와 흉사(凶事)의 구분 : 집안에 상(喪)을 당하면 그때부터 흉사다. 그 이후 졸곡(약100일)까지를 흉사로 보고, 그 이후는 길사로 보면 된다. 제사나 묘사는 길사에 해당된다.
◉ 제기와 제구 : 제사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제기와 제구는 평소에 일정한 곳에 모두모아 두었다가 제사 전날 꺼내 깨끗이 닦아 쓰도록 한다.
제상(祭床) : 제수를 진열해 놓는 상
교의(交椅) : 신주나 혼백 함을 올려놓는 의자
향탁(香卓) : 향로와 향합을 올려놓는 작은 상
병풍(屛風) : 글씨로 된 병풍으로 준비하여 제상 뒤에 친다.(혼례나 회갑 그리고 생일잔치 등 경사에서 병풍을 그림 쪽으로 한다.)
돗 자 리 : 두 장중 하나는 제상 밑에 깔고, 다른 하나는 제상 앞에 깐다.
향로(香爐) : 향을 피우는 작은 화로
향합(香盒) : 향을 담는 그릇
모사기(茅沙器) :모래와 띠의 묶음인 모사를 담는 그릇, 보시기 같이 생겼다.
촛대(燭臺) : 두 개를 준비한다.
주독(主櫝) : 신주를 모시어 두는 나무 궤
신주(神主) : 죽은 사람의 위패(位牌), 고인의 위(位)를 모시는 나무패로서 대개 밤나무로 만든다. 길이는 8치(약 24㎝), 너비는 2치(약6㎝)정도 나무 대신 종이로 만든 신주를 지방(紙榜)이라 한다.
축판(祝板) : 축문(祝文)을 올려놓는 판
변 (籩) : 실과와 건육을 담는다. 원래 대나무로 굽을 높게 엮어 만든다.
두 (豆) : 김치 젓갈 등을 담는 제기, 굽이 높고 뚜껑이 있다.
병대(餠台) : 떡을 담는 제기, 윗 판은 사각형
적대(炙台) : 적을 올리는 제기, 나무로 만들고 발이 달렸다.
조 (俎) : 고기를 담는 제기, 나무로 된 발이 달린 것, 윗 판은 직사각형
탕기(湯器) : 국을 담는 제기
시접(匙楪) : 수저를 올려놓는 제기
주주(酒主) : 술 주전자
주병(酒甁) : 술병
주배(酒杯) : 술잔 잔대(잔 받침)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잔반(盞盤) : 술잔과 밑에 바치는 받침대
퇴주 그릇 : 헌작한 술을 물릴 때 따라 붓는 그릇
◉ 제복(祭服) : 전통 제례 때 남자는 흰 도포나 두루마기에 유건(儒巾)을 썼으며, 여자는 흰색이나 연한 옥색(사치스럽지 않는 옷) 치마저고리를 입었으며, 금은 패물은 지니지 않고 제를 봉행한다. 안경도 벗는 집안도 있으나, 어디까지나 안경은 사치품이아니라 두 눈을 보호하는 물건이기에 쓰고 해도 무방하다. 요즘은 한복을 입지 않고 평상복이나 정장으로 입되 될 수 있는 한 새 옷이나 깨끗이 세탁한 옷으로 갈아입는 것이 조상에 대한 예의다. 예전에는 기일아침 일직 정안수로 머리를 감고 세수를 하고 옷을 갈아입고 몸단장부터 하고난 후에 제수를 청결하게 조리하였던 것을 보면 조상에 대한 지극한정성을 알 수가 있다.
◉ 제수 : 제사에 쓰이는 제물을 말하며 제찬(祭饌)이라고도 한다. 제찬에는 고춧가루와 마늘등 양념을 하지 않는다. 제수 음식 장만은 형식에 치우치기보다 정성스럽게 형편에 맞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복숭아와 꽁치 갈치 삼치 등 끝자가 치자로 된 것은 쓰지 않는다.
메 (飯) : 밥, 추석 제사에는 송편으로 연시제(설)에는 떡국으로 대신한다.
면 (麪) : 국수
편 (餠) : 떡(설기는 안 하고 백편으로 한다.)
삼탕(三湯) : 육탕(肉湯), 소탕(素湯), 어탕(魚湯)
삼적(三炙) : 육적(肉炙), 소적(素炙), 어적(魚炙)
채소(菜蔬) 및 숙채(熟菜) : 삼책 나물(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침채(沈菜) : 동치미
청장(淸醬) : 간장
식혜(食醯) : 젓갈
포 (脯) : 북어, 건대구, 건문어, 건전복, 건상어, 육포 등
갱 (羹) : 국
유 과 류 : 약과, 산자(흰색), 강정(검은 깨)
당속(糖屬) : 흰색 사탕(오화당, 옥춘, 원당, 빙당, 매화당)
다식(茶食) : 녹말다식, 송화다식. 흑임자다식
정과(正果) = 전과(煎果) : 연근정과, 생강정과, 유자정과
과실(果實) : 대추, 밤, 배, 감(곶감), 사과
제주(祭酒) : 청주
경수(庚水) : 숭늉
※ 적(炙)과 전(煎) : 적은 불에 굽거나 찐 것을 말하며, 전은 기름에 찌지거나 튀긴(찌짐) 것을 말한다.
◉ 제수의 진설(제수 진설의 일반 원칙) : 제수의 진설은 각 지방의 관습이나 풍속, 그리고 가문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그래서 가가례(家家禮)라고도 하며 "남의 제상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하고 참견 말라"는 풍자적인 말까지 나오게 된 것이다.
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아 오른쪽을 동(東), 왼쪽을 서(西)라 한다. 진설의 순서는 제일앞줄에 과일, 둘째 줄에 포와 나물, 셋째 줄에 탕(湯), 넷째 줄에 적(炙)과 전 (煎), 다섯째 줄에 메와 갱을 차례대로 놓는다.
※참고로 대추는 씨가 하나이기에 임금을 뜻하거나 다산하라는 뜻, 밤은 세 톨이기에 삼정승을 뜻하며, 감이나 곶감은 6개로 육방관속을, 배나 사과는 8개로 8도 관찰사를 뜻함으로 조율시이로 쓰는 집안이 많다. 그리고 진설순서는 시접과 잔반을 제일먼저 올린 뒤 앞줄(과일)좌측부터 차례대로 진설한다.
조율시이(棗栗枾梨) : 왼쪽부터 대추, 밤, 감, 배의 순으로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생동숙서(生東熟西) : 김치는 동쪽에, 나물은 서쪽에
서포동혜(西脯東醯) : 포는 왼쪽에, 젓갈은 오른쪽에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두서미동(頭西尾東) : 생선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건좌습우(乾左濕右) :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반동잔서(盤東盞西) :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우반좌갱(右飯左羹) : 메는 오른쪽에, 갱은 왼쪽에
노서합동(爐西盒東) : 향로는 서쪽, 향합은 동쪽
남좌여우(男左女右) : 제상의 왼쪽은 남자(考位), 오른쪽은 여자(妣位)
◉ 상례철차(喪禮節次)
◎상례절차
○임종(臨終)병자가 오랜 병이나 불의의 사고로 운명이 임박했다 싶으면 직계 존비속과 모든 근친이 모여서 운명의 시각을 기다린다. 유언이 있으면 듣고 기록한다.
○속광(屬纊)가벼운 면이나 우모를 코와 입가에 붙여 완전 절명을 확인한다. 수족의 맥박이 완전 정지 진시, 정확한 운명시간 기록한다.
1.수시(收屍)수시란 사람이 운명하면 얼굴과 수족들을 바로 잡아 거두는 것을 말하며, 백지나 솜으로 코와 귀를 막고, 눈을 감기고 입을 다물게 한 뒤 머리를 높게 괴고 양손은 배위에 놓고 다리는 바르게 하고 관위에 시체를 눕히고 홑이불로 덮은 뒤 시상으로 옮겨 병풍을 거꾸로 세워 바람의 침입을 막고 그 앞에 고인의 사진을 모시고 촛불을 밝히고 분향한다.
2. 발상 (發喪)수시가 끝나면 가족은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고 근신하며 애도하며, 맨발이나 머리 푸는 것은 아니하고 호곡은 삼가 한다. 발상은 초상을 발표하는 것인데 근래에는 장례의 제반절차와 필요한 물품을 상비하고 있는 장의사가 있어서 검은 줄을 친 장막을 벽에 쳐놓는 다든가 근조(謹弔)라고 쓴 등을 달거나 기중(忌中)이라고 쓴 네모진 종이를 대문에 붙여서 초상을 알리고 있다.(옛날에는 고복(皐復)이라고 하여 지붕위에 올라 초혼하고 맨발에 머리를 풀고 호곡을 하였다.) 부상에는 좌단(左袒-왼 소매에 팔을 꿰지 않고 뒤로 젖히는 것)을 하고 모상에는 우단을 한다.
분상(奔喪) : 객지에 나간 앋들이 부모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으면 즉시 곡을 하고 빨리 집으로 돌아오는데 이것을 분상이라 한다. 예전에는 도중에도 곡을 하였다.
3. 상제 (喪制)사망자의 배우자와 비속은 상제가 된다. 상주는 장자가 되고 장자가 없으면 장손이 되며, 장손도 없으면 차자나 차손이 승중 하여 상주가 된다. 자손이 없으면 최근친자가 상례를 주관한다. 장자가 사망하면 아비, 아비 없는 장손이 사망하면 조부, 시부 없는 장 손부 사망 시에는 시조부가 주상이 된다. 복인(服人)의 범위는 고인의 8촌 이내 친족으로 한다.
4. 호상 (護喪)치상 범절을 총괄할 사람. 복친 이외 친족이나 망인의 친우 중 덕망 있는 분을 사전에 허락을 받는다. 복친 이외의 친척들이 모든 절차를 신속 처리하기 위해 주상은 상중에 호상소를 마련하고 장례에 관한 안내, 연락, 조객록, 사망신고, 화장. 매장 허가신청, 등을 다루도록 한다. 호상이란 상주를 대신해서 장례에 대한 모든 일을 다스리는 사람이다. 그밖에도 서기를 두어 조문객의 내왕, 비용지출 등의 기록 사무를 처리하도록 한다.
