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노린재(노린재목 : 노린잿과)
(1) 피해
성충과 약충이 무, 배추, 유채 등의 줄기나 잎에서 즙액을 빨아먹으며, 흡즙 부위는 백색으로 변색되고 심하면 누렇게 말라죽는다.
(2) 형태
성충은 8〜9mm로 몸 전체가 흑색이고, 머리 끝부분 주위는 주황색을 띤다. 가슴과 날개 가장자리에 주황색의 무늬가 쳐져 있다. 작물의 잎이나 줄기에 2줄로 산란하는데, 주황색 바탕에 흑갈색의 줄무늬가 옆으로 나 있다. 알에서 깨어난 약충은 대체로 원형이며, 머리는 검은색이고, 가슴은 검은색 바탕에 주황색 점이 3개 있다. 각 마디의 가장자리마다 주황색 줄이 둘러져 있다.
(3) 발생생태
성충은 이른 봄부터 작물에 모여 즙액을 빨고, 잎 뒷면이나 줄기에 수십 개의 알을 무더기로 낳는데, 1주일 정도 지나면 알이 부화한다. 성충과 약충은 아침이나 저녁에는 잎 뒷면에 숨어 있다가 낮에 잎 위나 줄기에 올라와 활동한다. 손으로 건드리면 바로 떨어지는 습성이 있다.
(4) 방제
비단노린재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는 없으며, 진딧물이나 나방류 방제시 같은 작물에 등록된 살충제로 동시에 방제한다.
복숭아혹진딧물(매미목 : 진딧물과)
(1) 피해
배추, 무에 발생하는 진딧물로는 복숭아혹진딧물, 무테두리진딧물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우점종이다. 약충과 성충이 잎 뒷면에 기생하면서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 먹는다. 피해 받은 잎은 오그라지거나 말리며, 진딧물이 분비하는 감로(甘露)에 의해 그을음병이 유발되기도 한다.
(2) 형태
유시충은 2.0〜2.5mm로서 녹색, 연한 황색, 황갈색, 핑크색 등 체색변이가 심하다. 제3배마디 등판부터 뿔관 밑 부분까지 검은 무늬로 덮여 있고, 무늬의 양쪽에 돌출부가 2개씩 있다. 뿔관은 황갈색이거나 거무스름한 갈색으로 원기둥 모양이다. 무시충은 1.8〜2.5mm 정도로 연한 황색, 녹황색, 녹색, 분홍색, 갈색 등을 띠지만 때로는 거무스름하게 보이는 것도 있다. 뿔관 중앙부가 약간 팽대하나 끝부분은 볼록한 편이며, 끝부분에 테두리와 테두리 띠가 있다.
(3) 발생생태
빠른 것은 연 23세대, 늦은 것은 9세대를 경과하고 겨울기주인 복숭아나무의 겨울 눈 기부 내에서 알로 월동한다. 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한 감모는 단위생식으로 증식하고, 5월 상중순에 다시 겨울기주로 옮겨 6〜18세대를 경과한 뒤 10월 중하순에 다시 겨울기주인 복숭아나무로 이동하여 산란성 암컷과 수컷이 되어 교미 후 11월에 월동란을 낳는다. 약충시에는 녹색계통이나 여름기주에서는 녹색계통과 적색계통이 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4) 방제
봄철에 다른 해충과 마찬가지로 화학적 방제법을 비롯하여 무, 배추가 싹트는 시기에 망사나 비닐 등을 이용하여 진딧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 진딧물은 직접적인 피해도 중요하지만 바이러스병을 매개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바이러스 병은 약제로는 방제할 수 없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옮기는 진딧물을 방제해야 한다. 따라서 생육 초기부터 철저한 진딧물 방제가 필요하다. 효과적인 방제약제라 하더라도 한 약제를 계속 사용하면 진딧물 같이 연간 세대수가 많고 밀도증식이 빠른 해충에는 급속한 약제 저항성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동일계통이 아닌 약제를 번갈아 살포하여 방제한다.
(4) 방제
봄철에 다른 해충과 마찬가지로 화학적 방제법을 비롯하여 무, 배추가 싹트는 시기에 망사나 비닐 등을 이용하여 진딧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 진딧물은 직접적인 피해도 중요하지만 바이러스병을 매개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바이러스 병은 약제로는 방제할 수 없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옮기는 진딧물을 방제해야 한다. 따라서 생육 초기부터 철저한 진딧물 방제가 필요하다. 효과적인 방제약제라 하더라도 한 약제를 계속 사용하면 진딧물 같이 연간 세대수가 많고 밀도증식이 빠른 해충에는 급속한 약제 저항성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동일계통이 아닌 약제를 번갈아 살포하여 방제한다.
