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의
성지 태백산
태백산은
한반도의 중추를 이루는 백두대간의 마루산이며, 또한 태백과 소백연맥의
모산(母山)이 된다. 남북으로 금강·설악·오대 ·두타산의
맥락을 백암·주왕산을 거쳐 부산의 금정산까지 연계시켜 주고,
서남으로는 소백·속리·덕유·지리산을 거느리며
경상과 충청 및 전라를 가름하는 대산맥을 낳고 있다. 1,567m의
높이를 자랑하면서도 산을 찾는 이들의 발길이 좀처럼 와닿지 못하는
것은 교통의 불편함에 까닭이 있음인가? 어떤 이는 그 산세나 경관이
별스럽지 못하다고 불평도 하더라만, 산심(山心)이란 대상에 구애 없이
뜻에 따라 발 닿는 곳 모두가 사랑스럽고 소중하게 느껴질 때 생기는
국토애가 아니겠는가. 향미 좋은 음식만 골라 편식하는 식성을 나무라듯이,
시식(視食)만을 구하려 산을 오른다면 요설(妖舌)이란 힐책을 면하기
어렵겠다. 물론 교통이나 경치도 산행의 불가결한 요건이지만, 태백산의
소외 원인은 산 이름이 주는 위압감이 크게 작용한 때문인지도 모른다.
태백산은 남부 지방의 여타 산에 비해, 그리 먼 거리도 아니면서 좀처럼
마음이 닿지 못하고, 누구에게나 저만큼 물러서 있는 산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써 태백산을 찾은 연유는 개국시조 단군에 대한
신화를 나름대로 음미해 보고 성지 순례의 기행을 하고자 함이다. 짐짓
별려오던 산행이기에 새벽녘에 뭇별까지 확인해 두었는데, 새해 첫날
아침 날씨는 심해(深海)의 무광고요다. 눈발이 흩날리며 바람이 따갑게
얼굴을 훑어간다. 겨울치고는 푸근했다고 느껴졌던 어제까지의 볕조차
한 가닥 비침이 없다.
소도리(所道里)를 출발해 혈리(穴里)에
이를 쯤엔 제법 눈이 쌓이기 시작하고 얼어붙은 비탈길이 미끄럽다.
소도리 지명은 솟대(蘇塗)의 차음-현지 소도 부락 중심부에 아직 서낭당이
옛 모습대로 남아 있고 목장승이 서 있다-으로 보아야겠고, 혈리는 동굴이
있어 거기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철책으로 입구가 봉쇄된 혈리 동굴을
눈만으로 스쳐보곤 이내 오름길을 시작한다. 백단사(白檀寺) 일주문까지의
비교적 넓은 길도 어중간한 적설엔 불편하다. 가파른 능선길을 회전하며
반 시간여 오르면 펑퍼짐한 고개마루인 반재 위에 올라선다. 정상 망경대까지
반이 된다는 뜻이던가. 청원사에서 당골 계곡으로 올라오는 길이 반재에서
합치되는 관계로 여기서부터는 줄곧 외길로 뻗는다. 고사목군이 나타나고
수목의 키자람이 반재를 기준으로 상하대(上下帶)가 구분된다.
낮은
구름 떼가 산허리를 감돌아 날아간다. 등에 지고 올라온 함백산(咸白山,
1,572m)이 보일 듯도 하다만, 운무의 시샘은 노출을 꺼린다. 문수봉(文殊峰)
이마가 언뜻언뜻 순간적으로 보일 뿐, 시계는 불투명 한 상태의 지속이다. 고목에
의지해 글씨조차 알아보기 어려운 안내판이 초췌하다. 산죽이 무성한
오솔길로 산신각 터를 돌아서면서, 희뿌연 안개를 헤집고 망경대가 저만큼
슬그머니 웅자를 드러낸다. 흩뿌리던 눈발도 한 걸음 앞서 멎고, 눈앞에
전개되는 백화경(白花境)은 온통 설화와 수빙(樹氷)만으로 그려진 백화경(百 境)을
이룬다. 회백색의 원지에 나뭇가지가 간간이 먹물을 튀겼을 뿐, 한 폭의
묵화는 내 시력조차 하얗게 표백시키고 만다. 온통 머리 속까지 하양으로
바래간다.
옛 사람 어느 이, 이 겨울에 올라 '태백(太白)'이라
이름하였던가? 그도 이 지경에 침몰해 더 이상 달리 명명할 수 없었나
보다. '太'는 크고 많음이요, '白'도 또한 희고 큼이니, '太'는 곧 '白'이
되고, 횐 것은 또 크고도 밝은 것이다. 태백산(太白山)은 산악숭배
사상에서 온, 한·뫼로 그리스의 올림포스 산, 인도의 수미산(須彌山),
일본의 고천수봉(高千穗峰) 등과 의미를 같이하는 것으로, 크고도 높고
밝음을 상징하는 산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필자의 소견으로는 함백산(咸白山,
1,572m)이나 백단사(白檀寺)의 명칭 역시 태백과 동일한 의미가 아닌가
여겨진다. 본시 고대의 우리 지명이나 인명은 고유어로 불리어오다,
한자 문화가 유입되면서 음과 훈에 따라 한자로 기록된 바 허다하다.