일반으로 족친 중에 연치와 덕망이 높고 경험이 많은 분으로 정하나 족친이 없으면 친지나 타성씨라도 예절에 밝은 분이면 무방하다.
①집례(執禮): 예절에 식견이 있는 사람, 호상과 치상범절을 상의하여 처리 및 조객의 영송 접대 관장한다.
②축(祝): 문필(文筆)을 겸비한 족친으로 한다.
③사서(司書): 서역에 능한 사람. 부고발송. 조객록. 명정. 복제도 등 관장하며 부모상 이상은 책면에 애감록(哀感錄)이라 쓰고 처상이하는 조위록(弔慰錄)이라 쓴다.
④사화(司貨): 계산에 능숙한 사람. 치상 경비 등 상중 장례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고 조객의 부의록을 정리한다.
⑤조빈(造殯): 인근에 거주하는 친지 중에 공예에 조예가 있는 분을 정하여 빈소를 짓게 한다.
⑥돈장(敦匠): 목공에 조예가 있는 분을 택하며 목공이 관곽을 제작할 때 감시 감독한다.
○ 장례 물품 준비(葬禮 物品 準備)
①폐백(幣帛): 玄, 纁 각 1단씩으로 한다. 현은 짙은 청색 비단 3자(하늘 상징), 훈은 붉은색 비단 3자(땅을 상징) 폭 7cm정도로 차곡차곡 접어 백지로 한가운데를 봉하고 근봉이라 쓴다.
②명정(銘旌): 진홍색 비단을 관 길이만큼 끊어 끝을 감치고 세죽을 끼워 기간에 종으로 단다. 지명정 및 관상명정과 같이 쓴다.
③공포(功布): 면포를 1m정도 끊어 명정과 같이 기간에 단다. 하관시 관을 닦는다.
④삽선(翣扇): 운삽, 아삽이 있다.
⑤구의(柩衣): 백색 생주로 관이 적당히 덮일 만큼 방장처럼 만든다. 백지로도 한다.
⑥도광포(塗壙布):광중의 전후좌우에 바르는 생주. 백지로 만들기도 한다.
⑦정관승(正棺繩)과 밀랍(蜜蠟):하관시 관의 향좌을 점검하는 자재
⑧하관척(下棺尺):구의를 씌우고 삽선을 넣을때 사용하는 죽편. 약 50cm
⑨죽간(竹竿): 명정, 삽선, 공포, 조기, 만시 등을 달고 가는 장대. 3m
⑩금정(金井): 송목 각재로 만들며 관이 여유있게 들어가도록 한다.
⑪횡판(橫板): 하관 후 금정 위에 덮는 후판재. 5개 정도 홀수
⑫조광척(造壙尺): 치광할 때 쓰고 버리는 것이다.
⑬천막(天幕): 정상막. 접객소(시도소), 광상, 우천 시 사용
⑭양회(洋灰) 세사(細沙), 자갈: 횡판 위에 반사회를 쓸 때 필요
⑮혼교(魂轎. 靈輀): 혼백을 모시고 갈 가마
⑯상여(喪輿): 관을 실어서 메고갈 기구
⑰밧줄: 경사 급한 장지의 운상 시 사용
5. 부고 (訃告)당고연락(當故連絡) 부고와 계기가 있으나 근래에는 전화, 전인, 전보, 신문게재 등으로 연락한다.
6. 염습 (殮襲)염습 이란 시체를 깨끗이 닦고 수의를 입히는 일이다. 근래에는 이런 일들을 전문으로 하는 장의사나 관련단체에서 대행을 하는 일이 많으나 방법을 알고 있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사망자가 여자인 경우는 이런 일들은 여자가 하는 것이며 목욕시킨 물과 수건은 땅속에 묻고, 그 외 입었던 옷가지 들은 소각장에서 소각하는 것이 좋다. 수의(壽衣)는 속바지. 속적삼. 깨끗한 겉옷 순으로 갈아입힌다. 우리의 풍속에는 소염과 대렴으로 나누어 행하였다. 소염은 사망한 이튼 날 아침에 몸을 닦고 수의를 입히는 일이며 대렴은 사망한 사흘째아침에 입관하는 것을 말한다. 수의는 하나하나씩 입히기가 어려우므로 미리 여러 가지의 옷을 겹쳐서 아래옷부터 웃옷 순으로 입히고 옷고름은 매지 않으며 옷깃은 산사람과 반대로 오른편으로 여민다.
○ 습의하고 소렴하는 절차(襲衣, 小斂 節次)
①목욕(沐浴): 향탕과 욕건으로 시신을 깨끗이 닦는다.
②습의(襲衣): 상하 내의, 상하의, 버선, 겉옷, 띠, 복건, 행전, 신을 차례로 입히고 악수를 싸매며 충이, 충비를 꽂는다.
③반함(飯含): 맏상주를 위시하여 연령순으로 행한다. 시신의 입 왼쪽, 오른쪽, 가운데 순으로 진주 한개, 쌀 조금씩 넣는다.
④명모(瞑帽)를 덮는다.
⑤방령(方領)을 턱 밑에 받친다.
⑥소렴금(小斂衾)으로 곱게 싸고 小斂布로 묶는다.(5폭)
⑦습렴(襲斂): 입관의 모든 절차는 근친 복친이 한다. 행사동안 곡을 하지 않고 소렴 후 잠시 통곡한다.
⑧시신안치(屍身安置):제자리에 안치하여 홑이불을 덮고 병풍을 친다.
⑨소렴전(小斂奠):혼백상과 미음 한 그릇을 놓고 근친이 헌작한 후 일동 재배한다.
○ 렴습자재 준비(斂襲資材 準備)
가. 외간상(外艱喪)
①수의(壽衣):연로한 사람은 미리 준비
②상의(上衣):속저고리, 웃저고리
③하의(下衣):속바지, 버선, 행전, 허리끈, 다님
④겉옷 : 두루마기, 도포, 큰 띠, 유건
나. 내간상(內艱喪)
①상의(上衣):저고리(녹색), 속저고리
②하의(下衣):바지, 속바지, 치마(홍색), 버선
③겉옷: 袖衣 또는 원삼, 조바기
④수식(首飾): 비녀
○ 렴기구 준비(斂器具 準備)
①향탕(香湯): 시신의 목욕에 쓰는 것
②욕건(浴巾): 깨끗한 베수건 2개(상․하체용)
③반함기구(飯含器具): 패각 또는 엽전 쪼갠 것, 쌀 불린 것, 버드나무 숟가락
④방령(方領): 턱 밑에 받치는 명주에 솜을 넣어 장방형으로 만든 것
⑤충이․충비(充耳․充鼻):귀와 콧구멍 막는 것, 명주에 솜을 싸서 만듬,
⑥명모(瞑帽): 명주로 얼굴이 덮히도록 네모로 만든다.
⑦악수(握手): 깨끗한 면으로 만든 장갑
⑧발낭(髮囊): 모발을 넣는 주머니
⑨조낭(爪囊): 시신 목욕시 손톱, 발톱을 깎아 넣는 주머니. 좌우수, 좌우족 4개를 만든다.
⑩치낭(齒囊): 평소에 빠진 이를 담는 주머니
⑪신: 베에다 종이를 붙여 만든다.
⑫소렴금(小斂衾): 시신을 둘러싸는 이불. 넉넉하게 만든다.
⑬소렴포(小斂布): 마포 또는 명주 한필
⑭기타(其他): 돗자리, 칼, 소렴척 등을 준비한다.
○ 대렴(大斂), 입관(入棺)하는 자재 준비
①대렴금(大斂衾): 소렴금처럼 만든다.
②대렴포(大斂布): 소렴포와 같다
③침(枕): 두부에 베이는 것, 겹베로 얄팍하게 만든다.
④지요: 관 바닥에 까는 것
⑤천금(天衾): 시신 위에 덮는 것
⑥관(棺): 목질이 좋은 두꺼운 송판으로 만든 것. 겉은 옻칠 또는 염색과 도료로 방부 처리
⑦棺 받침: 관 밑에 받치는 토막나무 2개
⑧棺 싸는 白紙: 입관 후에 관을 싸는 종이
⑨도관포(塗棺布): 관 내면에 바르는 베. 백지로 대용
⑩棺 묶는 노끈, 거적, 새끼 등을 마련한다.
⑪백분(白粉)과 아교(阿膠), 붓: 관상명정을 쓰는 자료
7. 입관 (入棺)대렴과 입관(大斂, 入棺) 두 가지 절차를 동시에 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대렴은 생략하기도 한다. 운명 후 24시간이 지나면 염습을 하고 입관을 하는데 입관 할 때에는 관벽과 시신사이의 공간을 깨끗한 백지나 마포(麻布)로 채워 시신이 관속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한 다음 홑이불로 덮고 관 뚜껑을 덮어 고정한다. 그리고 관상명정(棺上名旌)을 쓴 다음에 장지(壯紙)로 싸고 노끈으로 결관(結棺) 한다. 병풍을 거꾸로 세워 바람의 침입을 막고 그 앞에 고인의 사진을모시고 촛불을 밝히고 분향한다.
①관을 적당하게 놓고 천개를 연다. 미리 도관포 또는 백지를 내부에 바른다.
②관 안에 지요를 깐다.
③대렴포를 적당히 5폭으로 끊어 횡으로 걸친다.
④대렴금을 펴고 시신을 안치하여 덮는다.
⑤대렴포로 시신을 묶는 것이 원칙이나 그냥 덮어도 된다.
⑥五囊 및 齒囊을 관 안에 넣는다.
⑦補空: 옷이나 화장지 등으로 공간을 채운다.