(4) 방제
봄철에 다른 해충과 마찬가지로 화학적 방제법을 비롯하여 무, 배추가 싹트는 시기에 망사나 비닐 등을 이용하여 진딧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 진딧물은 직접적인 피해도 중요하지만 바이러스병을 매개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바이러스 병은 약제로는 방제할 수 없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옮기는 진딧물을 방제해야 한다. 따라서 생육 초기부터 철저한 진딧물 방제가 필요하다. 효과적인 방제약제라 하더라도 한 약제를 계속 사용하면 진딧물 같이 연간 세대수가 많고 밀도증식이 빠른 해충에는 급속한 약제 저항성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동일계통이 아닌 약제를 번갈아 살포하여 방제한다.
배추좀나방(나비목 : 좀나방과)
(1) 피해
유충이 배추, 무, 양배추 등 배추과 채소와 냉이 같은 잡초의 잎에 많이 발생하며, 건드리면 실에 매달려 밑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크기가 작아 한마리의 섭식량은 적지만 1주당 기생 개체수가 많으면 피해가 심하다. 알에서 갓 깨어난 어린 벌레가 초기에는 엽육 속으로 파고 들어가 표피만 남기고 식해하다가 자라면서 잎 뒷면에서 식해하여 흰색의 표피를 남기며, 심하면 잎 전체를 식해하여 엽맥만 남는다. 배추에서는 유묘기에 많이 발생하며, 잎 전체를 식해하여 생육을 저해하거나 말라죽게 한다. 3〜4령 유충이 주당 30마리 정도 발생하면 외부 잎을 심하게 식해하고 결구된 부분까지 침입하여 상품 가치를 떨어뜨린다.
(2) 형태
성충은 6mm 정도로 다른 나방류 해충들에 비해 작다. 앞날개는 흑회갈색 또는 담 회갈색이고, 날개를 접었을 때 등쪽 중앙에 회백색의 다이아몬드형 무늬가 있는데 암컷에 비해 수컷에서 더욱 뚜렷하다. 알에서 갓 깨어난 어린 벌레는 담황갈색을 띠지만 자라면서 점차 녹색으로 변하고, 다 자라면 10mm 내외에 머리 부분은 담갈색이고 몸은 진한 녹색을 띠는 방추형 유충이 된다.
(3) 발생생태
겨울철 월평균 기온이 0℃ 이상 되는 지역에서 월동 가능하며, 7℃ 이상이면 발육과 성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에서는 노지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며, 발생량이 많은 늦봄~초여름에는 1세대 기간이 20〜25일 정도로 발육 속도가 빨라포장에서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을 한 번에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남부지 방에서는 봄부터 초여름까지 많이 발생하며 여름부터 밀도가 낮아져 가을까지 적게 발생하나 해에 따라 가을에도 많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고랭지 채소 재배지 역에서는 평야지보다 1〜2개월 정도 늦은 8월 하순〜9월 상순에 발생 최성기를 보인다.
(4) 방제
연간 발생 세대수가 많고, 약제 저항성이 쉽게 유발되어 방제가 어려워지고 있다. 배추좀나방 유충은 발육 정도에 따라 살충률에 큰 차이가 있어서 3〜4령의 유충과 번데기는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낮으므로 방제 효과가 떨어진다. 일반 포장에서는 알, 유충, 성충이 혼재되어 발생하기 때문에 다발생시에는 7〜10일 간격으로 2〜3회 약제를 살포한다. 어린 유충은 엽육내에 잠입해 있고 3〜4령 유충은 잎 뒷면에서 식해하므로 약액이 작물 전체에 고루 묻도록 뿌려야만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일단 약제 저항성이 유발되면 오랜 기간 지속되기 때문에 약제 선택, 방제시기 및 횟수 등에 주의하여 저항성이 유발되지 않도록 한다.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약제 선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약제를 선택할 때에는 반드시 작용 특성이 다른 계통의 약제를 선택해야 하며, 동일 약종을 2〜3회 이상 연용하지 말아야 한다. 약제 방제 외에 피복재료를 이용하여 해충을 차단하는 방법, 기생봉 등 천적류를 이용한 생물적 방제, 성페로몬(성유인물질)을 이용한 교미 교란으로 발생 밀도를 줄이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시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