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록도[小鹿島]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에 속하는 섬.
개설
고흥반도 남단의 녹동항으로부터 남쪽으로 약 400m, 배로 10분 거리에 있는 섬이다.
남쪽의 거금도(居金島)와 인접하여 있다. 동경 127°07′, 북위 34°31′에 위치한다.
명칭 유래
지형이 어린 사슴과 비슷하여 소록(小鹿)이라 불렀다고 한다.
자연환경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지리산편마암으로 기반암은 풍화를 많이 받은 상태이다. 섬 전체는 기복이 작은 구릉성산지(최고높이 118m)로 되어 있다. 해안선의 드나듦이 많아 깊숙한 만(灣)과 돌출한 갑(岬)이 교대로 이어진다. 북서쪽 해안은 해식애가 발달한 암석해안이나 나머지 해안은 조립(粗粒)의 사질해안(沙質海岸)이다. 1월평균기온 1℃, 8월평균기온 26.5℃, 연강수량 1,310㎜, 연강설량 1㎜이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흥군 금산면에 속하였으나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오마리와 함께 1963년도양읍에 편입되었다.
현황
2007년 말 현재 소록도가 속해 있는 도양읍의 전체 인구는 1만 2,609명(남 6,235명, 여 6,374명)이고 세대수는 5,472호이다. 면적은 3.74㎢, 해안선길이는 14.0㎞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보리·마늘·양파 등이 생산된다. 교통은 소록도병원 전용도선과 일반용도선이 수시로 운항된다. 교육기관으로는 녹동초등학교 소록도분교가 있다. 그 밖의 시설로 1916년 나병원(癩病院)인 소록도자혜의원(慈惠醫院)이 처음 설립되었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시설이 잘된 국립소록도병원이 있다. 취락은 병사지대(病舍地帶)와 직원지대(職員地帶)로 나뉘어 있다.
울창한 산림과 바다가 어울려 경치가 아름답고 잘 닦여진 도로를 따라 곳곳에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동쪽 해안에는 백사청송(白沙靑松)의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소록도해수욕장이 있고 남쪽 끝에는 소록도등대가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소록도유적[小鹿島遺蹟]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소록도리의 소록도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적.
내용
1934년에 소록도 갱생원(更生園)의 사무실을 짓기 위한 부지공사중 발견되었다. 이 유적은 학술조사를 통하여 발견된 것이 아니어서 유구(遺構)의 성격이 불확실하지만 유물의 출토상황으로 보아 널무덤이었다고 생각된다.
출토된 유물은 적색토기항아리 1개, 다뉴조문경(多鈕粗文鏡) 1면, 점판암으로 만든 돌살촉 6점, 돌도끼 1점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물의 출토상태는 민무늬토기 항아리 속에 돌살촉과 돌도끼를 넣고 다뉴조문경을 뚜껑처럼 덮은 것이었다. 그러나 이 유물들은 정지작업을 하던 인부들에 의해 수습되었기 때문에 심하게 부서져서 다뉴조문경은 대체의 형태만 짐작할 정도이고 연질의 토기도 크기가 높이 약 30㎝ 정도에 동체의 지름이 약 21㎝ 정도였다는 것만 알 수 있을 뿐 자세한 기형이나 바탕흙ㆍ제작방식 등에 관하여는 알 수 없다. 출토유물의 성격으로 보아 이 유적은 청동기시대에 해당되는 서기전 5세기에서 4세기에 걸치는 분묘유적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朝鮮古文化綜鑑』(藤田亮策·梅原末治, 養德社, 1947)
「南鮮小鹿島發見の多紐細線文鏡·其他」(榧本杜人, 『朝鮮の考古學』, 同朋舍, 1980)
「古鏡鑑の新資料」(梅原末治, 『人類學雜誌』50-3, 1935)
「南鮮小鹿島發見の多紐細文鏡·其他」(榧本龜生, 『考古學』6-3, 193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9-01 작성자 명사십리