⑧천금을 덮고 천개판을 덮는다.
⑨관상 명정을 쓴다.
⑩백지로 관을 둘러싸고 간격이 고르게 다섯 곳을 노끈으로 묶는다.
⑪거적으로 관을 싸고 새끼로 묶는다.
⑫대렴전(大斂奠): 관을 제자리에 안치하고 홑이불을 덮고 병풍을 두른다. 헌작과 배례는 소렴과 같다.
⑬지명정(紙銘旌):백지를 관길이만큼 관상명정과 같이 써서 걸어둔다.
8. 영좌 (靈座)입관한 후에는 병풍이나 가리개로 가려놓고 따로 정결한 위치에 영좌를 마련하여 고인의 사진을 모시고 촛불을 밝히고 향을 피운다. 영좌의 오른쪽에 명정(銘旌)을 만들어 세운다. 영좌 앞에 탁자를 마련하여 간단한 과실과 술잔을 차려놓고 조석으로 평시와 같이 봉양하되 생전에 사용하던 물건도 진설한다.
○ 혼백, 혼상(魂帛, 魂箱)
①혼백은 가주라고도 하며 신주를 만들어 모실 때까지 혼령이 의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②혼상은 혼백을 넣어 모시는 그릇으로 4각종이 상자를 말한다.
9. 명정(銘旌)명정쓰기(例) 문학박사 밀양박공 지구(文學博士 密陽朴公 之柩)
※ 참고로 망령의 호칭은 사무관, 군인계급, 00박사, 교장, 소설가, 도예가, 가수, 배우, 독농가, 상업인 등을 쓸 수 있을 것이다.
10.상복(喪服).제복(製服) 상주와 복인의 복제는 제복, 굴관, 질, 대, 장 등 복잡한 재단법이 있으나 생략한다.
○상주:생면포(집베) 상하의, 두루마기, 생면포 직령, 두건, 행전착용, 마승 띠(내간상시 8Cm 마포띠), 짚신, 죽장(내간상시 동장 또는 류장)
○복인 : 백색주의 또는 도포에 생면포 두건, 띠폭의 광협으로 복의 경중 구분 한다.
○효건(孝巾)은 두건을 말하며 삼베로 만든 건이다.
○굴건(屈巾)은 수질에 달아서 효건 위에 씌우는 것으로 베에 종이를 붙이고 그사이에 칡을 넣어 주름을 세게 잡아 만든다.
○수질(首絰)은 머리에 매는 새끼띠이며 짚으로 만든다.
○요질(腰紩)은 허리에 매는 새끼띠이며 작은 끈을 양끝에 달아서 맨다.
○중단의(中單衣)는 최복(衰服)을 받쳐서 입는 것이 보통이다.
○최복(衰服)은 속칭 제복이라고도 하며 상주가 겉에 입는 옷이다.
○상장(喪杖)은 부상에 상제들이 짚는 지팡이로서 참최(斬衰)는 대나무로 다섯마디에 허리까지 길이이며 제최(齊衰)는 모친상에 짚는 것으로 오동나무나 버드나무로 밑은 모나게 하고 위는 둥굴게 만든다.
○행전(行纏)은 다리에 끼워 매는 것을 말한다.
○신(履)은 상제들이 신는 짚신이다.
○최상(衰裳)은 여자들이 입는 삼베로 만든 치마이다.
○설빈(設殯):관을 안치한 방 청소-병풍-돗자리-교의, 제상, 향탁 배설, 천정에 방형 앙장을 치고 전면에 두 폭 여닫이로 향탁이 가리도록 침장을 만든다. 망령이 평소 입던 유의복과 소지품을 설위 안치한다. 혼상을 교위에 봉안하고 혼상보를 덮고 지명정을 걸어둔다.
○복제도(服制圖):복친의 이름을 복의 경중에 따라 열거해서 빈소 벽에 써 붙인다.
11. 성복 (成服)성복이란 상복으로 갈아입는 것을 말하며 최상을 입고 교(絞)를 띠고 행전(行纏)을 치고 호건(孝巾)을 쓰며 또 상관(喪冠)을 쓰며 짚신을 신고 지팡이를 짚는 것을 말한다. 입관이후 상주이하 복인이 합당한 상복을 입고 망령 앞에 전(奠)을 드리는 것을 성복전 이라고 말한다.
○곡읍(哭泣)직계 존비속, 숙질, 형제, 자매들은 “아이고” 곡, 그 밖의 친척은 “어이어이” 곡을 하며 성복 후에는 상주 이외 사람은 “어이어이”(원래는 허히허히)곡으로 바꾼다.
○성복전(成服奠)상주와 복인들은 복제에 의해 각기 복의 경중에 따라 복의를 입는데, 집사가 상에 백지를 깔고 상복과 상관 등을 올려두고 남녀가 따로 남자는 관 동쪽에서 서쪽으로 향해서고 여자는 서쪽에서 동으로 향해 마주보고 상주끼리 먼저 상향곡을 하며 조상한후 만일 조부모와 백숙부모가 생존하면 상주는 문밖에서 부복하여 곡을 하고 웃어른은 앉아서 마주 곡을 한다. 경복인과 같이 상향곡을 하고 상조한 후 성복전을 아침상식과 겸하여 올린다. 항간에는 성복제라 하여 제사로 잘못알고 있는데 제사가 아니고 전이다. 집사자는 주과포를 차린 다음 분향을 하고 술을 올리고 상주이하는 재배한다. 성복 시는 축문도 없고 술잔도 단작으로 상주가 올리지 앉고 집사자가 올린다. 제상에 주과포 배설, 혼상 앞에 식상을 올리고 혼령이 흠향할 동안 지곡(止哭)하고 읍을 하고 잠시 동안 기다리다 숭늉 올리고 일동 재배한 다음 식상 전수 물리고 건포, 과일, 술잔은 그냥 둔다. 이날부터 상식을 올리고 술은 새로 올린다. 장례 시까지 진혼배곡, 진혼전을 올리고 주과포는 항상 존치한다.
이날부터 상주는 조객의 조문을 받는다. 조문객은 상주가 있는 영좌 앞에 가서 꿇어앉아 분향하고 두 번 절한다. 그 다음 상주와 한번 절하며 애도의 뜻을 전한다. 조문은 탈상 이전에는 언제라도 할 수 있다. 예전에는 대렴, 입관 후 영좌를 마련하고 성복전을 올린 뒤 조문을 받았으나 현대에는 보통 3일 만에 탈상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입관하지 않아도 문상을 하는 예가 많다.
12. 조문(弔問)옛날관습에는 상가 조문 시에는 부조하는 뜻에서 돈으로 부의(賻儀)를 하거나 향촉(香燭)이나 백지 등의 조물(弔物)을 가지고 가며 이는 호상소를 통하여 전한다.
13. 만장(輓章)만장이란 죽은 사람을 애도하여 친구들이 지은 글을 비단이나 종이에 적어서 기를 만들어 상여 앞에 들고 가게 하는 것을 말한다. 만장의 첫머리에는 근조(謹弔)라고 쓰고 만장의 본문을 쓴다음 자기의 성명을 쓰되 본관후인성명 곡재배(坡平後人尹00哭再拜)라고 쓴다.
14. 장일(葬日)과 장지(葬地)장일은 부득이한 일을 제외하고는 사망일로부터 3일이 되는 날로 한다. 옛 관습으로 짝수일은 잘 쓰지 않으며 3일장. 5일장. 7일장을 하나 대부분이 3 일장으로 하고 있다.
○ 산지택정(山地擇定): 신설, 선영, 공동묘지, 공원묘지. 지사(풍수) 초빙하여 혈을 잡고 좌향 가늠.
○ 장일택정(葬日擇定): 장례일과 하관시각을 일관(지사)의 지시에 따른다.
15. 천광(穿壙):개토(開土)또는 참파라고도 하며, 묘역 공사를 시작하여 묘혈을 파는 것이다. 이때 참파고유가 있으며, 보통 상가에 조문하지 않은 사람이 주, 과, 포 등으로 제상을 마련하여 묘자리 왼쪽에 남향으로 차려놓고 고사자가 북향하여 분향하고 두 번 절한 다음 헌작 후 개토고사를 읽은뒤 재배한다. 또한 선산에 모시려면 선영에 고사를 지내되 제일위어른이나 묘자리에서 가장 가까운 분에게 지낸다.
○ 참파축(斬破祝)(무복 묘역자 대고산신에 고함)
(산신축)維歲次乙酉五月壬戌朔十六日丁丑 幼學 0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오월임술삭십육일정축 유학 000 감소고우
土地之神 今爲學生金海金公 營建宅兆 神其保佑 俾無後艱
토지지신 금위학생김해김공 영건택조 신기보우 비무후간
謹以 淸酌脯果 祗薦于 神 尙 饗
근이 청작포과 지천우 신 상 향
:서기 2005년 6월 22일 소생 000 감히 산신님께 아뢰나이다. 이제 학생 김해 김공을 위하여 묘역을 개설하오니 산신님의 보우로 후환이 없기를 바라나이다. 삼가 정결한 주찬으로 고사를 올리오니 흠향하소서.
○ 선영축.先塋祝(상주의 족친이 대고)선영에 고유시
維歲次乙酉五月壬戌朔十六日丁丑 0代孫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 오월 임술삭 십육일 정축 0대손 00 감소고우
顯 0祖考 通德郞府君 今爲 0代孫婦産科醫師慶州李氏 營建
현 0대조 통덕랑부군 금위 0대손부산과의사경주이씨 영건
宅兆于 右下子坐之原 謹以 酒果 用伸 虔告 謹告
택조우 우하자좌지원 근이 청작 용신 건고 근고
:서기 2005년 6월 22일 0대손 00 감히 0대 조고 통덕랑 부군께 아뢰나이다. 이제 0대 손부 산과의사 경주 이씨를 위하여 영하 우편에 자좌 오향으로 묘지를 개설하기에 삼가 주과포로 묘사를 드리나이다.