'咸'을 '한'의 음으로 유추하면 '咸白'이나 '太白'은 동의어로 간주될
수 있고, 백단(白檀)의 '檀' 역시 단군신화와 연계시켜 보면 서로 간에
맥이 통함을 어렴풋이 느끼게 된다. 환웅(桓雄)이 하늘에서 내려온 태백산(太伯山)이
백두산임은 이론이 없으나, 산 이름을 태백(太伯)·태백(太白)으로
함에는 앞서 이야기된 바대로 '한'(광명)의 민족정신과 결부시켜 볼
수 있다.
산에서의 일기가 순조롭지 못함은 망경대도 마찬가지다.
하늘 바탕은 쪽빛으로 어느 새 칠을 다시 했으나, 밀려오고 쓸려가는
구름과 안개는 간헐적으로 장막을 열고 닫는다. 여름 소나기 구름 같은
먹장이 강풍에 동해로 휩쓸리더니, 티 하나 없이 팔방이 일모(一眸)에
원으로 들어온다. 함백의 머리가 망경과 어깨질하고, 문수봉과 그 너머
쪼록바위가 한 척 꺾였다. 동서남북 원근의 중첩한 산맥이 파상으로
둘러 있고, 거기에 태백산은 돛이 되어 만산을 인솔하고 있다. 그 돛대
위에 점을 하나 더했으니, 다섯 자 반의 내 단구(短軀)는 태백산보다도
오히려 높다. 태백산은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경계점이 된다.
동쪽은 강원도 태백사-황지와 장성 땅-가 되고, 서북쪽은 영월군 상동면이
위치하며, 남쪽 땅은 경상북도 봉화군이 된다.『동국여지승람』을 보면
각각의 부(府), 현(縣) 기록에 태백산이 언급되어 있다. <안동도호부조
형승편 (安東都護府條 形勝偏) > 엔 "못은 황지로 빠져서 일만
구렁을 흡수하고, 산은 태백산이 가장 뛰어나 뭇봉우리를 통솔한다."라
하였고, <봉화현조(奉化縣條)>에서는 "현 북쪽 73리에 있다.
고려 최 선(崔詵)의 예안(禮安) 용수사기(龍壽寺記)에 천하의 명산은
삼한(三韓)에 많고, 삼한의 명승은 동남에 가장 뛰어난다. 동남의 큰
산은 태백이 우두머리가 된다." 하였다.
해발
1,567미터의 설중 동정도 쾌재를 부를 만하지만, 새해 첫날에 천제단
앞에 섰다는 감회가 더욱 소중스럽다. 간단한 주과포를 차려 놓고 개국성조
단군신께 제를 올리니, 4,300년 후의 자손으로서 생각키우는 바가 자못
많다. 반만 년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면서 내 나라 연호조차 버린지 오래다.
짐짓 계산하지 않으면 단기(檀紀)도 알지 못할 만큼, 후세의 우리는
내 것을 너무 잊고 산다. 5천만이나 되는 후손들이 국조(國祖)를 섬기는
일조차 소홀히 넘기고 오늘을 살아간다 하니 어찌 한 가닥 반성의 회오리가
없을 수 있으랴. 천제단 대 위에 두어 자 정도의 작은 표석에 명기된
「한배검」세 글자. 『동국여지승람』 <삼척도호부 사묘편(祠廟偏)>'에
태백산사(太白山祠)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태백산사는
산꼭대기에 있는데 세간에서 천왕당(天王堂)이라 한다. 본도 강원도
및 경상도에 이 산곁 고을 사람이 봄·가을에 제사 하는데, 신좌
앞에 소를 매어두고 갑자기 뒤도 돌아보지 않고 달아난다. 만약 돌아볼
것 같으면, 불공한 것을 신이 알고 죄를 준다 한다. 사흘이 지난 다음,
부(府)에서 그 소를 거두어 이용하는데, 이를 퇴우(退牛)라 한다." 이와
같은 기록으로 볼 때, 태백산사는 천제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오래 전부터
축조되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망경사의
밤은 며칠의 객창에 여수가 밀려든다. 풍설이 섞어치며 문풍지를 후들기는
소리, 산사의 고요를 깨뜨리는 여스님의 독경과 목탁소리에 초이레 설월(雪月)이
무던히도 밝다.
달도
희고 눈도 희고 천지가 하얀데 산도
깊고 밤도 깊고 객수도 깊구나.