○ 합장축.合葬祝(상주의 근친이 대고함)합장할 묘에 고유시
維歲次乙酉五月壬戌朔十六日丁丑 孫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오월임술삭십육일정축 손 00 감소고우
顯祖考學生府君 今爲 顯祖妣孺人昌寧成氏 合窆 開破 墓右
현조고학생부군 금위 현조비유인창년성씨 합폄 개파 묘우
伏惟 尊靈 勿震勿驚
복유 존령 물진물경
:서기 2005년 6월 22일 손00 감히 할아버지 학생부군께 아뢰나이다. 이제 할머니 유인 창녕 성씨를 합장하기 위하여 묘역의 우편을 개파 하오니 놀라지 마시기 바라나이다.
○ 광혈개설(壙穴開設): 지사의 지시에 따라 묘역을 판다. 혈처정지(조광척 사용), 금정수평고정(좌향조준), 도광포(도광지)로 광중도포. 하관시까지 횡판을 덮고 천막을 친다.(우로 일광차단)
○ 정상막(停喪幕): 정구하고 빈소모실 천막. 옆에 시도소를 준비한다.
○ 묘역경야(墓域經夜): 만약 장사전날 작업에 들어갈 경우 밤사이 불상사를 대비하여 인부수명으로 묘역을 지킨다.
16. 횡대 및 지석(橫帶. 誌石)횡대는 나무판 또는 대나무로 한다. 이것은 하관하고 석회를 덮을 때 회가 직접 관에 닿지 않게 덮는 것이다. 지석은 돌 회벽돌 또는 질그릇으로 하고 글자를 쓰거나 새긴다. 지석에 쓰는 글은 위쪽은 누구의 묘라는 것을 쓰고 밑바닥에는 약력과 인적관계를 쓴다.
○ 전석전(前夕奠): 장례전일 저녁에 청결한 주찬으로 전을 드린다.
○ 축 : 永遷之禮 靈辰不留 今奉柩車 式遵祖道
영천지례 령진불류 금봉구차 식준조도
:영구히 가시는 예에 좋은 시각입니다. 이제 관구 실은 수레 모시고 삼가 길을 떠나려 합니다.
○ 애도사: 제문이 준비되면 영전에 분향 헌작 후 독고한다.(친척, 친우)
○ 상행로정(喪行路程), 분임, 책임자, 작성, 점검
○ 망령의 친척, 친우 중 혼교 배행자 선정
17. 발인제 (發靷祭)
○ 당일조전(當日朝奠) : 새벽이나 아침에 간결한 주찬으로 전을 드린다.
○ 운구축(運柩祝)(빈방.殯房을 나설 때): 今以吉辰 遷柩敢告
금이길진 천구감고
:이제 장례일이 다가와서 관구를 옮기겠기에 감히 아뢰나이다.
○ 출문축(발인직전)出門祝(發靷直前):今遷柩 就輿敢告:
금천구 취여감고
:이제 관을 상여로 옮겨 모시겠습니다.
○ 관을 상여에 옮길 때 상주 이하 일동이 곡읍하며 따른다. 모든 독축시 곡읍중지.
○ 견전(遣奠): 발인전을 말하며 상여 앞에 간결한 전수를 차리고 영결고사를 드린다.
○ 발인축(發靷祝) : 靈輀旣駕 往卽幽宅 載陳遣禮 永訣終天
영이기가 왕즉유택 재진견례 영결종천
:영이가 잠시 후 떠나려 하나이다. 견례를 올리오니 영결종천인가 하나이다.
○ 조사가 준비되면 읽는다. 일동이 영결 배례한다.
○ 발인제는 영구가 상가(喪家)나 장례식장을 출발하기 직전에 지낸다.
○ 발인제는 고인과의 마지막 작별을 하는 의식으로 상가의 뜰이나 특별한 장소에서 하는 수가 있다.
○ 발인제는 영구를 모시고 그 옆에 명정을 세우고 제상을 갖추어 촛대, 향로, 향합, 영정 사진이나, 위패 등을 준비한다.
○ 발인제 순서 :1) 개식, 2) 상주의 분향, 3) 고인의 약력소개, 4) 조객 분향, 5) 폐식의 순으로 한다.
○모든 절차는 혼령이 방황하지 말고 여기에 편안히 의존하기를 간절히 소망하는 뜻이다.
18. 운구(運柩)
○ 운구(運柩)는 영구차 또는 상여로 한다.
○ 운구의 행렬 순서는 1.영정사진, 2.명정, 3. 영구, 4. 상제, 5. 조객의 순서이다. 옛날순서: 상두꾼이 해로가(薤露歌)를 부르며 장지로 출발 명정, 만장, 운삽(雲翣), 영거(靈車), 공포(功布), 상여(喪輿), 상주, 복인(服人), 빈객 순이다.
※ 그리고 운구도중에 고인의 친구나 친척이 스스로 제물을 마련하여 지내는 로제(路祭)가 있다
○ 전을 마치면 혼상을 혼교에 모신다.
○ 혼교에는 奠에 썼던 건포, 술, 제기, 잔대, 향합, 향로, 유의복, 유물 등을 넣는다. 영혼이 방황하지 말고 편안히 의존하기를 바라는 뜻이다.
○ 상행순서(喪行順序)명정, 조기, 만사, 공포, 삽선, 혼교, 혼교배행, 고수, 상여, 상주, 복인, 조객, 제수의 순서로 한다. 빈막에 차릴 교의, 제상, 향탁, 제상, 병풍 등은 미리 보내어 설빈케 한다. 가급적 산신제수는 상가 이외의 집에서 준비한다. 호상과 집례 및 소임자는 미리 장지에 가서 상행의 도착을 대비한다.
○ 정상막에는 빈소를 차리고 상행이 도착하면 관은 정구소에, 혼상은 빈소의 교의에 모신다. 모든 물건은 적절히 배치하고 술은 건포와 진설한다. 향로에 향을 피운다. 명정, 공포, 삽선은 해체하여 하관에 대비한다.
○ 상주는 빈막에서 조객의 조문을 받는다.
○ 호상 및 집사자는 시도소에서 조객록명, 부물접수, 조객접대 등 임무를 수행한다.
○ 조객은 빈막의 영위와 상주에게 조문 후 시도소에 녹명과 부물전달 후 접대를 받는다.
19. 하관(下棺) 과 성분(成墳)
하관은 지사의 지시에 따라 하관을 하여야 한다.
○ 하관 할 때는 관의 끈을 풀고 영구의 좌향(坐向)을 바르게 한 뒤에 천개(天蓋) 즉 회(膾), 동(棟), 송(松), 죽(竹), 등으로 만든 것을 덮고 평토(平土) 하되 지석(誌石)을 묻고 성분을 한다. 성분은 묘지의 봉우리를 만드는 것이다.
○ 영구가 도착하면 먼저 명정을 풀어서 관 위에 덮은 다음 상제들이 두 번 절한다.
○ 합장을 하는 경우에는 좌남여우(左男女右)즉 왼편에 남자 오른편에 여자를 모신다.
○ 관을 묘혈까지 운구, 포장제거, 공포로 관을 닦고 금정의 횡판을 연다.
○ 관을 조심스럽게 광중에 모신다.
○ 정관승으로 관의 와체가 바른가를 점검한다.
○ 공포로 다시 한 번 닦고 구의를 반듯하게 씌운다.
○ 명정을 구의 위에 편다.
○ 삽선을 관 양 옆과 광벽사이에 凹부가 위로하여 넣는다.
○ 운삽-관 상부 좌편, 아삽-하부 우편
○ 폐백을 드린다. 맏상주가 현․훈을 정중히 받들어 명정 위에 얹는다. 현은 좌수 조금 위쪽, 훈은 우수 조금 아래쪽에 얹고 재배한다.
○ 지석은 돌에 누구의 묘라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 橫板을 덮는다. 순서대로 덮되 안면 부위 한 장은 덮지 않는다. 상주는 그 곳에 엎드려 통곡하고 복인과 조객은 묘혈 주위에서 임곡한 후 덮는다.
○ 入土:취토라고도 한다. 맏상주가 옷자락에 흙을 담아 횡판 윗면 상중하로 세 번 놓고 재배한다. 횡판 위에 사회를 15cm정도 깔기도 한다.
○ 조분(造墳): 상주는 빈막으로 가고 인부는 봉분 역사를 한다.
○ 山神祭: 하관이 끝나면 즉시 산신제를 지낸다. 복인 이외의 깨끗한 사람이 주제한다.
○ 축 : 維歲次乙酉五月壬戌朔十六日丁丑 幼學 0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오월임술삭십육일정축 유학 000 감소고우
土地之神 今爲 00中學校長全州李公 窆玆幽宅 神其保佑
토지지신 금위 00중학교장전주이씨 폄자유택 신기보우
俾無後艱 謹以 淸酌庶羞 祗薦于 神 尙 饗
비무후간 근이 청작서수 지천우 신 상 향
:서기 2005년 6월 22일 소생 000 감히 산신님께 아뢰나이다. 이제처사 전주 이공을 위하여 묘역을 개설 하였사오니 산신님의 보우로 후환이 없기를 바라나이다. 삼가 깨끗한 주찬으로 고사를 올리오니 잡수시옵소서.
20. 위령제 (慰靈祭)
○ 평토전(平土奠): 옛날에는 신주를 모시기 때문에 신주에 제자하고 드리므로 제주전이라 했다. 성분이 거의 되면 영위 앞에 제수를 진설하고 전을 드린다. 모사 그릇을 준비하는데 묘역 내 깨끗한 흙과 띠를 베어 묶고 담는다. (지금까지 시구를 모셨기에 분향으로 재천의 영혼을 청하였으나 모사에 술을 지워 이제 지하의 넋을 청하기 때문이다) 상주가 세수하고 분향-재배-뇌주-재배-헌작-독축 순으로 행사한다. 평토전을 평토제라고도 한다.
○ 축 : 維歲次乙酉五月壬戌朔十七日戊寅 孤子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오월임술삭십육일무인 고자 00 감소고우
顯考小說家府君 形歸窀穸 神返室堂 魂帛是存 伏惟 尊靈 仍舊憑依
현고소설가부군 형귀둔석 신반실당 혼백시존 복유 존령 잉구빙의
:서기 2005년 6월 23일 고자 00 감히 아버지 소설가 부군께 아뢰나이다. 체백은 지하에 편안히 모셨사오니 혼령은 혼백에 의존하여 집으로 가사이다.
○ 음복(飮福) : 산신제가 끝나면 그 술과 제수로 조객을 접대한다.
○ 반혼(返魂) : 평토전을 드리고 분묘의 역사는 감역소임. 지사, 인부에게 맡기고 반혼 차비를 한다. 혼교 안에 혼상, 유의복, 유물, 향합, 향로, 잔대, 모사를 넣고 평토전에 쓴 건포를 백지에 싸서 넣는다. 혼교, 혼교배행, 상주, 복인의 순서로 출발하여 상행의 길을 되돌아 온다. 재가인은 관구 안치 자리를 청소하고 반혼이 도착하면 혼백을 영곡하여 종전대로 빈방에 모신다. 지명정은 제거 소각한다.
21. 성묘(省墓)=삼우제(三虞祭)
○ 우제(虞祭)는 체백을 떠난 혼령이 혹시 방황할까봐 속히 안정하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세 번 지낸다.
○ 성묘는 장례를 지낸 3일 만에 다시 묘지에 가는 것인데 가기 전에 먼저 우제(虞祭)를 지낸다. 우제는 혼백을 편히 모신다는 뜻으로 지내는 제사이며 초우(初虞) 는 장례를 지내고 온 첫날저녁에 영좌(靈座)에 혼백을 모시고 지낸다. 재우(再虞)는 장사 지낸 다음날 식전에 지내며, 삼우(三虞)는 재우를 지낸 다음날 식전에 지낸다.
①初虞祭 : 반혼제라고도 한다. 이 때부터 정식 제례대로 행하고 3헌작을 한다. 그날 중 집에 도착 못하면 도중에서 지낸다.
초헌-맏상주, 아헌-맏상주 처, 종헌-친척이나 친지, 제수-제례편의 진설도와 같다.
○初虞祝 : 維歲次乙酉五月壬戌朔十七日戊寅 孤子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오월임술삭십칠일무인 고자 00 감소고우
顯考小說家府君 日月不居 奄及初虞 夙興夜處 哀慕不寧
현고소설가부군 일월불거 엄급초우 숙흥야처 애모불령
謹以 淸酌庶羞 哀薦祫事 尙 饗
근이 청작서수 애천협사 상 향
: 서기 2005년 6월 23일 고자 00 감히 아버지 소설가 분군께 아뢰나이다. 해와 달이 멈추지 않아 어느덧 초우가 되었나이다. 자나 깨나 슬프고 그립사와 몸둘 바를 모르겠나이다. 삼가 정결한 주찬으로 초우고사를 드리오니 잡수시옵소서.
②再虞祭 : 柔日에 지낸다.(참고: 剛日-甲, 丙, 戊, 庚, 壬 柔日-乙, 丁, 己, 辛, 癸)장례를 치른 이튼 날이 강일(剛日)이면 그 다음날 즉 3일날 아침에 지내고 4일날 삼우를 지낸다.
○ 재우축-초우축과 같다. 초우를 재우로, 합사를 우사(虞事)로 고친다.
③三虞祭: 재우 다음 날 행사한다. 모든 절차는 재우와 같다.
○삼우축-재우와 같다. 재우를 삼우로 우사를 성사(成事)로 고친다. 그런데 요즈음 대부분 삼우제를 지내고 탈상(脫喪)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삼우제 축을 올리고 다음과 같이 탈상 고유를 한다.
(삼우제지내고 탈상할 경우)
○탈상축 : 三年喪期 自古禮齊 依遵時儀 喪期短縮 敢撤靈筵 감위예제 惶恐無地 敢告虔告
삼년상기 자고예제 의준시의 상기단축 감철영연 감위예제 황공무지 감고건고
이날 상주들은 주과포를 마련하여 묘소에 가서 묘역공사 完否를 점검하고 성배(省拜)한다. 만약 탈상을 하게 되면 혼백 및 유물(遺物. 신발 등)은 묘역에 묻고 遺衣服은 소각한다.
이 외에도 옛날처럼 기년봉상(朞年奉喪. 小祥, 大祥)이나 가정의례 준칙에 따른 백일봉상(百日奉喪)이나 만약 상기가 길면 상식, 삭망(朔望), 졸곡(卒哭), 소상(小祥), 연제(練祭), 대상(大祥), 담제(禫祭), 길제(吉祭)등의 상례절차가 있으나 현실과 맞지 않으므로 생략 한다.
22. 卒哭祭: 삼우를 지낸 뒤 애모의 정과 주거환경. 가사의 형편을 감안하여 강일(剛日)에 지낸다. 절차는 우제와 같다. 100일 이상 거상(居喪)시 행사한다. 무시(無時)로 곡읍(哭泣)을 하다가 이날부터 상식(上食)과 삭망전(朔望奠) 외에는 곡읍을 하지 않는다.
○축문 : 維歲次乙酉七月辛酉朔十二日壬申 孤子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칠월신유삭십이일임신 고자 00 감소고우
顯考達成郡守府君 日月不居 奄及卒哭 叩地呌天 五情未潰
현고달성군수부군 일월불거 엄급졸곡 고지규천 오정미궤
謹以 淸酌庶羞 哀薦成事 尙 饗
근이 청작서수 애천성사 상 향
: 서기 2005년 7월 12일 고자 00는 감히 아버지 군수 부군께 아뢰나이다. 날과 달이 멈추지 않아 어느덧 졸곡이 다가왔나이다. 땅을 치고 하늘을 부르짖은들 어찌 이 슬픔 다하오리까. 삼가 정결한 주찬으로 졸곡고사를 드리오니 잡수시옵소.
23. 종상(終喪):탈상(脫喪)을 말한다. 예로부터 기년봉상(朞年奉喪. 小祥, 大祥)이 지당한 상례이나 시대와 가사형편에 따라 상기를 단축할 수 있다. 상주는 길복(吉服)으로 행사하고 혼백(魂帛)을 역(域)에 매안(埋安)한다. 조부모, 부모, 배우자의상(喪)기간은 사망일로부터 100일로하며 기타의 경우는 장사 지내는 당일로 한다. 현재 우리의 풍속은 100일 탈상이 가장 많으며 삼우제까지로 하는 경우도 있다. 옛날 우리의 관습은 초상난 날부터 만 2년 동안 삼복을 입으면서 매월 1일과 15일마다 아침에 상식(上食)하고 소상(小祥)과 대상(大祥)의 제례를 지낸 후에 탈상을 했다.
○축문 : 維歲次乙酉七月辛酉朔十二日壬申 孤子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칠월신유삭십이일임신 고자 00 감소고우
顯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百日 朞年奉喪 儀禮至當
현고학생부군 일월불거 엄급백일 기년봉상 의례지당
俗例(時令)所拘 百日(玆以)除喪 夙興夜處 哀慕不寧 謹以
속례(시령)소구 백일(자이)제상 숙흥야처 애모불녕 근이
淸酌庶羞 哀薦祥事 尙 饗
청작서수 애천상사 상 향
開葬, 莎土, 立石, 災害의 告由
1. 개장(開葬) : 면례(緬禮)라고도 하며. 속칭 이장(移葬)을 말한다. 천재지변으로 인한 지리적 변고나 시대적 요청에 의한 지정적 변경으로 부득이 개장하는 수가 있다.
○ 宗子, 宗孫은 頭巾, 道袍, 布帶로 행사한다.
舊山破墓에서 新山安葬까지 다음과 같은 절차가 있다.
가 : 구묘개파(舊墓開破) : 개파하기 전에 산신과 묘소에 간결한 주과포(酒果脯)로 고유제(告由祭)를 올린다.
○ 산신고유축(山神告由祝)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幼學 0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유학 000 감소고우
土地之神 玆有先考 00府君 卜宅玆地 不意變故 將改窆于他所
토지지신 자유선고 00부군 복택자지 불의변고 장개폄우타소
神其保佑 謹以 酒饌敢告
신기보우 근이 주찬감고
서기 2005년 0월 0일 소생 000 감히 산신님께 아뢰나이다. 이제 아버님○○ 부군 묘소를 지리적 변고로 인하여 타처에 이장코자 하오니 삼가 정결한 주과포로서 고사를 드리오 니 산신님께서 도와주사이다.
나 : 선묘고유축(先墓告由祝)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子(0代孫)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효자(0대손) 00 감소고우
顯考(顯0代祖考)00府君 今以墓域不意有變 體魄不寧 移窆他處
현고(현0대조고)00부군 금이묘역불의유변 체백불녕 이폄타처
今將開墓 伏惟 尊靈不震不驚
금장개묘 복유 존령불진불경
서기 2005년 ○월 ○일 효자(○대손) ○○ 감히 아버님(○대 할아버님)○○부군께 아뢰나 이다. 이제 묘소에 의외의 변고가 있어 타처에 이장코자 방금 파묘하려 하오니 놀라지 마 시옵소서.
다 : 천구(遷柩) : 관을 상여로 옮겨 모실 때 축만 읽는다.
今遷柩 就輿敢告 : 금천구 취여감고
이제 관을 모셔 상여에 싣겠나이다.
라 : 발인(發靷) : 상여가 출발할 때 축만 읽는다.
靈輀旣駕 往卽幽宅 : 영이기가 왕즉유택
이제 상여가 출발하여 신산으로 떠나나이다.
마 : 新山開土 : 개토전에 산신에 고사하고 先塋下이면 선조에게 고유한다. 제수와 축문은 초상 장례시에 준한다.