月白雪白天地白
山深夜深客愁深
삿갓시인
김병연(金炳淵)이 금강산에 들어 고승과 화답하던 <공음시(共吟詩)>의
한 구절이 여기 그대로다. 한생을 죽장과 망혜로 천하를 주유하던 방랑과
풍류는 늘 그의 서러운 시편들과 함께 가슴에 와 닿는다. 이런 저런
잡다한 상념들로 긴긴 겨울밤도 풋잠이 설다. 태백산의 어둠이 서서히
걷히며 동천이 훤히 밝아온다. 새해 일출을 보리라는 진작의 벼름이기도
하려니와, 밤새 문틈으로 벽으로 들어오는 한기에 미리 일어나 날샘을
기다려야 했다. 새벽 6시, 기온이 영하 13도. 망경사는 해발 1,400m에
위치해 있으니, 설악산의 봉정암이나 치악산의 상원사보다 고도가 앞서는
우리 나라 최고점에 위치한 사찰이다. 눈발은 여전히 흩뿌린다. 동쪽으로의
몇 겹 산 위에 짙은 구름이 수평으로 띠를 둘렀다. 청명한 날엔 동해
일출을 보고도 남음이 있는데, 오늘은 영 글러버리고 말았나 보다.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띠구름을 뚫고 해가 나타난다. 해는 이미 서너 뼘을
휠씬 더 올라와 있지 않은가. 하룻밤의 불심을 스님께 합장으로 배례하고
문수봉으로 향한다. 그러나 산허리 하나를 굽어 돌면서부터 길이 끊기고
앞이 막힌다. 간밤에 눈이 더 내린 탓이기도 하려니와 강풍에 눈이 몰리고
덮여 앞서 간 발자국들이 아예 묻혀 버렸다. 하긴 절에서 묵은 산객들도
별로 없고, 오늘로는 초등길이니 흔적이 있을 리 없다. 밟는 곳마다
눈이 무릎을 넘는다. 순간순간 온산을 송두리채 삼켜 버리는 짙은
구름이 그냥 마구 밀려와서는 시계를 완전히 지워버린다. 앙상하게
말라죽은 주목 가지에 소복한 백화(百花)는 이 경황에도 마냥 곱고 아름답다.
능선을 타고 내려 자작나무 수해를 빠져간다. 자람이 느린 나무가 아름을
둘렀으니, 자작나무야말로 설한풍 속에 여기 산상을 지키며 얼마나 많은
세월을 인고했더냐. 수백 년, 수천 년을 고고한 기품으로 버티느라 껍질조차
희게 늙었고나.
급경사의 문수봉 오름길을 다시 시작하면서 산철쭉
나무들이 무성하다. 묘하리만치 지름으로 반동강 난 원형좌대가 볼품없이
나뒹굴고 있다. 어쩌다 하늘이 열리면서 햇살이 비칠 때면 망경대와
장군봉의 연봉이 지척에 드러난다. 가쁜 숨을 몰아쉬며 고삐를 바투
쥐면 금새 돌무더기의 문수봉 정상에 선다. 육산(肉山)의 태백에 용암처림
쏟아져 내린 암석 파편들이 신통하게 여겨진다. 문수보살이 석불로
현화되어, 자장율사에 의해 망경대로 옮겨져 문수봉으로 유래되었다는
얘기가 반재에서의 안내판에 적혀 있다. 문수봉은 망경대, 1,547봉과
함께 태백산의 3대 주봉으로 전망은 그중 으뜸이다. 함백산, 각화산,
쪼록봉의 준봉들이 시원하게 다가선다. 일출을 못 본 대신 문수봉에서의
조망을 태백산은 허락해 주신 것이다. 태백산엔 잡신도 많다. 군데군데
무격들의 기도터가 산재해 있어, 근린의 온갖 산신들이 다 모여들어
있다는 느낌이다. 그만큼 토착신앙의 배경이 되는 곳이기도 하다. 안부로
내려서니 산릉의 살을 에는 바람도 멎고 등허리가 따스하다. 눈으로
뒤범벅이 된 산죽밭을 가르며 미끄러지다 보면 댓잎 사그락거리는 소리가
또 하나의 신비경을 느끼게 한다.
망경대(望鏡臺)
차운 머리 구름
안내 끼둘리고 서리꽃
자작 능선 서설(瑞雪)조차
한 빛인데 하늘
땅 하얗게 열려
태백(太白)이라 일러라.
초하루 동해 일출
새해가 부시누나.
신시(神市)에 터를
닦아 삶을 이은
겨레들아 한배검
높으신 성덕
유구(悠久)를 밝히소서
.
<태백산:
낭산>
|
첫댓글 잘 읽었어요.하얀 설경을 지척에서 본듯 하네요.
낭산 형님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늘 건필하십시오.
천제단에서 소원을 빌면 꼭 이루어진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그런데 꼭 한가지만 빌어야 하는데 인간의 욕심이 많이 요구해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