바 : 下棺: 모든 절차는 초상 장례시에 준한다.
사 : 虞祭: 초상시 平土奠 대신 墓前에서 우제를 올린다.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子(0代孫)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효자 ( )감소고우
顯考(顯 0代祖考)00府君 今於新山 改窆幽宅 追慕罔極 夙夜靡寧
현고( )부군 금어신산 개폅유택 추모망극 숙야미녕
謹以 淸酌庶羞 祗薦虞事 尙 饗
근이 청작서수 지천우사 상 향
서기 2005년 ○월 ○일 효자(○대손) ○○ 감히 아버님(○대 할아버님) ○○부군께 아뢰나이다. 이제 새 묘역을 여기 모시오니 추모하는 마음 더욱 망극하나이다. 삼가 깨끗한 주찬으로 고사를 드리오니 잡수사이다.
아 : 改服: 개장 후 3월(만 2개월)만에 平常服으로 개복한다.
2. 사토(莎土) : 수시(隨時)로 묘역을 순시(巡視)하여 훼손처(毁損處)가 있으면 보수하는 것을 말한다. 통상 윤해 윤달이나 청명절에 하지만 시급하면 수시로 택일하여 행한다. 간혹 묘제를 인해서 한다. 役事 개시전에 간결한 주과포로 산신과 묘소에 告由奠을 드린다.
가 : 시역전(始役前) 고유(告由)
○ 山神祝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幼學 0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유학 000 감소고우
土地之神 今爲 先考(0代祖考) 00府君 墓域崩壞 將加修治
토지지신 금위 선고( )부군 묘역붕괴 장가수치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酒果 祗薦于 神 尙 饗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주과 지천우 신 상 향
서기 2005년 ○월 ○일 소생○○○ 감히 산신님께 아뢰나이다. 이제 아버님 ○○부군묘역에 훼손이 있어 보수하오니 산신님의 保佑로 後患이 없기를 바라나이다. 삼가 정결한 주찬으로 고사를 드리오니 잡수사이다.
○ 선묘고유축(先墓告由祝)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子(0代孫)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효자( )감소고우
顯考00府君 守護不謹 墓域毁損 將加修治 伏惟尊靈 不震不驚
현고00부군 수호불근 묘역훼손 장가수치 복유존령 불진불경
서기 2005년 ○월○일 효자○○ 감히 아버님(○대 할아버님)께 ○○부군께 감히 아뢰나이다. 묘역의 守護가 誠實하지 못하여 毁損이 있기로 補修하려 하오니 놀라지 마시옵소서.
나. 필역후(畢役後) 告由: 役事를 마치면 위안(慰安)하는 뜻으로 묘전에 고유전을 드린다.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子(0代孫)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효자 ( )감소고우
顯考(顯 0代祖考)00府君 기봉기사 伏惟尊靈 永世是寧
현고( )00부군 기봉기사 복유존령 영세시녕
서기 2005년 ○월 ○일 효자(○대손) ○○ 감히 아버님(○대 할아버님) ○○부군께 아뢰나이다. 이제 묘역 보수를 완벽(完璧)하게 마쳤사오니 체백(體魄)이 영구(永久)히 평안하시기 바라나이다.
3. 立石: 묘비를 세우거나 상석(床石), 향로석(香爐石), 망주(望柱) 등을 안치(安置)함을 말한다. 간결한 전수(奠羞)를 마련하여 산신과 묘소에 고사를 드린다.
○ 산신축(役事 전에 告祀한다.)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幼學 0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유학 000 감소고우
土地之神 今爲 先考0代祖考府君 墓儀未具 玆將碑石(床石) 用衛墓道
토지지신 금위 선고0대조고부군 묘의미구 자장비석(상석) 용위묘도
神其保佑 祗薦于 俾無後艱 謹以 酒果 祗薦于 神 尙 饗
신기보우 지천우 비무후간 근이 주과 지천우 신 상 향
서기 2005년 ○월 ○일 소생 ○○○ 감히 산신님께 아뢰나이다. 이제 아버님 (○대 할아버님) ○○부군 墓前에 碑石을 세우려(石物을 安置하려)하오니 산신님의 보우로 후환이 없기를 바라나이다. 삼가 깨끗한 주찬으로 고사를 올리오니 잡수시옵소서.
○ 선묘고유축(畢役 후에 告由한다.)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子(0代孫)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효자(0대손) 00 감소고우
顯考(顯0代祖考)00府君 墓儀多闕 至今有年 謹具碑石(床石) 用衛墓道
현고(현0대조고)00부군 묘의다궐 지금유년 근구비석(상석) 용위묘도
伏惟尊靈 是安是寧
복유존령 시안시녕
서기 2005년 ○월 ○일 효자(○대손) ○○ 감히 아버님(○대 할아버님)○○ 부군께 아뢰나이다. 지금까지 묘전에 석물을 완비치 못했삽더니 이제 비석을 세웠사오니(상석과 망주를 안치하였사오니) 이로부터 체백이 더욱 안녕하올까 하나이다.
4. 재해고유(災害告由):화재(火災)로 인해 묘역이 연소(延燒)되었거나 수몰
(水沒)로써 묘역이 붕괴(崩壞)되었을 때 위안고유(慰安告由)를 드린다.
維歲次乙酉七月辛酉朔初五日乙丑 孝子(0代孫)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칠월신유삭초오일을축 효자(0대손) 00 감소고우
顯考(顯 0代祖考)00府君 伏以守護不謹 行人失火 延及墓域 致驚尊靈
현고(현 0대조고)00부군 복이수호불근 행인실화 연급묘역 치경존영
不任惶恐之至 (洪水侵犯 崩壞墓域 致驚尊靈 不任惶恐 從速莎土)
불임황공지지 (홍수침범 붕괴묘역 치경존영 불임황공 종속사토)
謹以 酒果 用伸 虔告謹告
근이 주과 용신 건고근고
서기 2005년 월 일 효자(0대손) 00 감히 아버님(0대 할아버님)00 부군께 아뢰나이다.
묘역의 수호가 성실치 못하와 山火가 연소되어 체백(體魄)을 경동(驚動)케 하였사오니 황공(惶恐)하옵기 그지 없나이다. (홍수(洪水)가 침범(侵犯)하여 체백을 경동케 하였사오니 황공무지(惶恐無地)하와 조속(早速)히 사토(莎土)를 하겠나이다.) 삼가 깨끗한 주과포로 위안고사 를 드리나이다.
○ 각종 축문 : 神位 앞에 告하는 글이며 그 內容은 祭位분께 歲月이 흘러 亡日을 맞이하니 추모(追慕)의 情을 이길 길이 없으며 간소(簡素)한 제수(祭羞)나마 흠향(歆饗)하시라는 뜻을 고하는 것이다.
1. 기제출주 고사(忌祭出主 告辭)(祠堂에서 神主를 모셔 나올 때의 祝文)
今以 . 금이 顯考 學生 府君 또는 妣位에는 顯妣 孺人 密陽朴氏라 쓰고 祖父母以上에는 그 친속(親屬)에 따라 쓰며 妻에게는 고실유인 창녕성씨(故室孺人 昌寧成氏)라 쓴다. 원휘지신(遠諱之辰) 妻, 弟 以下에는 망일부지(亡日復至)라 쓴다. 감청(敢請) 妻, 弟 이하에는 敢字를 쓰지 않는다.
顯考學生府君
顯妣孺人豊山柳氏 神主出就廳事 恭伸追慕
현비유인 풍산유시 신주출취청사 공신추모(妻,弟 以下에는 추신정례(追伸情禮)라 쓴다)
(解說)(前略)신주께서는 祭禮의 대청으로 자리하시기를 공손히 펴놓고 바라옵니다.
2. 기제축(忌祭祝)
가.고단위(考單位)=아버지제사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子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효자 00 감소고우
顯考00府君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현고00부군 세서천역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근이 청작서수
恭伸奠獻 尙 饗
공신전헌 상 향
2005년 월 일 효자 00 감히 아버지 00 부군께 아뢰나이다.
해가 바뀌어 아버님 돌아가신 날을 맞이하와 지나간 날을 돌이켜 생각하니 하늘과 같은 은혜 그지 없습니다. 이제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나. 비단위(妣單位)=어머니제사
維歲次乙酉六월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子 00 敢昭告于
顯妣孺人達城徐氏 (以下 考位와 同一)
다. 고비합사(考妣合祀)=아버지.어머니 양위제사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子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효자 00 감소고우
顯考00府君 顯妣孺人順興安氏 歲序遷易
현고00부군 현비유인순흥안씨 세서천역
顯考(妣祭日이면 顯妣라 쓴다)諱日復臨(以下 위와 같다)
현고(비제일이면 현비라 쓴다)휘일부림(이하 위와 같다)
라. 祖父母以上 合祀 (祖父母가 單位이면 위의 考妣單位祝을 參照하고 5代祖以上은 불천위(不遷位)가 아니면 忌祭가 없다)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孫(孝曾孫, 孝玄孫) 敢昭告于
顯(曾, 高)祖考承政院都承旨府君
顯(曾, 高)祖妣淑夫人順天朴氏 歲序遷易
顯(曾, 高) 祖考 (祖母祭日이면 顯祖妣 顯曾祖妣 顯高祖妣라 쓴다)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마. 남편기제일(男便忌祭祝)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主婦 金寧金氏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주부 김년김씨 감소고우
顯辟某官府君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感愴 謹以
현벽모관부군 세서천역 휘일부림 추원감시 불승감창 근이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향
바. 처 기제축(妻 忌祭祝)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夫 坡平人 尹 00 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부 파평인 윤 00 소고우
故室小說家安東權氏 歲序遷易 亡日復至 心焉如毁 不勝悲苦
고실소설가안동권씨 세서천역 망일부지 심언여훼 불승비고
(혹은 追遠感時 不勝感愴 또는 不自勝感이라 쓴다)
玆以 淸酌庶羞 伸此奠儀 尙 饗
자이 청작서수 신차전의 상 향
사. 子. 子婦 忌祭祝 (單位이면 父母단위축 參照. 孫. 孫婦도 같으며 次子이면 亡者의 자손이 主祭者가 되고 弟. 弟婦도 같다)
維歲次 乙酉 六月 辛卯朔 十九日己酉 父(子婦이면 舅) 告于
亡子 秀才(또는 秀士) 吉童(名)
亡婦 永川崔氏 歲序遷易
亡子(亡婦)亡日復至 追時悲念 不勝感愴 玆以 淸酌庶羞 伸此奠儀 尙 饗
망일부지 원시비념 불승감창 자이 청작서수 신차전의 상 향
아. 兄 忌祭祝(單位이면 부모 단위축 참조)
세월이 흘러 형님의 제삿날을 맞으니 형제지간의 정리로 비통한 마음 한량없습니다. 이제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차려 공손히 전을 올리니 흠향하소서.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弟 00 敢昭告于
顯兄某官府君
현형모관부군
顯兄嫂孺人光州盧氏 歲序遷易
현형수유인광주노씨 세서천역
顯兄 諱日復臨 情何悲痛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현형 휘일부림 정하비통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의 상 향
자.弟 忌祭祝
(전략) 세월이 흘러서 아우의 죽은 날이 다시 돌아오니 형제지간의 정을 어찌 할 바를 모르겠구나. 이제 맑은 술과 음식을 차려 놓았으니 응감하시라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兄 告于
亡弟00歲序遷易 亡日復至 情何可處 玆以 淸酌庶羞 陳此奠儀 尙 饗
망제00세서천역 망일부지 정하가처 자이 청작서수 진차전의 상 향
차. 근친기제축(近親忌祭祝)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姪 00 (外孫,親屬) 敢昭告于
顯伯父(顯仲叔父,見外祖父)00府君(伯仲叔父, 外祖父, 兄, 從祖父, 再從祖父, 外叔,妻父, 男便에는 府君이라하고 其他 尊行은 써도 되고 안 써도 된다)
顯伯母孺人淸州鄭氏 歲序遷易
顯伯父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感愴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3. 묘제축(墓祭祝)
(前略) 0 대손 00 는 0代 할아버지 00부군 묘소에 감히 아뢰나이다.
절후가 바뀌어 이미 서리가 내렸기에 봉분을 쳐다보고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음식으로 세사를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孝孫, 孝曾孫, 孝玄孫, 0 代孫 等 손아래 묘소에는 不名한다)
維歲次乙酉十月庚寅朔十二日辛丑 孝子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시월경인삭십이일신축 효자 00 감소고우
顯考(顯祖考, 顯曾祖考, 顯高祖考, 顯 0 代祖考)00府君
현고(현조고, 현증조고, 현고조고, 현 0 대조고)00부군
顯妣(顯祖妣, 顯曾祖妣, 顯高祖妣, 顯 0 代祖妣)孺人
현비(현조비, 현증조비, 현고조비, 현 0 대조비)유인
(恭人, 宜人, 淑人, 貞夫人 等)星山李氏 之墓 (雙墳일 境遇) 氣序流易
(공인, 의인, 숙인, 정부인 등)성산이씨 지묘 (쌍분일 경우) 기서유역
霜露旣降 瞻掃封瑩 不勝感慕(父母墓所에는 昊天罔極) 謹以 淸酌脯果
상로기강 첨소봉영 불승감모(부모묘소에는 호천망극) 근이 청작포과
祗薦歲事 尙 饗
지천세사 상 향
(參考)진설 및 행사는 가정의 제사의례와 같다. 친진(親盡)에는 존행(尊行)이 주제(主祭)한다. 우천시에는 재실이나 묘하(墓下) 깨끗한 집에서 행사(行祀)하여도 된다. 동원(同原)에 묘소가 많으면 단(壇)을 모아 합제(合祭)하여도 무방(無妨)하다.
4. 묘제시 산신축(墓祭時 山神祝)
維歲次乙酉十月庚寅朔十二日辛丑 幼學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시월경인삭십이일신축 유학 00 감소고우
土地之神 幼學 (原位墓所 主祭者 姓名) 恭修歲事于
토지지신 유학 (원위묘소 주제자 성명) 공수세사우
(손아래에는 恭字를 뺀다)
顯考00府君之墓 (同原의 가장 原位墓所, 雙墳이면 倂記한다)
현고00부군지묘 (동원의 가장 원위묘소, 쌍분이면 병기한다)
維時保佑 實賴神休 謹以 酒果 祗薦于(敢以酒饌 敬伸奠獻) 神 尙 饗
유시보우 실뢰신휴 근이 주과 지천우(감이주찬 경신전헌) 신 상 향
(전략)토지 신께 소생 감히 아뢰나이다. 아버님의 묘소에 삼가 세사를 올리는바 때로 도우셔서 신의 보우에 힘입어 여기 술과 음식으로 전을 드리오니 흠향하시오소서.
5. 생신제축(生辰祭祝)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子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효자 00 감소고우
顯考學生府君 歲序遷易 生辰復遇 存旣有慶 歿寧敢忘 追遠感時
현고학생부군 세서천역 생신부우 존기유경 몰령감망 추원감시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追慕 尙 饗
호천망극 근이 청작서수 공신추모 상 향
(전략) 해가 바뀌어 생신을 다시 맞이하는바 생전에 경사스러웠던 일을 돌아가셨다 하여 어찌 잊어오리까. 멀리 돌이켜 생각하오니 (아버님의) 은혜 하늘같이 사무치오며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펴놓고 추모하오니 흠향하시옵소서.
6. 갑사축(甲事祝)
회갑전에 작고하면 갑일에 살아계실 때와 같이 아침에 지방을 써서 붙이고 옷을 갖추어서 옆에 놓고 제사를 지낸다. 옷은 오후에 묘전에서 태운다.
維歲次乙酉六月辛卯朔十九日己酉 孝子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유월신묘삭십구일기유 효자 00 감소고우
顯考韓國中學校長府君 歲序遷易 甲日復臨 生當有慶
현고한국중학교장부군 세서천역 갑일부림 생당유경
歿靈感(敢)忘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祗薦甲事 尙 饗
몰령감(감)망 호천망극 근이 청작서수 지천갑사 상 향
(전략) 해가 바뀌어 아버님의 갑일이 되었사옵니다. 살아계셨더라면 마땅히 경사스러웠을 것이 온데 돌아가셨다 하여 어찌 잊으리까. 높으신 은혜 하늘같이 그지없사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차려 갑사를 베푸오니 흠향하시옵소서.
7. 대행축(代行祝)
제주(祭主) 즉 종자(宗子)되는 사람이 유고(有故)하면 아들 혹은 아우에게 대신 시킬 때의 축을 말한다. 주인이 시켜서 하는 것과 自己가 직접대신(直接代身)하는 것이 있다.
① 부모기일(父母忌日)에 유병(有病)하여 그 아들을 대행시켰을 때
(生存時 : 父母 死亡後 : 考妣)
維歲次乙酉七月己未朔十二日壬申 孝子 00 有病 使子 00 敢昭告于
유세차을유칠월기미삭십이일임신 효자 00 유병 사자 00 감소고우
顯考00府君 顯妣孺人000氏 歲序遷易
현고00부군 현비유인000씨 세서천역
顯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현고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향
② 부모제사일(父母祭祀日) 병(病)이 있어 아우로 대신(代身)할 때
(云云은 年月日과 日辰을 省略한 것이니 아래도 같다)
維歲次 云云 孝子 00 病不將事 使弟 00 敢昭告于 顯考 00郡守 府君
유세차 운운 효자 00 병불장사 사제 00 감소고우 현고 00군수 부군
顯妣 小說家 昌寧成氏 歲序遷易
현비 소설가 찬녕성씨 세서천역
顯妣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현비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향
③ 모제일(母祭日)에 몸이 늙어 행사(行祀)하지 못하여 아들이 代身할 때
維歲次 云云 孝子00 衰耗 不堪事 使子 00敢昭告于 顯考 00校長 府君
유세차 운운 효자00 최모 불감사 사자 00감소고우 현고 00교장 부군
顯妣醫學博士小兒科醫師安東權氏 歲序遷易 (以下省略) 云云
현비의학박사소아과의사안동권씨 세서천역 (이하생략) 운운
④ 부제일(父祭日)에 나이가 어려 三寸이 代身할 때(어린나이: 8세-14세)
維歲次 云云 孝子 00 幼不將事 屬叔父 00 敢昭告于
유세차 운운 효자 00 유불장사 촉숙부 00 감소고우
顯考 陸軍大領 府君 顯妣 孺人 金海金氏 歲序遷易
현고 육군대령 부군 현비 유인 김해김씨 세서천역
顯考 諱日復臨 (以下省略)이하생략
⑤ 母祭日에 病이 있어 從兄이 대신할 때
維歲次 云云 孝子 00 有病 代從兄 00 敢昭告于
유세차 운운 효자 00 유병 대종형 00 감소고우
顯考文學博士大學敎授府君 顯妣韓醫師淸州韓氏 歲序遷易
현고문학박사대학교수부군 현비한의사청주한씨 세서천역
顯妣 諱日復臨 云云 이하생략
⑥ 부기일(父忌日) 차자(次子) 직접대행(直接代行)(형이 사망하고 장조카가 나이가 어려 제사를 지낼 수 없을 경우 자기가 직접 행사한다.)
維歲次 云云 孝孫 00 幼不將事 介子 00 攝事 敢昭告于
유세차 운운 효손 00 유불장사 개자 00 섭사 감소고우
顯考學生府君 顯妣孺人密陽朴氏 歲序遷易
현고학생부군 현비유인밀양박씨 세서천역
顯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현고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향
⑦ 祖父 祭祀에 병이 있어 叔父를 대신 시킬 때(아우를 시키면 使弟 00 )
維歲次 云云 孝孫 00 有病 屬 叔父 00 敢昭告于
유세차 운운 효손 00 유병 촉 숙부 00 감소고우
顯祖考學生府君 顯祖妣孺人碧珍李氏 歲序遷易
현조고학생부군 현조비유인벽진이씨 세서천역
顯祖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현조고 휘일부림 추원감시 불승영모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향
⑧조부제사(祖父祭祀)에 父가 객지(客地)에 있어 참사(參祀)를 못하게 될 때 자기가 직접 대신 할 때
維歲次 云云 孝子 00 身在遠方 不能將事 孝孫 00 代事 敢昭告于
유세차 운운 효자 00 신재원방 불능장사 효손 00 대사 감소고우
顯祖考學生府君 顯祖妣孺人宜寧南氏 歲序遷易
현조고학생부군 현조비유인의령남씨 세서천역
顯祖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현조고 휘일부림 추원감시 불승영모 근이 천작서수 공신전헌 상 향
⑨自己가 상인(喪人)이 되어 祖母의 祭祀를 그 아들로 대신 시킬 때
維歲次 云云 孝孫 00 身在衰麻 使子 00 敢昭告于
유세차 운운 효손 00 신재최마 사자 00 감소고우
顯祖考通德郞府君 顯祖妣恭人文化柳氏 歲序遷易
현조고통덕랑부군 현조비공인문화유씨 세서천역
顯祖妣 諱日復臨 以下省略이하생략
(參考) 高祖, 曾祖 代行祝도 모두 이에 준(準)하여 변통(變通)하고 또 초종(初終) 때와 우제(虞祭), 졸곡(卒哭), 소.대상(小.大祥) 때에도 모두 조부모 대행축에 준하여 변통한다.
◉ 기타 예절 및 풍습(其他 禮節 風習)
① 관혼례(冠婚禮)는 양(陽), 상제례(喪祭禮)는 음(陰)이라고 해서 결혼식이나 생자(生子)의 의식행사(儀式行事)에는 좌(左)가 상(上)이 되고, 상례(喪禮)나 제례(祭禮)에서는 우(右)가 상위(上位)가 되며, 신(神)은 좌(左)가 동(東)이 되고, 제관(祭官)은 우(右)가 동(東)이 된다. 그래서 생자(生者)는 우갱좌반(右羹左飯), 사자(死者)는 좌갱우반(左羹右飯)이다.
② 축문(祝文) 독축(讀祝)은 흉사(凶事)에는 상주의 우측에서 길사(吉事)에는 주인의 좌측 에서 한다.
③ 산신제는 묘 좌측(제관이 서있는 상태에서 우측)으로 차리면 무방하다.
④ 상식(上食)은 묵념하고 재배한다.(탈상까지는 생자처럼 조석으로 식사하는 것으로 제사 가 아니기에 독축이나 헌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⑤ 집안에 산고(産故)나 우환(憂患)이 심하면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⑥ 탈상 전에는 고자(孤子), 애자(哀子), 고애자(孤哀子)로 쓰며, 이후 축문에는 효자(孝子) 또는 불초자(不肖子)로 쓰면 무방하다.
⑦ 성복하기전은 문상이고 이후는 조상이다. 조상 시에 조객이 연상이면 맞절 시에 상주 가 먼저 굽혀 절한다.(옛 풍습에는 망인이 여자이거나 평소에 상면 못한 사람이면 조객이 빈소에는 절을 하지 않고 상주에게만 맞절한다)
⑧ 제통(祭統)에 이르기를 제사는 효도를 계속하는 것이고 봉양에 불급함을 추구하고 못다한 효도를 계속함이라 하였다.
⑨기제(忌祭)에 삼헌(三獻)을 하게 되면 축이 있고 단헌이면 축은 없다. (10)기일(忌日)이 윤월(閏月)이면 본월(本月)에 제사를 지내고 대월 30일에 돌아가셔도 소월이 되면 29일에 지낸다.
(11)명재(明齋)선생은 별세한 날밤 해시(亥時)에 작고하였으나 이튿날 자시(子時)에 초혼(招魂)을 하였으면 초혼일인 작고한 익일을 기일로 삼아야 한다 하였다.
(12)제계(齊戒):가례에 목욕제계하고 정결한 의복으로 갈아입고 술을 마시지 말고 고기를 먹지 말며, 음악을 듣지 않으며 남의 상을 조문하지 말며 흉한일과 더러운 일을 보고 듣지 않으며, 기제에는 입제일(入齊日)과 정제일(正齊日)과 파제일(罷齊日)의 연삼일을 제계한다.
(13)고비위(考妣位)를 병제(並祭)할 때: 회재(晦齋)선생은 한위만 봉사하는 것이 정례라 하였고, 정자가례(程子家禮)에는 고비위 합사라하니 단위봉사는 예의 정도요 양위합사는 인정에 따름이라 하였다. 신독재(愼獨齋)선생은 부가 전.후실(前.後室)이 있으면 전모의 기일이나 후모의 기일 모두 3위를 함께 봉사(奉祀)함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14)아버지는 헌관이고 아들이 독축을 할 때에는 아들이 아버지의 이름을 부르지 못하니 아버지가 자기의 이름을 불러준다.
(15)양기동일이면 병설: 명재(明齋)선생은 조손(祖孫)이 같은 날 기일이면 같이 행사한다. 주인이 한사람이면 같이 행사하되 제수와 축은 별도로 각기 마련해야 한다.
(16)기제와 금기: 우복(愚伏)선생 말씀에 기제일에 산부(産婦)가 있거나 전염병환자가 있을 때는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고 하였다.
(17)상중에 기일이 되면: 요결(要訣)에 따르면 장례식전에는 예에 준하여 제를 폐하고 졸곡이후면 기제와 묘제에는 경복(輕服)인자로 대행하되 무축단헌으로 하고 경복자가 없을 때는 상주가 백포립(白布笠)에 포직영(布直領)으로 참사한다. 몽암(夢菴)선생의 말씀에 기제와 묘제에 경복자로 행사하고 상주는 부복하여 있다가 사신(辭神)후 재배만 한다고 하였다.
(18)장제(將祭)에 우상(遇喪)하면 오복인(五服人)은 성복 이전에는 기제를 지내지 못한다. 고재(顧齋)말씀에 아버지의 기제가 외조부상의 성복 이전이면 사자에도 복이 있으니 비록 외복이지만 다른 소공이나 시마복과 다르므로 대행하여 행사하는데 그렇지도 못하면 행사하지 않는다.
(19)생신, 회갑제: 삼년상 전에는 생신이나 회갑 때는 제사를 드린다. 사후 부. 조 생신에 제사를 지내는 것은 비례(非禮)라 하였다.
(20)지방은 목욕재계(沐浴齋戒)하고 의관을 정제하여 꿇어앉아서 써야하며 깨끗한 창호지에 붓글씨로 쓰며 가로6cm 세로 20cm로 한다.
(21)고기적을 담을 때는 밑에 인적(鱗炙-비늘 있는 생선) 다음은 모적(毛炙-쇠고기, 돼지고기) 제일위에 우적(羽炙-닭고기종류)순으로 차린다.
(22)동물은 천부(天賦)의 명으로 생존하기에 양(陽)에 속하므로 기수(奇數=홀수)로 탕은 1, 3, 5탕(육탕, 소탕, 어탕, 봉탕, 잡탕)으로 하고 과실은 식물로 땅에서 생장하니 음(陰)에 속하니 우수(偶數=짝수)로 2, 4, 6, 8로 하고 육지는 양이고 바다는 음이므로 좌육우어(魚東肉西)이다.
(23)옛날에 석유등불이나 아주까리등불은 냄새 때문에 촛불을 켜고 제사를 지냈으나 현대에 와서는 전기불이 있기에 촛불을 사용하지 않는 집이 많다.
(24)묘제 일에 비가 오면 재실이나 묘하 깨끗한 집에서 행사하되 축은 첨소봉영(瞻掃封瑩)을 망제봉영(望祭封瑩)이라 고쳐 쓴다. 혹은 불승감모 하에 적치우천(適値雨天), 자행망제(玆行望祭), 근이운운(謹以云云)이라고도 쓴다.
(25)출가한 딸네 중 재종질녀까지 수하는 시가성씨에 따라 박실(朴室), 혹은 이실(李室)이라 부르고 3종이 넘으면 항렬에 따라 할매, 아지매, 누나라 부르고 항렬이 낮거나 모를 경우에는 시가성씨를 따라 이서방댁, 정서방댁이라 부른다.
(26)허교(許交)와 허여법(許與法, 타성에 대하여): 성기상통(聲氣相通)하고 연령차가 7년 이내면 허교(벗을 삼음=한잔하게, 어서오게, 한잔하세, 잘 가세)를 하고, 자기보다 8세 이상 연치가 높으면 형 대우를 하여 존대 말을 하고 8세 이상 된 분은 7세 이하 된 자에게 아우 대우를 하여 말을 낮추어 대화한다. 자기보다 16세 이상 연세가 높으면 부모와 같은 예우를 해서 존경하며 고령자는 수하에 허여(말을 낮춤)한다.
(27)본인이 상주인 경우 옛날에는 아예 남의 길사에 가지 않는 것이 상례였으나 정실에 따라 참석할 시는 축하한다는 인사말은 삼가 하는 것이 좋으며, 그냥 큰일 주선에 얼마나 노고가 많으십니까? 하고, 부조봉투에도 축하란 말은 쓰지 말고 주소와 성명만 기록하는 것이 예의에 맞을 것 같다.
(28)악수인사법: 고령자가 먼저 악수를 청할 때 연하자가 악수를 하는 것이 상례이다. 단 평교간은 누가먼저 청하여도 무방하다.
(29)제사 때의 배례는 양손을 앞가슴까지 올렸다가 내려가 바닥에 팔자형으로 왼손이 위에 포개며 머리를 손등에 닿도록 하고 일어날 때 역시 손을 둥굴게 가슴까지 올렸다가 내리며 공수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